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도사상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Original Implication and Socio-cultural Usefulness of "One" ('하나'에 내포된 원형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활용가치)

  • Lee, Chul-Ji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8
    • /
    • pp.199-207
    • /
    • 2019
  • One philosopher said that knowing the identity of one clump of grass on the roadside could reveal all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If you know one, you can know two. If you know two, you can know three. If you know the form, you can know the whole. If you know the image(eidos), you can know the non-image, life, and death. But we are wandering in a dream because we don't know the one clump of grass, "One". For a long time I have been searching for a road to know "One". While studying of the process searching the truth, not only do we reveal logic development making One a language, but also we would like to provide the application of cultural contents applied to that One.

A Study on the Deok and Its Practice in Daesoon Thought: The Great Deok of Heaven and Earth of Kang Jeungsan (대순사상에 나타난 덕(德)과 그 실천수행 -강증산의 '천지대덕(天地大德)'과 관련하여-)

  • Joo, So-yeon;Ko, Nam-sik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8
    • /
    • pp.1-46
    • /
    • 2021
  • Since ancient times, the word Deok (德, virtue) has been used as a term in ethics. In the east, it originally meant 'to acquire (得),' an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was used to indicate 'personality' or 'value;' especially for political leaders. Then, in Confucianism, the word Deok developed into an ethical term suggesting that people should acquire Deok in their action so as to achieve human perfection. In Daesoon Thought, Deok originates from the Dao, and the two are close in the same manner that Yin and Yang are close and interrelated. The Dao of Daesoon Thought indicates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which Gucheon Sangje had opened when he performed his Gongbu (holy work) at Daewonsa Temple, is such that the Great Deok was divided into the Deok of Heaven, the Deok of Earth, and the Deok of Humanity. This allows for the realization of Deok in each of the Three Realms. Jo Jeongsan, the successor of Gucheon Sangje, said that he will inherit the Great Deok originated from the Great Dao and enlighten the world to the Dao. The cause of the accumulation of grievances in the Three Realms was due to the failure to sufficiently spread Deok throughout the Three Realms. The Later World is where Deok will be offered in its full extent as it was secured by the Cheonjigongsa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performed by Gucheon Sangje. However, as the main agent of spreading Deok is the heart-mind, humans need to cultivate their heart-mind in the correct way. When humans finally become Dotong-gunja (beings who are perfectly unified with the Dao) and generously practice Deok in the world, there will be no grievances anywhere in the Three Realms. There are four ways of practicing Deok: Deok by caring for life, Eondeok (Deok of speech), Gongdeok (practicing meritorious Deok), and Podeok (spreading of Deok) to the world. Practicing the Deok by caring for life is to save and protect living beings based on the spirit of Jesaenguise (saving lives and curing the world). Eondeok is practiced when people speak to others in a positive way that fosters widespread goodness based on the spirit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When people perform Gongdeok they will be rewarded for their actions. Podeok can be realized when the followers of Sangje spread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based on the teachings of Daesoon Thought.

Wonhyo's Philosophy of Mind (원효의 마음의 철학 - 마음의 생성과 소멸 -)

  • Ryu, Sung-Joo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7
    • /
    • pp.39-61
    • /
    • 2009
  • Numerous Researches on the Buddhist perspective of Wonhyo agree that the Mind is the core principle of Wonhyo's Buddihist perspective.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paper identifies the philosophy of Mind-only(vijñaptimātratā) in the broader perspective, that is, "Mind is the first principle of the existence", as the core thought of Wonhy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organize the systematic theories of consciousness, one of the principle sectors of Wonhyo's philosophy of vijñaptimātratā. One can find most systematic texts of consciousness of Wonhyo in 『GiSilRonSo』 and 『GiSilRonByeolGi』. Although 『GeumGang SamMaeGyeongRon』 includes some interpretations of consciousness,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 consistent structure based on it. Beside tā.JangEui』, which discusses the meaning of vijñaptimātratā centering around affliction, Wonhyo's opinion about important issues of vijñaptimātratā philosophy such as ālayavijñāna, permeation, bījadharma, and aspects of perception appears in fragments. Thus, this paper focuses on 『GiSilRonSo』 and 『GiSilRon ByeolGi』, Wonhyo's interpretation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大乘起信論), as well as 『IJangEui』, 『PanBiRyangRon』 and 『Geum GangSamMaeGyeongRon』. The researcher examines how one-mind,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become the principles of 'neither arising nor ceasing'(不生滅) and 'arising and ceasing'(生滅) of all beings. The process of how one-mind develops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and its ontological structure are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Wonhyo's interpretation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analyzed. Besides, the method how various theories about vijñāna from Tathāgatagarbha's and Yogācāra's philosophy can be synthesized is examined based on Wonhyo's arguments. The four aspects of existence(caturākāra 四相) -arising(生), abiding(住), changing(異), and ceasing(滅)- which is transformed according to stages and dimensions of 'arising and ceasing', and phases of mind such as delusion of three fine states(三細) and six rough states(六麤), five consciousness(五意), and six defiled states(六染) are interpreted based on Tathāgatagarbha's and Yogācāra's philosophical system.

