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과 자연 환경

Search Result 6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mpact on Habitat Changes by Restoration of Low-Flow Channel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물리서식처 모의를 통한 저수로 물길 조성이 서식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i, Jong Geun;Kim, Jong Joo;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7-107
    • /
    • 2019
  • 하천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공간이며 환경적,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하천은 물과 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독특한 생태 서식처 공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하천환경의 개선 및 복원에 대해 관심과 인식을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훼손된 하천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는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하천복원사업이 하천에 서식하는 수생물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물리서식처 분석이 수행되고 이를 통해 각종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천복원사업을 통한 생태유량 재산정, 보 철거의 영향, 다양한 복원기법을 통한 수생물에 미치는 영향 파악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하천복원사업으로 인한 수리특성과 수생 서식처의 변화를 살펴보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도의 단면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복원기법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조성 및 다양한 저수로 조성기법의 적용을 통해 우점종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주천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구간은 원주천 중 상류에 위치한 900 m 구간으로, 대상 어종은 원주천의 중 상류에 서식하는 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목표로 하였다. 수리분석과 서식처분석은 각각 River2D 모형과 서식처 적합도 모형을 사용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모형에 사용된 서식처 적합도 곡선은 Gosse (1982)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수심, 유속, 기층을 모두 고려하여 물리 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수로 물길 복원 조성을 위하여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으로의 복원 및 거석, 여울/소 구조, 단면의 확폭을 통해 기존 자연형 하천과는 다른 복원을 조성하였다.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복원을 조성한 결과를 이용하여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기존 자연하천인 현상태 대비 약 37% 가중가용면적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의 설계 조건에서 거석, 여울/소 구조 및 단면의 확폭의 복원을 수행하였을 때 서식처가 최소 약 3%에서 최대 21%까지 가중가용면적이 향상되었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al-dust Water Flocculant using Chitosan (키토산을 이용한 탄진수 응집제 개발 및 평가)

  • Hong, Woong-Gil;Nah, Jae-Woon;Jeong, Gyeong-W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2 no.2
    • /
    • pp.139-142
    • /
    • 2021
  • Coal-fired power plants use coal as the main raw material, and when a coal is moved, a dust generation and spontaneous ignition of coal occur. To prevent this, water is sprayed. As a result, wastewater called "coal-dust water" flows out of coal dust and water mixed together,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a natural flocculant that can purify water by aggregating fine dust using chitosan and tried to prove its applic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flocculation concentration was 4 ppm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flocculant to the coal-dust wa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material had very good coal-dust flocculation capacity through permeability and coal-dust removal efficiency. In addition, the cytotoxicity of the flocculant was evaluated through the MTT assa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toxicity at all. We believe that the flocculan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ffectively adsorb coal-dust without affecting human and natural ecosystems.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the human-modified hydrological drought : a case study of Han River basin (인위적 용수관리를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의 정의 및 적용성 검토 :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Shin, Ji Yae;Moon, Jang-won;Kim, Min-ji;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1-331
    • /
    • 2021
  • 수문학적 가뭄의 판단은 유출량과 저수지 수위 등을 비롯한 다양한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가능하다. 가뭄판단을 위한 유량 자료로는 수위관측소 관측 유량, 유출모형을 통한 모의 유량 자료가 주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관측 유량 기반의 수문학적 가뭄 판단은 인위적인 용수 배분이 고려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이 만든 수문학적 가뭄(Human-modified hydrological drought, 인위적 수문학적 가뭄)으로, 모의 유량 기반의 수문학적 가뭄 판단은 자연적인 수문과정이 반영된 자연유량을 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기후영향 수문학적 가뭄(Climate-induced hydrological drought)이란 정의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홍수기에 저류된 저수량을 비홍수기 동안, 특히 용수사용량이 많은 봄철 농번기에 활용하는 것이 수자원 관리의 기본방향이다. 따라서 우리가 직면하는 수문학적 가뭄은 대부분 댐 및 저류지에서의 용수 사용량 조절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상인자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되는 가뭄과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 유량과 자연유량 자료를 활용하여 위에서 정의된 두 종류의 수문학적 가뭄에 대하여 비교하고, 실제 발생되었던 가뭄 피해 정보와의 일치정도를 검토하였다. 가뭄의 판단은 각각의 가뭄지수를 표준유출량지수(Standardized Runoff Index, SRI)에 적용하며, 수정 Mann-Kendall 검증으로 두 지수들의 경향성을 비교하였다. 장기간의 관측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한강유역 일부지역에 적용한 결과 두 종류의 가뭄지수 모두 뚜렷한 경향성은 없으며, 댐 상류지역에서의 두 종류의 가뭄특성은 유사하게 나왔다. 하지만, 댐 하류지역에서는 인위적 수문학적 가뭄이 기후영향 수문학적 가뭄보다 발생빈도는 적으나, 지속기간은 약 한달 정도 짧고, 가뭄심도는 약 5~20 % 정도 증가하는 강도가 센가뭄이 발생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인위적인 용수 관리로, 약한 규모의 가뭄은 감소되고 있으나 큰 규모의 가뭄은 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용수 관리에 통하여 약한 가뭄 뿐만 아니라 대형 가뭄을 대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장기간의 관측 유량의 자료의 한계로 많은 지역에는 적용이 어려우나 해당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수문학적 가뭄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용수 공급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수문학적 가뭄 지수의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The Local Drought Risk Assessment Framework Using Vulnerability and Hazard Index (가뭄 취약성 및 노출성 지표를 활용한 지역 가뭄 위험도 평가 방안)

