• Title/Summary/Keyword: 인지된 팀성과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vestigation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eam Cognition and Team Process as well as Team Performance in E-Iearning 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 (이러닝 기반 팀 학습환경에서 팀인지와 팀 활동과정, 팀성과 간 상관관계 탐색)

  • Lee, Youngm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3
    • /
    • pp.31-38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eam cognition and team process and team performance in e-learning based team learning environment. 55 graduate students consisting of 11 teams participated in the study voluntarily during the spring semester. I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eam cognition had no relationship with team process and performance although sub-variables of team cognition and team process as well as team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each other. Some further research issues were addressed in terms of team leadership and potential variables affecting each variables.

  • PDF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ark, Gye-Hyeon;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21-125
    • /
    • 2018
  • 지금까지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기회 포착과 성과를 다룬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학자들은 Entrepreneurship이 개인보다는 팀이 수행하는 업무이며, Entrepreneurial Team의 역동성이 Entrepreneurship 연구에 새로운 통찰력을 추가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는 데 있어 팀의 다양성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한지, 어떻게 팀을 조화롭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중요한 의사결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구성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팀 구성원들 각자가 가진 속성의 차이에 따라 팀 다양성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곧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성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다양성과 성과에 대한 직접 효과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조절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은 관련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다양성과 성과 간의 관계를 과업 상호의존성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 것이다. 조직 내 다양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벤처기업의 인력구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다양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Transactive Memory System of a Virtual Team :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가상 팀의 교류활성기억 시스템과 팀 성과의 관계 : 가상 팀 속성을 선행요인으로)

  • Shin, Kyung-Shik;Suh, A-You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5 no.2
    • /
    • pp.137-166
    • /
    • 2010
  • A virtual team is defined a group of people that use electronic communications for some or all of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team members. Because team members of a virtual team are physically and temporally distributed, a team's transactive memory system(TMS) is considered to be crucial for the team's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TMS refers to a set of individual memory systems which integrate knowledge possessed by particular members through a shared awareness of who knows what.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1) how a virtual team's TMS influences team performance, and (2) what factors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team's TMS. Given these purposes,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e first identified components and antecedent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hat predicts a virtual team's performance. Using the survey data gathered from 172 virtual teams, this study found that expertise location, coordination, and cognition-based trust which were proposed as three components of TMS positively influenced a virtual team's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uncovered that perceived media richness, network tie strength, and shared norm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mponents of TMS, while geographical dispersion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MS.

효과적 성과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올바른 목표설정 접근법에 관한 연구

  • 신택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984-990
    • /
    • 2003
  • IMF 이후 연봉제의 도입과 정착과정에서 대부분 기업들이 연봉제의 연착륙과 함께 실질적인 성과창출에 많은 관심을 가지면서 효과적인 성과평가시스템의 구축에 주력하고 있지만 '전사 > 사업부 > 부서(팀) > 개인'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목표연계과정과 부서(팀) 수준의 올바른 목표설정측면에서 그 방법론의 이해부족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성과평가시스템이 작동되기 위한 전제조건인 부서(팀) 수준의 바람직한 목표설정방법 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개별 부서(팀)이 궁극적으로 달성하려고 하는 본질적 성과목표인 'Value Added results'(VAR)의 개념에 초점을 맞췄다. 그리고 VAR 관점에 따라 본질적인 부서(팀) 목표를 도출하는 네 가지 방법인 고객다이어그램, 목표할당, 팀 피라미드, 프로세스맵에 대해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실제 기업에서 이 네 가지 방법에 의해 도출된 VAR의 예를 인용하였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merging Leadership Researches and the Team Effectiveness of Shared Leadership (현대적 리더십 연구의 특징과 공유리더십의 팀 효과성에 관한 연구)

  • Kim, Jong-K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6
    • /
    • pp.207-217
    • /
    • 2017
  • This study firs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leadership researches by theoretically analyzing the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since the Millenium. The first finding is that most of leadership researches shared same if not similar asp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ly, much of leadership researches centered around horizonally expanded shared/distributed leadership. Thus, this researches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shared/distributed leadership theor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found shared/distributed lead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member's recognized performance and innovative behavior. However, in competition-oriented culture, shared/distributed leadership did not control recognized performance of its members. This implies the demand for shared/distributed leadership is necessary today and research on the matter will expanded globally but, the results may differ according to the cultural value of the company.

