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상용 코핑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새로운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임플란트 인상법의 정확성에 대한 3차원적 비교 연구 (Three Dimens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 Using New Impression Coping)

  • 김세라;김인수;박성재;이병옥;고석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23-337
    • /
    • 2010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 제작을 위한 pick-up 인상 채득시 flag type의 새로운 인상용 코핑을 이용하여 제작된 모형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인상용 코핑에 의해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3차원적으로 비교하여 새로운 형태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인상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크릴릭 레진 블록으로 좌측은 전부 무치악, 우측은 제 2 소구치가 상실된 상악 기준 모형을 제작하였다. 상악 우측 제 2소구치, 좌측 중절치, 좌측 견치, 좌측 제 2 소구치, 좌측 제 2 대구치 부위에 외부 육각 연결 방식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였다. 기준 모형에 사용된 인상용 코핑 및 코핑 간에 연결 여부에 따라 세 가지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에 flag type 의 인상용 코핑을 체결한 경우 (실험군 I), 기존 형태인 원통형의 인상용 코핑을 체결한 후 인상용 코핑을 자가 중합 아크릴릭 레진으로 연결한 경우 (실험군 Ii), 원통형 인상용 코핑을 체결한 후 자가 중합 레진으로 연결하지 않은 경우 (실험군 III). 총 15개의 모형을 제작하여 인상 채득하여 작업 모형을 제작한 후 기준 모형 및 작업 모형을 5번씩 측정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flag type의 인상용 코핑을 이용하여 인상 채득한 군,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자가 중합 레진으로 splinting하여 인상 채득한 군,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splinting 하지 않고 인상 채득한 군의 작업 모형에서 각 임플란트 유사체 간 거리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05). 또한 동일 수평면에 대한 수직적 거리를 비교한 결과 flag type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제작한 작업 모형이 Point 2에서는 기준 모형에 가장 근접한 수치를 보였고 Point 3에서는 오차가 가장 컸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5). 그 외 Point에서는 세 가지 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 새로운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인상법은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인상법과 비교적 유사한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임플란트 인상채득 방법과 인상용 코핑 연결 고정에 따른 정확성 비교 (Comparative accuracy of implant impression techniques with different splinting materials)

  • 홍기윤;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1호
    • /
    • pp.9-20
    • /
    • 2023
  • 목적: 하악 부분 무치악 모형에서 pick-up type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개방형 인상 채득법과 transfer type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폐쇄형 인상 채득법, 개방형 인상 채득법에서 pick-up type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에 따른 인상 채득 정확성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부분 무치악 모형의 좌측 구치부에 직경 4.5 mm, 길이 11.5 mm의 임플란트 고정체 두 개 식립 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개방형 개인 트레이 30개 폐쇄형 개인 트레이 10개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PN군: 개방형 인상 채득법(non-splint), PG군: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 GC pattern resin), PH군: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 Herifix), TN군: 폐쇄형 인상 채득법으로 나누어 각 군당 10회씩 총 40회의 인상 채득을 진행하였다. 인상채득 후 석고 모형을 제작하여 모델 스캐너로 스캔 후 역설계 프로그램으로 스캔오차를 측정하여 95% 유의수준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폐쇄형 인상 채득법 TN군이 개방형 인상 채득법 PN군 보다 더 낮은 오차값을 보였다.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에 사용된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 간의 비교 결과에서는 PH군에서 가장 낮은 오차값을 보였으며 PN군, PG군 순으로 정확한 인상 채득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임플란트 인상 채득 방법이나 인상용 코핑의 연결 고정 유무에 따른 각 군 간의 정확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다.

인상용 트레이의 종류와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이 임플랜트 주모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The Accuracy of Master Cast for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the Types of Impression Tray and Splinting Methods of Impression Copings)

  • 이지혁;최유성;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33-4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주모형으로부터 인상체를 제거한 후 인상용 코핑이 인상체 내에 남아있는 개방형 트레이 인상법의 이용 시,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에 따른 효과와 인상 채득 시 사용될 수 있는 수종의 트레이가 주모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자가중합형 트레이 레진으로 제작한 개인 트레이, 플라스틱 금속 복합 트레이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 등의 3종류의 트레이가 사용되었고, 각 트레이 마다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 여부에 따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나누어진 총 6개의 군에서 각 실험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임플랜트 유사체와 지대주 사이에 발생한 수직오차의 측정에는 1-screw test법을 이용하였다. 1시편 당 총 6부위를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하여 동일한 수치를 나타낼 경우에 기록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 여부와 상관없이 개인 트레이군, 플라스틱 금속 복합 트레이군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개인 트레이, 플라스틱 금속 복합 트레이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한 경우 패턴 레진으로 연결고정한 군이 비연결고정 군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p<0.05).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증례 (Posterior single implant prosthesis using scannable healing abutment)