  • Yu, Jisoo;Kim, Jieun;Lee, Joo-Heo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5
    • /
    • 2020
  • 가뭄은 일반적으로 기상학적, 수문학적, 농업적 및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분류된다. 그 중 강수량 부족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상학적 가뭄은 지역 사회에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도화선이 된다. 그러나 강우량 부족이 경제적, 사회적 피해로 전파되는 과정은 단순하지 않으며, 정량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가뭄 위험도는 수문기상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자연재해에 대한 지역의 취약성의 맥락에서 파악되어야하므로, 가뭄 위험도 평가 방안은 위험도와 지역사회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뭄 취약성(vulnerability)과 노출성(hazard)을 정량화하여 나타내는 지표를 적용한 가뭄 위험도 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취약성 개념은 개인 또는 그룹이 자연재해의 영향에 대처하고 이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노출성은 자연적 또는 인간이 유발할 수 있는 물리적 사건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취약성은 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및 경제적 인자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반면 노출성은 주어진 시간 또는 영역 내에서의 특정 현상의 발생 확률에 따라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취약성 지수 (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와 가뭄 노출성 지수(Drought Hazard Index, DHI)를 이용하여 지역 가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취약성 및 노출성 지수를 활용한 선행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은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지역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1)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변수의 선택과 (2) 각 인자들의 관계를 규정하는 가중치 정의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위험도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VI를 산정 시 지역에서 지배적인 사회경제적 인자를 선택하기 위해 주성분분석(PCA)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DHI는 이변량 가뭄 빈도 분석에 의해 산정된 특정 가뭄사상의 발생 확률로 정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뭄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충청북도 및 충청남도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역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장 가뭄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충청북도에서는 청주시, 충청남도에서는 공주시로 분석되었다. 특히 청주시는 DVI가 매우 높지만 DHI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반면 공주시는 DHI와 DVI가 지역 내에서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Implement Smart-Eco River (스마트 에코 리버 구현을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적용)

