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구변동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5초

인구변동 추이와 전망 -2000년대를 향한 국가장기발전 구상을 중심으로- (Trend of Population Change and Future Population in Korea - Korean Future in Year 2000;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

  • 고갑석
    • 한국인구학
    • /
    • 제8권1호
    • /
    • pp.87-117
    • /
    • 1985
  • In Principle, the distriction should be understood between projections and forecasts. When the author or user of a projection is willing to describe it as indicating the most likely population at a give date, then he has made a forecast Population change since 1 960 has been reviewed briefly in order to forecast the population of Korea in the year 2,000 which is a leading factor in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plan for which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KIPH) has been participated since 1983. The author of this paper introduced the population forecast prepared for the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an attempt of comparisons with other forecasts such as D.P. Smith's, T. Frejka's, Economic Planning Board's (EPB), UN's and S.B. Lee's was made. Those six forecasts of Korean future population in year 2,000 varried from 48.5 million to 50.0 million due to the base population and assumption of fertility and mortality however the range of total population size is not large enough. Taking four forecasts such as KIPH, EPB, UN, and Lee based on 1980 population census results and latest data of fertility and mortality, KIPH and UN forecast are close in total population size even though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fertility and mortality assumptions. The smallest size of total population was shown by S.B. Lee (see Table 13)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KIPH and Lee was approximately one million which is two percent of total population in year 2,000. As a summary of conclusion the author pointed out that one can take anyone of forecasts prepared by different body because size and proportion wise of the Korean population until early I 990s can not be different much and new population projections must be provided by using 1985 population census data and other latest fertility and mortality information coflected by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and Economic Planning Board in forth comming year.

  • PDF

최저임금 인상이 근로자 고용규모에 미치는 영향: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이용한 분석 (Effects of Minimum Wage Increases on the Volume of Waged Employment: Evidence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 강창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1호
    • /
    • pp.73-101
    • /
    • 2021
  • 본 논문은 Cengiz et al.(2019)이 제안한 집군(集群)추정법을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에 적용해 2009~2019년 기간 최저임금 인상이 근로자 고용규모에 미친 영향을 추정한다. 집군추정법은 강창희(2020)에서도 적용된 방법으로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시간당 임금 분포의 변동을 활용하고, 한국과 같이 전국적으로 동일한 최저임금을 채택하는 노동시장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추정 결과에 의하면, 2009~2019년 기간 동안 연도별 최저임금의 인상은 고용규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최저임금이 10% 인상되면 근로자 전체 고용규모는 약 1.42~1.7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저임금 인상의 부정적 고용효과는 근로자 집단별로, 사업체 특성별로 서로 다르다. 최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집단에서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 향후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부정적인 고용효과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이성 분석: 동적 시각화방법을 토대로 (Time-Space Variability Analysis for the Weekly Passenger Flow of the Seoul Subway System: Based on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 이금숙;김호성;박종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8-172
    • /
    • 2017
  • 본 연구는 동적 시각화 방법을 토대로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동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1주일치 교통카드 자료에서 요일별로 1분 간격으로 지하철 승객흐름을 추출한다. 지하철망상의 통행흐름의 시공간적 분포를 나타낼 수 있도록 동적 시각화 방법을 고안하여 지하철 승객의 시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요일 간 변동성을 직관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로 주중과 주말 지하철 승객흐름의 시공간적 분포 패턴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주중과 주말에도 요일에 따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서울의 주요 중심업무지역들과 유흥지역들의 승객흐름에도 요일별 승객흐름 양상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의 토대가 될 뿐 만 아니라 도시 재해 재난이 발생할 경우 피해에 노출되는 인구규모를 파악하고 신속한 대피대책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노후부양의 바람직한 자원으로서의 가족, 자신 및 국가에 관한 한국 노인들의 태도 (Family, Self or State as a Desired Source of Support for the Elderly)

  • 김정석;이가옥
    • 한국인구학
    • /
    • 제22권2호
    • /
    • pp.197-220
    • /
    • 1999
  •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사회가 인구변천의 마지막 단계에 진입하면서 인구관련분야의 정책의 핵심은 출산과 인구통제에서 노령인구의 문제로 옮겨지고 있다. 최근들어 국가가 자가부양(self-care)이나 가족부양(family care)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적 서비스(public service)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강조됨에 따라 노인부양규범이나 공적 서비스(public service)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강조됨에 따라 노인부양규범이나 의식의 현황 및 변환에 관한 이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4년 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노인생활실태조사>를 이용하여 노부모들이 어느 정도로 가족, 자신 그리고 국가를 바람직한 노후생활의 부양원으로 보는가를 알아 보고 있다. 다항로짓 모형에 근거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아들이 없는 노부모인 경우 가족이 노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견해가 약하고, 경제나 건강상 여건이 좋은 노인일수록 자가부양의 견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거나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노인들이 국가의 책임을 강조한다고 가정한 가설은 본 연구결과 지지 받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적 함의나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은 결론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 PDF

실시간 가격비교 쇼핑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Price Comparison Shopping Agent)

  • 박나연;조이기;김원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340-342
    • /
    • 2002
  • 최근 인터넷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어떤 쇼핑몰사이트의 가격이 가장 싼 지를 결정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때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것이 가격비교 사이트들이다. 그러나 shopbinder, yabis, omi와 같은 기존의 가격 비교 쇼핑 에이전트들은 사용자가 가격과 같은 제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그 사이트에 접속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격 비교 쇼핑 에이전트에 접속하지 않고서도 변동되는 가격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쇼핑몰의 네트워크에 최소한의 부하를 주면서도 정확한 가격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는 BPS(Best Price Search) 시스템에 관해 연구하였다.