  • 김성민;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2-438
    • /
    • 2019
  •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에 정확한 인상 채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에는 임프레션 코핑과 인상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과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법이 있다. 하지만 인상용 코핑과 scanbody는 모두 구강 내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제거하고 장착해야 한다. 때문에 술자는 치유 지대주와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를 여러 번 체결하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는 교합면보다 높게 솟아 있어 환자는 지속적으로 개구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치유 지대주에 scanbody의 스캔 가능 부분(scannable part)을 부여하여 치유 지대주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구강 내에서 직접 구강 스캐너로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scannable healing abutment)가 소개되었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하여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를 수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경사진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를 위한 역공학 기법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on the evaluation of impression accuracy in angulated implants)

  • 정홍택;이기선;송소연;박진홍;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61-270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기존에 존재하던 몇 가지 다른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방법들과 역공학 기술을 비교하고 (2) 역공학 기술로 임플란트 식립 방향 및 임플란트 인상용 코핑의 종류에 따른 인상 채득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 식립 방향에 따른 세 가지 다른 마스터 모델을 제작하였고, 그 중 임플란트를 평행하게 식립한 마스터 모델에서 두 임플란트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디지털 캘리퍼를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DC), 광학 사진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OM) 및 역공학 기술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RE)). 세 종류의 마스터 모델 별로 각각 세 가지 유형의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한 후 총 90개의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실험 모델들과 마스터 모델 간의 각도 및 거리의 오차율(error rate)을 계산하였다. 세 가지 평가 방법 간의 비교에는 One-way ANOVA가 사용되었다 (P < .05). 각 실험 그룹들의 오차율은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5). 결과: 그룹 DC의 오차율과 그룹 RE의 오차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P < .05), 그룹 OM의 오차율을 다른 그룹들과 비교하였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 역공학 기술로 측정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는 디지털 캘리퍼 및 광학 사진 측정으로 계산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보다 상당히 낮았다. 하이브리드 인상용 코핑 그룹은 거리 오차율에서 픽업 인상용 코핑 그룹과 큰 차이가 없었다 (P > .05). 결론: 본 실험을 통해 역공학 기술이 임플란트 인상의 삼차원적인 정확도 평가 기법으로서의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인상채득의 정확성 (Accuracy of the healing abutment and impression coping combined system on implant impression)

  • 전경배;이두형;김정한;황준호;박현위;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5-110
    • /
    • 2015
  • 목적: 새롭게 개발된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인상채득과 기존의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한 인상채득을 3차원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시스템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10명의 환자에서 구치부에 임플란트(SuperLine; Dentium, Seoul, Korea)를 식립 후 치유지대주(MyHealing; Raphabio Co., Seoul, Korea)를 연결하였다. 식립 3개월 후 보철물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시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transfer 방식과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pick-up 방식으로 두 번 인상채득 후 각각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맞춤형 보철 지대주(Myplant; Raphabio Co., Seoul, Korea)를 제작하고 각각의 주모형에 체결 후 치과용 스캐너(Scanner S600; Zirkonzahn, South Tyrol, Italy)로 가상의 모형을 형성하였다. 3차원 분석 프로그램(Geomagic Qualify 12; Geomagic, Morrisville, NC, USA)을 이용하여 두 개의 가상의 모형을 중첩하여 지대주의 위치와 기울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측정값은 Kruskal Wallis과 Mann-Whitney U test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0.05 로 설정하였다. 결과: 두 가지 인상법에 따른 지대주의 위치는 근원심 방향에서 0.032 mm, 협설측 방향에서 0.029 mm, 상하 방향에서 0.023 mm의 차이를 보였다. 기울기는 근원심 방향에서 $0.755^{\circ}$, 협설측 방향에서 $1.275^{\circ}$, 상하 방향에서 $0.420^{\circ}$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인상채득 방식은 기존의 전통적인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방식과 비교 시 0.032 mm 이내의 차이를 보였고 기존 논문과의 비교 시 유사한 수치이다.