A Study on Team Collaboration Affecting Team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Team Shared Cognition, Team Transactive Memory, Team Knowledge Integration, and Team Efficacy with Focus on Consulting Projects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협업에 관한 연구: 컨설팅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팀공유인지, 팀정보교류, 팀지식통합, 팀효능감의 매개효과)

  • Chae-Sang Shin;Jung-Wan Ho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1 no.1
    • /
    • pp.9-31
    • /
    • 2023
  •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ifferent cognitive systems and different knowledge systems of members participating in complex and diverse consulting projects, and it is a study on team collaboration that affects the team performance of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shared cognition, team transactive memory, team knowledge integration, and team efficacy in the cognitive interaction process of a consulting project.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Data were collected from consultant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consulting project.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search hypothesis, demographic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to increase team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m shared cognition and team transactive memory, which are cognitive systems, and team knowledge integration, which is a knowledge system, must also be improv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ense of team efficacy that integrates disparate cognitive and knowledge systems, trusts each other's expertise, and enables successful team work. In addition, future studies on sub-factors of cognitive processes are needed.

문제해결관점에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 모형 - R&D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 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379-398
    • /
    • 1999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개념을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신제품개발 성과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과 관련한 연구논문들이 그 동안 많이 있었으며, 각각의 이론들은 상호 이질적이고 다른 관점을 취해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다소의 혼란을 야기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합리적 계획, 의사소통 망, 훈련된 문제해결의 세 개의 차원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학자들은 통합모델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그러한 접근은 신제품 개발의 본질적 성격을 반영하는 새로운 깊이 있는 차원으로서의 모델 통합이 아니라 단순히 영향 요인들의 나열 또는 종합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R&D 팀이 본질적으로 문제해결 집단이라는 전제하에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구성원들의 문제해결 몰입과 해결안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높이기 위하여 R&D 팀의 인지적 다양성과 R&D팀의 위상과 관련하여 R&D 환경 성숙도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였다. 여기서 제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R&D팀 성과와 관련된 연구모델은 본질적인 것을 다루면서 단순화 된 모델로서 그 동안 여러 관점에서 다루어져 온 개념들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차원에서 R&D 성과를 높이는데 개념으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팀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om, Seung-Gwon;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67-170
    • /
    • 2019
  • 최근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ICT와 같은 기술기반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창업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팀 수준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더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팀창업일 경우 기업의 성과는 개인-팀 역량의 혼합 결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해왔으나, 이러한 요인은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보유하고 있는 자원 등에서 찾는 선행연구가 대부분이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면 창업기업의 성장은 창업가 특성, 자원, 전략, 산업, 그리고 조직 구조 및 시스템의 함수로 정리된다. 그러나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창업가의 특성인 창업역량(entrepreneurial competency)에 초점을 두고, 창업팀의 역량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본다. 개인의 특성에 집중해온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창업역량의 영향력을 창업가 개인 수준 및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창업가 및 초기 창업기업이 안정적인 사업화를 위해 팀구성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 지자체 민간 등에서 창업지원사업 운영 시 팀구성이 잘 된 창업기업을 선발하는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learning in project learning: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인관계 유능성 및 인지된 성취감의 관계에 대한 팀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 Koh, Eun-hyeon;Park, Hye-R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91-9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learning in project lear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eam 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having an effect on project learn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roject learning course offered by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and were analyzed by Baron & Kenny's (1986) framework. As a result, team efficacy was found to act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understanding of and consideration for other people and perceived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eam 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and consideration for other people should be facilitated in project learning courses. The possibility that some teaching strategies could enhance the project learning effect for learners and pre-service teachers is discussed.

Influence of Team Performance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Leadership - Focus on the Employees of Public Enterprises -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 Bae, Byung-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
    • /
    • pp.766-777
    • /
    • 2016
  •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the implications about the utility of team system and importance of leadership through the analysis of what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 leadership has on team performance. This study used the LMX theory & social exchange theory arguing that exchange relation quality forms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and situational theory stating that leadership suited for business environment should be display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This study, targeting 9 domestic energy-related public enterprises, proved the research hypothes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under SPSS 20.0 by using the effective data on 880 respondents from 166 teams in tota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and the behaviour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odulate the relation between a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thus getting to adopt all of the initially-set research hypotheses. The salient point was that the effect was found to be much stronger from the group whose self leadership was low. What this research results imply is that if a team leader in team organization should look to it that team members themselves could be self-motivated by assigning goals, which can be put into practice with concern, to the members of a group whose self leadership is relatively low, team performance could improve more clearly than would otherwise be the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