  • PDF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 변화의 시.공간적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Land Use Change by Accessibility Changes)

  • 원석환;황철수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9
    • /
    • 2010
  • 수도권의 도시화 과정은 서울로의 교통 접근성의 변화에 따라 급속하게 확산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도시화 과정 속에 인구 교외화, 주택 수의 증가, 도심용지 토지이용 증대, 토지가격의 증가 등의 다양한 공간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도시화의 과정 속에 국토의 난개발이 이루어졌고 자연생태 파괴, 주택부족 및 교통 문제, 토지 투기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고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MAS)을 이용하여 교통접근성과 토지이용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래서 교통접근성의 변화로 인한 주변 토지 이용 변화를 공간적으로 예측하려고 한다.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미시적인 경관 분석을 실시한 후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자료와 토지이용 자료를 GIS분석 및 통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관성 분석 결과를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전용 플랫폼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다.

  • PDF

氣候學

  • 김연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13권
    • /
    • pp.13-19
    • /
    • 1976
  • 본 고에서는 기후학연구의 동향을 대략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기후학연구의 시작은 해방과 한국동란의 긴 격동기를 거쳐 1960년대에 들어와서라고 할 수 있고, 본격적인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라고 볼 수 있다. 연구분야에 있어서는 기후분류를 주로했던 초기단계에서 기후요소나 변동을 다루게 되었고 최근에는 기후지형, 수분수지, 기단기후, 체감기후등의 방향으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meso scale이나 micro scale의 연구가 개척되지 않고 macro scale의 기후연구에 머물러 있는 감이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초반에 걸친 우리나라의 산업근대화나 인구의 증가,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중기후나 소기후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졌고 특히 일약팽창하는 도시에 있어서의 기후환경의 연구는 현대생활에 불가피의 과제이다. 이 방면에 약간의 연구가 시작되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많은 연구문제가 방치되어있다. 중.소기후의 연구에는 현재보다 훨씬 많은 관측망의 설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도시기후의 관측에는 관측계기나 관측에 따르는 재정적인 문제가 달려있다. 이와같은 분야의 연구는 연구 team의 문제도 있어 개인연구로서는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따라서 연구기관이나 국가의 지원하에 도시기후의 공동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최근의 기상변동과 PMP의 변화 (The Change of PMP According to Recent Meteorological Variation)

  • 김남원;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03-1207
    • /
    • 2004
  •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보고서"(건설교통부, 2000b)에서는 1969년부터 1999년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132개의 주요호우를 분석하여 전국적으로 일반화된 PMP를 추정(건설교통부, 2000a)하였다. 그러나 1999년 이후, 2002년 태풍 루사(Rusa) 등의 극치호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 추정된 PMP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인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발생한 주요 호우의 DAD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들 호우에 내한 크기와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2000년 이후 발생한 호우가 PMP에 어느 정도 또는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줄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 PDF

Web기반 수질예측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System for Web-Based Water Quality Forecasting)

  • 안상진;전계원;유병로;한양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08-1412
    • /
    • 2004
  • 인구의 폭발적 증가, 산업화, 도시화의 급진적, 과학기숙의 발달 등으로 물 소비는 급증하는 반면, 이상기후현상으로 수자원의 절대량이 줄어 수자원의 양적인 문제와 하천 및 저수지의 수질오염에 대한 질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천의 수질현상 및 이송은 상당히 비선형적이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려, 실제로 수질의 예측은 유량의 변동,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 하천 구조물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상당히 어렵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한정된 수자원으로 하천의 수량과 수질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의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기상과 유출예측기술을 활용하여 용수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물관리 운영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입${\cdot}$출력 구성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상태공간 모형과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수계 주요 지점의 수질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모형의 적용성을 파악한 후 예측력이 우수한 모형을 Web기반 모형의 수질예측 모듈의 기본모형으로 선정하고 Web 상에서 수질예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교각일체형 세굴방지구조물에 의한 교각세굴 방지 (Scour Countermeasure using Additional Facility in front of Bridge Pier)

  • 김웅용;안상진;윤석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4-428
    • /
    • 2004
  • 본 연구는 장기하상변동, 단면축소세굴, 국부세굴로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세굴형태 중 국부세굴의 방지를 위하여 교자 전면에서 발생하는 하강류를 차단함으로써 교각 및 교각기초를 세굴로부터 보호하여 세굴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험적 인구로서, 동시에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각의 기초부의 전면에 유수방향과 대응되도록 세굴방지구조물을 설치하여 세굴방지구조물의 상부 끝단에 하강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각을 주었고 세굴방지구조물의 폭은 교자의 폭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이러한 세굴방지구조물은 기초에 하강류 차단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세굴심의 방지효과가 약 $20\~40\%$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교자기초에 설치하던 매트 및 사석보호공에 비해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