대순진리회의 수도 요체와 심신 수양

  • 양옌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323-367
    • /
    • 2013
  • 한국의 대순진리회는 증산 성사의 가르침을 숭신하는 종교단체로서, 한국 사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1969년 창설된 대순진리회는 포덕·교화·수도를 삼대 기본사업으로, '음양합덕·신인조화·해원상생·도통진경'을 종지로, '안심·안신·경천·수도'를 사강령으로, '성·경·신'을 수도의 삼요체로 삼고 있다. 또한 인간개조와 포덕천하·구제창생·보국안민을 통하여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순진리회는 사상적 측면에서 무(巫)와 유(儒)·불(佛)·도(道)를 포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순사상을 바탕으로 대순진리회의 도인들은 근엄하고 세밀한 실천수도를 수행하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 유·불·도의 양생문화와 많은 공통점이 있는 동시에, 또한 뚜렷한 한국 문화의 특색을 띠는 부분도 있다. 이런 면들은 모두 개인적 수도와 사회적 안정을 실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안심·안신·경천·수도'의 사강령은 대순진리회의 도인들이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행위규범이다. '성·경·신'의 삼요체는 사강령을 실천하기 위한 내면적 수양으로서 모든 수도활동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삼요체 중에서 '성'을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오직 '성'을 갖춘 사람만이 '경'과 '신'을 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마음속에 망념이 있거나 경거망동을 하는 사람들은 상제에 대한 '경'과 '신'을 잃게 된다. '성실함'이라는 내면적 도덕 품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더욱 정직하고 안정되며 오래 지속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성'은 수도자들로 하여금 더욱 순수해지고, 어리석음을 버리게 한다. 크나큰 도를 성취하려면 먼저 이렇게 얼핏 보기에는 어리석지만 끈기 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성'하면 기운이 솟구쳐 내면이 더욱 안정되고 번뇌는 사라진다. 성심을 수련하면 마음이 안정되고, 마음이 안정되면 정신이 안정되는데, 정신이 안정되면 걱정이 사라지기에 몸도 건강해진다. 삼요체중 '경'과 '신'에 있는 큰 의미 가운데 하나는 상제님에 대한 경배와 믿음을 끝까지 가지라는 것이다. '해원상생·보은상생'은 대순사상의 가장 중요한 대도(大道) 윤리로서 도인들의 수도를 인도하는 기본적인 법칙이다.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해원은 단지 개인 한 사람의 해원이 아니라 우주의 질서를 바로잡는 해원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순진리회 도인들은 개개인으로 시작하여 자신의 원한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땅의 원한, 천민의 원한, 여인의 원한 등 모든 원을 해결해 주고자 한다. 즉 삼계의 모든 불평등을 해소하고 불합리한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다. 해원의 다른 측면은 보은이라 할 수 있다. 해원과 보은은 상보상조의 관계에 있는데, 이는 곧 도인들이 행하는 수도의 양 날개라 생각된다. 해원을 통하여 과거의 장애를 제거하고, 보은을 통하여 현재의 덕을 쌓는 것이다. 보은을 하려면 항상 감사의 마음을 간직해야 한다. 그 의미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다른 사람이 베푼 은혜를 항상 고맙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며, 더 나아가 천지가 우리에게 베푼 은혜도 감사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원한이 풀어지고, 모든 은혜를 다 갚았을 때 삼계가 조화롭고 통하게 될 것이다. 대순진리회에서는 도인들의 실천수도 면에서 두 가지 측면을 강조하는데, 즉 포덕교화와 근언신행이다. 근언신행은 자아발전을 위한 도인들의 내적 수련이며, 포덕교화는 도인들이 외부 세상에 대순사상을 알리고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양자는 동전의 양면과 같이 떨어질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다른 사람을 포덕·교화 하려면 도인들 스스로가 먼저 말과 행동에 조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말과 행동을 조심하는 것 자체가 곧 포덕교화에서 다른 사람의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인생을 살면서 추구해야 할 가장 높은 목표는 덕(德)을 세우는 것이고, 그 다음은 공(功)을 세우는 것이며, 그 다음은 언(言)을 세우는 것이다. 덕·공·언은 세월이 지나도 그 가치가 빛을 바래지 않는다. 이 세 가지 중 한 가지를 이룬 사람이면 불후하다고 할 수 있다. 성인들이 성인으로 칭송 받았던 이유는 모두 육체를 초월한 덕·공·언으로 세상을 풍요롭게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그들이 세상을 떠났다 하더라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영원히 추앙되니, 이것을 통하여 영생을 얻는 것이다. '영생(永生)' 만큼 높은 경지에 도달하는 '양생'이 또 어디에 있겠는가? 대순진리회 실천수도의 최고목표는 바로 인간 내면의 수양을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리는 것으로서 이는 곧 음양합덕·도통진경이다. 다시 말해서 영원히 불후한 경지에 이르고 만세(萬歲)토록 영생하는 것이며 신(神) 그리고 성인이 되는 것이다.