경사지게 식립된 임플랜트 모형에서 지대주를 인상용 코핑으로 이용한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accuracy of new implant impression technique using abutments as impression copings with an angulated implant model)

  • 이혁재;김창회;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1-208
    • /
    • 2008
  • 연구목적: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를 인상용 코핑으로 이용하고 레진이나 금속 구조물에 접착하여 스플린팅하는 새로운 인상법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3개의 임플랜트가 $15^{\circ}$ 경사지게 식립된 모형에서 closed tray 인상법과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고 두 번째,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을 앞의 두 가지 인상법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개의 임플랜트 아날로그가 선상으로 배열되고 가운데 아날로그는 모형에 수직이고 양쪽 끝 아날로그는 이것에 앞뒤로 $15^{\circ}$ 경사지게 배열된 주모형과 주모형에 잘 적합되는 기준구조물을 제작하였다. closed tray 인상법,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 지대주-레진구조물 접착 인상법, 지대주-금속구조물 접착 인상법, 각 10개씩 40번의 인상을 채득하여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 이미지 처리할 수 있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준구조물과 복제모형내의 아날로그와의 수직간격을 측정하여 인상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one-way ANOVA와 사후 검정으로 Tukey test를 5% 유의수준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closed tray 인상법;74.3 (${\pm}33.4$)${\mu}m$의 간격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과 다른 두 가지 새로운 인상법보다 간격의 크기가 통계적 유의성 있게 컸다(P<.05). 지대주-금속구조물 접착 인상법;42.5 (${\pm}11.9$)${\mu}m$은 다른 인상법들 보다 간격의 크기가 통계적 유의성 있게 작았다(P<.05). 지대주-레진구조물 접착 인상법;51.0 (${\pm}14.1$)${\mu}m$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50.3 (${\pm}16.9$)${\mu}m$과 통계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이 연구의 한계 내에서,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은 closed tray 인상법보다 우수한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지대주를 금속구조물에 접착하는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보다 우수하였다.

Biofunctional Prosthetic System(BPS) 를 이용한 심미 총의치 제작 (Esthetic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utilizing Biofunctional Prosthetic System (BPS))

  • 노관태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8-74
    • /
    • 2015
  • 최근 건강한 고령 무치악자가 증가하면서 높은 기능과 심미성을 갖춘 의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BPS(Biofunctional Prosthetic System)는 현재 미국, 일본의 많은 학교에서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있으며, 각 단계가 표준화, 시스템화 되어있어 의치제작 경험이 비교적 적은 술자도 만족도 높은 의치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이 BPS의 치 제작법에 하악 총의치의 흡착 메커니즘을 융합하면 기능시 안정된 하악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BPS와 하악총의치 흡착 인상법을 이용하여 기능시 안정되고 심미성이 뛰어난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임플란트 인상 채득 시 트레이 종류에 따른 인상체의 정확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curacy of impression body according to the types of impression tray)

  • 이현정;임종화;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8-54
    • /
    • 2010
  • 연구 목적: 보편화된 임플란트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임플란트와 상부 보철물의 연결 시 완전한 수동적 적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게 인상 채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고정체 수준 인상 채득 방법 중 인상체 제거 후 인상용 코핑이 인상체에 남아있는 open tray 인상법과 구강 내에 남아있는 closed tray 인상법, 그리고 인상 채득 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트레이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 모형은 하악 악궁 형태로 열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vertical gap을 관찰할 20 mm 간격의 기준 구조물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실험 모형에 임플란트 유사체를 매몰하였다. 실험군은 트레이 레진으로 제작한 개인 트레이,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 그리고 금속 기성 트레이 등의 3가지 트레이를 이용하였고, closed tray 인상법과 open tray 인상법의 2가지 인상 채득법에 따라 5개 군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위치에 따른 오차를 관찰하기 위해 시편 모형을 전치부, 구치부로 다시 나누어 총 10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였다. 1군당 총 9개의 시편을 제작하였고, 시편에 기준 구조물을 한 쪽 지대주만 20 Ncm으로 고정시킨 후 관찰하는 1-screw test를 이용하여 반대쪽의 임플란트 유사체와 지대주와의 gap을 입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시편당총6부위를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을 때 수치를 기록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Closed tray 인상법 사용 시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와 개인 트레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open tray 인상법 사용 시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와 개인 트레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시 open tray 인상법과 closed tray 인상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폴리카보네이트 트레이를 이용한 closed tray 인상법을 개인 트레이를 이용한 open tray 인상법과 비교 시 전치부, 구치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결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를 사용 시에는 open tray 인상법이 더 추천되는 바이며, 생체 외 실험의 한계성에 유의해야 하며, 정확한 임플란트 고정체 수준 인상 채득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