  • Kim, Sunghoon;Jang, Suhyu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11
    • /
    • 2020
  • 18년 물관리일원화 이후 인프라와 사람 중심으로부터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위한 환경·생태계의 자연성 회복으로의 물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규모 국책사업이후의 하천 관리에 있어서도 기존의 이수, 치수, 환경이라는 단순한 기능적 구분을 벗어나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국민 서비스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ICBAM 등으로 정의되는 4차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접목이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하천 및 수자원 관리분야에서의 기술은 근대 엔지니어링의 기초가 되는 수로 건설 등으로부터 시발되어 사실상 가장 앞선 과학적 진보의 토대를 갖추었으나 최근의 기술적 트렌드를 잘 추종하지 못하는 것처럼 비추어 지는 것이 사실이다. 주된 이유로서 기후변화라는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입력요소를 가진 하천관리 시스템의 특성상 불확실성의 추정 및 즉각적인 응답이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부분은 하천의 기초자료 수집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도가 낮은 것이라고 하겠다. 또한, 유역으로부터 댐-다기능보-하천으로 이어지는 의사결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는 체계(거버넌스의 문제이자 기술적/재정적 한계)가 확립되지 않은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하천의 유량 예측 등을 위해 필요한 수자원 기초데이터의 근원적인 수집 및 관리상의 문제점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ARIMA, Kalman Filtering, MA 및 복합기법을 통한 자료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상황에 맞게 오차 및 불확실성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용자 중심의 하천 관리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는 스마트워터시티 개념에서의 바람직한 하천관리 기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관련하여 근자에 개발한 하천의 물리적 해석 도구들에 대해서 적용 사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기반의 하천관리 의사결정 플랫폼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기계학습을 통한 자동화된 의사결정에 부가하여 전문가와 시스템이 상호작용을 통해서 AI를 학습시켜 결정한 사항을 전문가의 의사결정에 참고하는 MCRDR기법의 적용의 적용 가능성과 도입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eng Shui Environment of Simgok Seowon (심곡서원의 풍수 환경연구)

  • Duck-Soo Choi;Jeong-Hae Park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3
    • /
    • pp.163-174
    • /
    • 2023
  • Simgok Seowon was established to honor Jo Gwang-jo, who i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the mid-Joseon period. It is located in a propitious site based on Feng Shui. Its Jusan is Mugokeumseongchae(武曲金星體) with Wonhwahyul(圓窩穴), and its Ansan is Tamrangmokseongchae(貪狼木星體). It is a Jehyang(祭享)-centered Seowon that sets a Jehyang place in Hyeolcheo. Around the Sadang(祠堂), the Four gods including Jwacheongryong(左靑龍) Woobackho(右白虎), Jujak(朱雀), and Hyeonmu(玄武) protect the Hyeolcheo(穴處) well. It is a typical central axis symmetrical spatial arrangement where everything is located centered on Sawoo(祠宇). It is a type of Jeonhakhumyo(前學後廟) that arranges the main hall at the front of buildings and places the Sadang that is a Jehyang place at the back of Sadang. To the left side of the Sadang, Yeonji(蓮池) was created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Cheonwonjibang(天圓地方), which serves as Yusik(遊息) area with functions to adjust microclimate and to extinguish fires. Feng Shui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determining orientation,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buildings. Therefore, it could be regarded as realizing the aesthetic spirit of Cheoninhabil(天人合一) to compose the Feng Shui-oriented spatial arrangement by recogniz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depending on topography, wind, water flow, and point of the compass.

Study on Improvement Measure for Ecosystem Health of Samcheonpo Stream (삼천포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향상 방안 연구)

  • Gilsang Jeong;Hansu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4
    • /
    • pp.414-419
    • /
    • 2023
  • Aquatic eco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Its health is essential for sustaining its members such as vegetations, mammals, birds, fishes and invertebrates. Samcheonpo stream is one of candidate streams in Sacheon area of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to build up a data base for future comparison. The results shows that biodiversity of Epilithic Diatoms and Invertebrates is below average which means that human impacts such as artificial structures and activities have been negatively related to stream health. Consequently, we suggest several key factors when ecological restoration is performed in the stream.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echniques Extract and Applying Modern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 The Case of Dokrakdang in Kyungbuk Province - (전통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설계기법 추출 및 현대적 적용 - 경상북도 독락당을 사례로 -)