Study on the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Goryeo Tradition in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of the Amitayurdhyana Sutr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the Focus on the Concept of Rebirth in the Pure Land- (조선전기 관경십육관변상도에 보이는 고려 전통의 계승과 변용 -정토인식과 왕생관의 변화를 통해-)

  • Lee, Seung-H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1 no.1
    • /
    • pp.126-147
    • /
    • 2018
  • The compositions and iconographies of the thre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produ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ffectively manifest the transitional period of Joseon society as well as the Joseon people's perception of the Pure Land. In particular, the painting at titled Chionji (知恩寺) dated 1435 and another painting at titled Chion' in (知恩院) from 1465, which were commission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and high-ranking monk, embody the Pure Land faith of the Tiantai School of Buddhism (天台宗) which thrived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This indicates that the Joseon royal court continued to favor the Pure Land faith that emphasized salvation through "self-power" (自力), which was popular among both the royal family and the nobility of Goryeo. On the other hand, in the painting at titled $H{\bar{o}}rinji$ (法輪寺),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compositions and iconographies shown in late Goryeo examples of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are disassembled. Moreover, a new iconographical motif, i.e. "welcoming the dragon boat" (龍船接引), emerged with this painting. This motif symbolizes the idea that the souls of the deceased are guided by Amitabha Buddha to rebirth in the Pure Land of Extreme Bliss, which is based on the "other-power" of the Pure Land faith that emphasizes the power of Amitabha Buddha in attaining salvation rather than the educational "self-power" of the Pure Land faith. The emergence of this motif demonstra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Pure Land belief into a faith that relied on the "other-power" of Amitabha in Joseon's Confucian society.

A Study on the Types of Love in and : Focusing on Plato's Theory of Eros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사랑의 유형에 대한 연구: 플라톤의 에로스론을 중심으로)

  • Kim, Min-Kyu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3
    • /
    • pp.1-22
    • /
    • 2016
  • So far, the Studio Ghibli's major masterpieces, and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from myth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due to the films' intrinsic symbolism within their characters and events.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in-depth research on the types of love the two works have.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how the types of love in the two animations mirror the concept of love in Plato's theory of Ero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films' characters. The desire for memory and recovery can be seen in , and glimpses of each phase of aim towards changes in physical appearance can be shown in . These describe the function and the purpose of Eros that Plato states in Socrates' terms in Phaedrus and Symposium. Plato ultimately defined Eros as a spirit that leads to the world of Ideas and suggested the five stages of love that are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ultimate purpose and attitude of mankind towards Eros. The cognition area, changes in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and spatial ranks in and critically reveal such core concepts of the theory of Eros. It is noteworthy that the two works show the origin of the most universal ideology of the West. These two animation films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erms of that they reflect the western epistemology while covering exclusive and covert ethnic emotions.

