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eng Shui Environment of Simgok Seowon

심곡서원의 풍수 환경연구

  • Duck-Soo Choi (Dept. of Philosophy, Caroline University of USA) ;
  • Jeong-Hae Park (Dept. of Eastasia Culture, Hanyang University ERICA)
  • 최덕수 (캐롤라인대학교 철학과) ;
  • 박정해 (한양대학교 에리카 동양문화학과)
  • Received : 2023.05.11
  • Accepted : 2023.06.15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Simgok Seowon was established to honor Jo Gwang-jo, who i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the mid-Joseon period. It is located in a propitious site based on Feng Shui. Its Jusan is Mugokeumseongchae(武曲金星體) with Wonhwahyul(圓窩穴), and its Ansan is Tamrangmokseongchae(貪狼木星體). It is a Jehyang(祭享)-centered Seowon that sets a Jehyang place in Hyeolcheo. Around the Sadang(祠堂), the Four gods including Jwacheongryong(左靑龍) Woobackho(右白虎), Jujak(朱雀), and Hyeonmu(玄武) protect the Hyeolcheo(穴處) well. It is a typical central axis symmetrical spatial arrangement where everything is located centered on Sawoo(祠宇). It is a type of Jeonhakhumyo(前學後廟) that arranges the main hall at the front of buildings and places the Sadang that is a Jehyang place at the back of Sadang. To the left side of the Sadang, Yeonji(蓮池) was created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Cheonwonjibang(天圓地方), which serves as Yusik(遊息) area with functions to adjust microclimate and to extinguish fires. Feng Shui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determining orientation,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buildings. Therefore, it could be regarded as realizing the aesthetic spirit of Cheoninhabil(天人合一) to compose the Feng Shui-oriented spatial arrangement by recogniz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depending on topography, wind, water flow, and point of the compass.

심곡서원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정치가였던 조광조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풍수적 길지에 자리하고 있는데, 주산은 무곡금성체로, 원와혈을 맺고 있으며 안산은 탐랑목성체이다. 제향 공간을 혈처에 배치한 제향중심 서원이며, 사당을 중심으로 좌청룡과 우백호, 주작과 현무가 혈처를 잘 보호하고 있다. 사우를 중심으로 배치된 전형적인 중심 축선형 공간 배치이다. 강당을 전면에 배치하고 제향 공간인 사당을 후면에 배치하는 전학후묘의 형태이다. 사당을 중심으로 좌측에 천원지방의 원리를 응용한 연지를 조성하여 유식 공간과 미기후의 조절 기능, 화재시 소화의 기능을 담당한다. 건축물의 좌향과 방위, 위치 등을 결정하는 데 있어 풍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형이나 바람 그리고 물의 흐름과 방위 등으로부터 자연환경과 인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되는 풍수적 공간구성은 천인합일의 미학정신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손봉균, 「사림 학파의 당쟁을 통해 본 서원 건축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2. 이승연, 이상해, 「심곡서원의 조영 과정과 배치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19(3), 2010.
  3. 심준용, 김왕직, 「심곡서원 조영의 변화에 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25(6), 2016.
  4. 고경숙, 「용인 심곡서원의 인문학적 가치와 활용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5. 박정해, 「조선유교 건축의 풍수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6. 최덕수, 「경기지역 서원의 풍수 환경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3.
  7. [唐] 양균송 저, 김두규 역, 「撼龍經.疑龍經」, 비봉출판사, 2009, 248쪽,
  8. [唐] 양균송 저, 김두규 역, 「撼龍經.疑龍經」, 비봉출판사, 2009, 106쪽,
  9. 무희옹, 「葬經翼」 「穴病篇」, 北京華齡出版社, 2009, 468쪽,
  10. 김필수. 고대혁. 장승구. 신창호 역, 「管子」, 「樞言」, 소나무, 2006, 179쪽,
  11. 박정해, 「풍수 혈의 사상과 이론의 역사적 전개」, 한국학연구(55),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215쪽.
  12. 「宣祖實錄」 卷 128, 33년 8월 29일(기해)
  13. 郭璞, 「錦囊經」 「形勢篇」, "夫噫氣爲風, 能散生氣, 龍虎所以衛區穴"
  14. 손정고, 「풍수지리해설집」, 신지서원, 2002, 154쪽.
  15. 촌산지순, 최길성 역, 「朝鮮의 風水」, 민음사, 1990, 62쪽.
  16. 서유구 저, 안대희 역, 「산수갑산에 집을 짓고」, 돌베개, 2006, 111쪽,
  17. 「林園經濟志」 「相宅志」, 保景文化社, 1983,
  18. "凡宅東下西高富貴當雄豪," 1983,
  19. "凡宅左右前砂夫秀端圓科第 巽辛 見卓筆文貴 堆甲屯軍武貴 頭側頂斜盜賊 孤曜僧道 燥火瘟疫火災 掃蕩爭訟男遠遊女無狀 天歪作賦兵死."
  20. 조정동 저, 신평 역, 「地理五訣」, 동학사, 2008, 238쪽,
  21. 민병승, 「심곡서원 중건기」, 1933, "至墉垣之環繞 堦序之布列 道路梁無不繕修."
  22. 박정해, 「조선유교 건축의 풍수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95쪽.
  23. 홍만선, 「山林經濟」 卷 1 「卜居」, "先審本山坐向 然後定門及路 取吉避凶."
  24. 정경연, 「정통풍수지리」, 평단, 2008, 703쪽.
  25. 신광주, 「正統風水地理原典」, 3卷, 韓國自然風水地理學會, 1994, 10-14쪽.
  26. 박정해, 「풍수지리적 관점으로 본 서울 근교 음식점의 입지 패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8-19쪽.
  27. 용인시, 「심곡서원 고증자료조사용역」,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6, 512쪽.
  28. 최어중, 「十勝地風水紀行」, 동학사, 1992, 34쪽.
  29. 「道德經」 25장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30.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검색일: 2022. 11. 10.
  31. 네이버 https://www.naver.com 검색일: 2022. 11. 10.
  32. 구글지도 www.goole.co.kr/maps 검색일: 2022.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