  • Heo, Jun;Song, Byeong Hw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2
    • /
    • pp.63-7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a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techniques to identify the techniques and principl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o reestablish the principles. To do this, through literature review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reflected in the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side of resources conservation, locational aspects, spatial configuration, and how cases were selected looking for ways to apply modern. Are examples of upper class housing in the Chosen Dynasty Period period construction relatively well-preserved round and a good building with a clear housing Dokrakdang year were selected. Locational aspects of the terrain with minimal changes to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entirely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was adjusted to regulate the room temperature technique could be seen. In terms of cycling in natural materials were recycled. and water make used of positive through water cycling technique & water control.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landscape views overlooking the landscape from inside to outside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space technique was used to attract and expand. Traditionality in the pursuit of modern space, simply cut off because of tradition rather than to restore or recover the organizing principle inherent in the traditional space, and extraction of the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understanding of space is acceptable in basis.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echniques in a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for a long time to be developed by the experience of its application of modern environmental and energy problems and pleasant environment to the creation of human life and are subject to significant swings in that.

Distribution of Wildbird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in Gap Stream (갑천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야생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

  • Lee, Joon-Woo;Lee, Do-Han;Paik, In-Hwa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0 no.1
    • /
    • pp.41-58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ird community and to suggest a proper way how to manage protect bird community in Gap stream. The survey was carried out over four sections by the line transect method and point counts method from September 2001 to August 2002. Natural stream region as Gasuwon Bridge - Mannyeon Bridge are observed birds were 11 orders 29 families 67 species, Artificial stream region as Mannyeon Bridge - Daedeok Bridge are observed birds were 6 orders 10 families 30 species, Daedeok Bridge - Wonchon Bridge are 8 orders 12 families 28 species, Wonchon Bridge - Gap Stream Bridge are 8 orders 18 families 40 species. All the observed birds in artificial stream region are 8 orders 19 families 47 species. Number of species in natural stream region was higher than artificial stream region owe to a various habitat environment such as forest, cultivated land, streamside forest, sandy plain, gravelly field, reedy field etc. and can not add with the interface and the usage of the human. Number of species in artificial stream region was lower than natural stream region owe to a simple habitat environment and the water ecosystem is severed with embankment block and grass plot with the land ecosystem. The furtherance of various habitat environment which considers the ecosystem like the natural stream as the water ecosystem is joined together with the land ecosystem is desired to attract various wildbirds in Gap stream. The design is desire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stream to consider the stream corridor which plays ecological important role as connect the fragment habitats.

  • PDF

Spatial Conservation Prioritization Considering Development Impacts and Habitat Suitability of Endangered Species (개발영향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적합성을 고려한 보전 우선순위 선정)

  • Mo, Yong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2
    • /
    • pp.193-203
    • /
    • 2021
  • As endangered species are gradually increasing due to land development by humans, it is essential to secure sufficient protected areas (PAs) proactively. Therefore, this study checked priority conservation areas to select candidate PAs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land development. We determined the conservation priorities by analyzing four scenarios based on existing conservation areas and reflecting the development impact using MARXAN, the decision-making support software for the conservation plan. The development impact was derived using the developed area ratio, population density, road network system, and traffic volume. The conservation areas of endangered species were derived using the data of the appearance points of birds, mammals, and herptiles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These two factors were used as input data to map conservation priority areas with the machine learning-based optimization methodology. The result identified many non-PAs areas that we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conserving endangered species. When considering the land development impact, it was found that the areas with priority for conservation were fragmented. Even when both the development impact and existing PAs were considered, the priority was higher in areas from the current PAs because many road developments had already been completed around the current P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reas other than the current PAs to protect endangered species and seek alternative measures to fragmented conservation priority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