Establishment of hydraulic/hydrological models in the Mekong pilot area using global satellite-based water resources data (focusing on HEC-RTS/HMS model application) (글로벌 위성기반 수자원 데이터 활용 메콩지역 수리/수문모델 시범 구축 (HEC-RTS/HMS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 Cho, Younghyun;Park, Sang Young;Park, Jin Hy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1-111
    • /
    • 2021
  • 메콩지역은 최근 연 7%에 육박하는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며 아세안의 고성장을 지속 견인하고 있으나, 기후변화 및 급속한 도시화로 매년 가뭄·홍수 등 물 관련 재해 발생 빈도 및 강도 증가와 이에 따른 상·하류 국가간 물 분쟁 등으로 인해 메콩지역 지속가능 발전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 이에 한국과 미국은 메콩우호국(Friends of the Lower Mekong, FLM) "메콩지역 수자원 데이터 관리 및 정보공유 강화에 관한 공동성명(2018년 8월)"을 계기로 메콩유역의 실시간 수자원 변동 모니터링 및 분석과 수자원 데이터 공동활용 역량을 강화하여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수자원관리 지원과 함께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메콩 주변국 재해경감 및 수자원 데이터 활용 역량강화를 위한 글로벌 위성기반 수문자료의 생산·활용 및 홍수·가뭄 등의 수재해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는 한국 K-water의 물관리 기술과 미국 NASA, USACE의 위성활용 및 수자원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메콩지역의 체계적인 물관리 및 재해로부터 안전성 확보 기여에 목표를 두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미공병단(USACE, U.S. Army Corps of Engineers)의 HEC software 프로그램을 메콩 시범지역(pilot area)에 적용하여 수리/수문모델 구축을 진행코자 한다. 구축되는 모형은 유역 상류 댐의 연계 모의운영 및 하류 홍수분석이 동시 가능한 HEC-RTS(Real-Time Simulation)로 이는 HEC-HMS, -ResSim, -RAS와 -FIA 모형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수리/수문 모델링 시스템이다. 모형의 시범적용 지역은 현지 메콩위원회(MRC, Mekong River Comission)의 의견 등을 반영, 메콩강 하류지역(Lower Mekong) 본류 유역에 위성 자료 활용 및 준실시간(near real-time)으로 댐 모의운영 등을 고려할 수 있는 JingHong댐(중국 란창강 최하류)에서 라오스 Xayaburi댐(메콩강 최상류)까지의 구간을 선정하였다. 한편, 금번 연구에서는 HEC-RTS 중 HMS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가용한 위성자료(GPM IMERG)와 K-LIS 지표 모형 생산 자료를 활용하여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모의를 고려하였다. 아울러, 연구에서 구축된 HMS 모형은 HEC-RTS에 포함되어 메콩 시범지역의 종합적 수리/수문분석에 적용될 예정이다.

