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서울대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와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지원(NRF-2016S1A3A2924944)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References
- 강창희.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규모에 미치는 영향: 집군추정법(Bunching Estimator)을 활용한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26권 1호 (2020): 87~133. https://doi.org/10.22823/JKEA.26.1.202004.87
- 김낙년. 「한국의 최저임금과 고용, 2013-2019」. 「한국경제의 분석」 26권 1호 (2020): 145~195. https://doi.org/10.22823/JKEA.26.1.202004.145
- 김대일.이정민.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효과」. 「경제학연구」 67권 4호 (2019): 5~35. https://doi.org/10.22841/KJES.2019.67.4.001
- 김태훈.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 및 임금효과」. 「노동정책연구」 19권 2호 (2019): 135~174. https://doi.org/10.22914/JLP.2019.19.2.005
- 박철성.송헌재.강창희. 「노동경제학」 (제7판), 시그마프레스, 2017. [원저: George J. Borjas. Labor Economics (7th edition), McGraw-Hill/Irwin, 2015.]
- 이정민.황승진.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39권 2호 (2016), pp.1~34.
- 홍민기.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 효과」. 「월간 노동리뷰」 2018년 5월호 (2018): 43~56. 한국노동연구원.
- 홍민기.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 추정」. 「경제발전연구」 25권 2호 (2019): 1~28.
- Cengiz, D., A. Dube, A. Lindner and B. Zipperer (2019). "The Effect of Minimum Wages on Low-wage Job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4 (3): 1405-1454. https://doi.org/10.1093/qje/qjz014
- DiNardo, John, Nicole M. Fortin, and Thomas Lemieux (1996).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Wages." 1973-1992: A Semiparametric Approach, Econometrica, Vol.64, pp.1001-1044. https://doi.org/10.2307/2171954
- Fortin, N., T. Lemieux and S. Firpo (2011). "Decomposition Methods in Economics."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ume 4, Part A: 1-102. https://doi.org/10.1016/S0169-7218(11)00407-2
- Juhn, Chinhui, Kevin Murphy and Brooks Pierce (1993). "Wage Inequality and the Rise in Returns to Skill."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1 (3): 410-442. https://doi.org/10.1086/261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