  • PDF

Establishment of hydraulic/hydrological models in the Mekong pilot area using global satellite-based water resources data II - focusing on HEC-RTS/RAS model application (글로벌 위성기반 수자원 데이터 활용 메콩지역 수리/수문모델 시범 구축 II - HEC-RTS/RAS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 Cho, Younghyun;Noh, Joonwoo;Park, Sang Young;Park, Jin Hy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1-121
    • /
    • 2022
  • 한국과 미국은 2018년 8월에 발표한 메콩우호국(Friends of the Lower Mekong, FLM) "메콩지역 수자원 데이터 관리 및 정보공유 강화에 관한 공동성명"을 계기로 메콩유역의 실시간 수자원 변동 모니터링 및 분석과 수자원 데이터 공동활용 역량을 강화하여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수자원관리 지원과 함께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메콩 주변국 재해경감 및 수자원 데이터 활용 역량강화를 위한 글로벌 위성기반 수문자료의 생산·활용 및 홍수·가뭄 등의 수재해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는 한국 K-water의 물관리 기술과 미국 NASA, USACE의 위성활용 및 수자원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메콩지역의 체계적인 물관리 및 재해로부터 안전성 확보 기여에 목표를 두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미공병단(USACE, U.S. Army Corps of Engineers)의 HEC software 프로그램을 메콩 시범지역(pilot area)에 적용하여 수리/수문모델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구축되는 모형은 유역 상류 댐의 연계 모의운영 및 하류 홍수분석이 동시 가능한 HEC-RTS(Real-Time Simulation)로 이는 HEC-HMS, -ResSim, -RAS와 -FIA 모형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수리/수문 모델링 시스템이다. 모형의 시범적용 지역은 현지 메콩위원회(MRC, Mekong River Comission)의 의견 등을 반영, 메콩강 하류지역(Lower Mekong) 본류 유역에 위성자료 활용 및 준실시간(near real-time)으로 댐 모의운영 등을 고려할 수 있는 JingHong댐(중국 란창강 최하류)에서 라오스 Xayaburi댐(메콩강 최상류)까지의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전년도에는HEC-RTS 중 HMS(Hydrologic Modeling System)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가용한 위성자료(GPM IMERG)를 활용하여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모의를 고려한 강우-유출모형의 구축을 완료하였다. 이에 연속하여 금년도에는 동일유역 내 하천 단면 등이 확보된 Chiang Saen 지점에서 Xayaburi 댐까지의 구간에 대해 RAS(River Analysis System)을 구축할 예정으로 구축된 RAS 모형은 HEC-RTS에 포함되어 메콩 시범지역의 종합적 수리/수문분석에 적용될 예정이다.

  • PDF

Study on Korean Ancient Dietary Culture through Japanese Sacrificial Offerings -Danjanjinja Kakitsisai(2)- (일본신찬(日本神饌)을 통한 한국고대식(韓國古代食)의 추정연구(推定硏究) -담산신사(談山神社) 가길제(嘉吉祭) 백미어식(百味御食)(2)-)

  • Kim, Chon-Ho;Kaneko, Kentaro;Sumino, Takeshi;Kaneda, Takash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8 no.2
    • /
    • pp.139-146
    • /
    • 1993
  • The predeccessor of Danjanjinja was Myorak temple which is built in the 7th century. At that age, the Buddhist culture of Japan had highly prospected by transmitting Buddhism to Japan from Han peninsular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god of Fujiwara family in Danjanjinja is Uchigami which is one of typical Japanese popular belief like Dangshin of Korean's. Through these historical background, it could by presumed that the Kakitsisai might be the original form of Korean Buddhist sacrificial offerings from ancient age. So this study on Kakitsisai what had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bout for 1300 years help us to study and estimate the ancient dietary culture of Korean and Japanese. 1. Kakitsisai performed high filling method in the sacrificial offerings like Kasuga, Horyuji and Korea. 2. The patterns and colors of high filling offerings are various in Korea and Japan. 3. They used unpolished rice by ancient rice, and called red and black one. We can guess both of countries ate unpolished rice at that age. 4. They used many kind of ancient wild fruits and vegetables. We could recognize what the ancients had eaten the foods.

  • PDF

The Philosophy of Good and Evil Engraved on Roof - End Tiles - A Contempl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 Yun, Byeongyeo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1
    • /
    • pp.4-23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universal meaning of the roof-end tile, our cultural property, and especially focuses on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mile of Silla" roof-end tile. In addition,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read here is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universal problem of philosophy. The issue of good and evil is a theme in philosophy, theology, religion, and culture that will endure throughout human history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Augustine and Schelling inquired deeply into the source of evil and obtained an answer to this question based on their methods, but their answer is not universal or absolute, or an answer that applies to everyone.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good and evil possesses both a direct relationship with every human being and a characteristic that will remain unresolved. That is to say, the metaphysical question regarding the source of evil will always be one that is open. Nietzsche, however, repudiated the morals handed down through Socrates and Christianity, and urged that we reside "beyond good and evil." This brief review argues that good and evil exists in the form of a being in itself, whether it is within our grasp or not, and reveals that good and evil is more "this-worldly" than it is "other-worldly". The roof-end tiles with facial markings passed on to us also presuppose that evil is in full force in this world and exerts its influence. This review taps into several folk methods for coping with the existence of an invincible evil that surpasses human capability and contemplates the extraordinary and creative ideas of the Silla people through their "Smile of Silla" roof-end tiles with facial markings that were used to counter ev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