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질성 척도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vestigation of Heterogeneity Measure for Nonstationar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지역구분에 따른 이질성 척도 검토)

  • Ahn, Hyunjun;Shin, Ju-Young;Jung, Tae-H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0-340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이상기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수문빈도해석분야에서는 비정상성 빈도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자료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연구되어오고 있는데, 그중 시간에 따른 자료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 기존 모형의 매개변수에 시간을 고려할 수 있는 변수를 더하여 모형을 구축하는 기법이 비정상성 빈도해석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비정상성 가정에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지점빈도해석 기법을 중심으로 개발되어왔을 뿐, 아직 지역빈도해석기법을 대상으로 시도된 비정상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지역빈도해석은 수문학적 동질지역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표본의 확장을 통해 지점빈도해석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빈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역빈도해석에서 수문학적 동질지역의 구분은 지역빈도해석 절차 중 가장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문학적 동질지역 구분을 위해서는 지점별로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나 수문 자료의 통계값과 같은 해당 지점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경향성이 나타나는 가상의 지점 자료를 생성한 뒤, 지역구분을 통해 자료의 비정상성이 나타나는 지역의 지역구분 결과를 살펴보고 이질성 척도(heterogenity measure)를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에서 이질성 척도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기후변화의 영향이 나타나는 수문학적 동질 및 비 동질지역의 분석 및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ing applicability of self-organizing map for regional rainfall frequency analysis in South Korea (Self-organizing map을 이용한 강우 지역빈도해석의 지역구분 및 적용성 검토)

  • Ahn, Hyunjun;Shin, Ju-Young;Jeong, Changsam;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5
    • /
    • pp.383-393
    • /
    • 2018
  •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s the method which uses not only sample of target station but also sample of neighborhood stations in which are classified as hydrological homogeneous regions. Consequently, identification of homogeneous regions is a very important process i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n this study, homogeneous regions for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precipitation were identified by the self-organizing map (SOM) which is on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hourly rainfall data set were used in order to perform the SOM. Quantization error and topographic error were computed for identifying the optimal SOM map. As a result, the SOM model organized by $7{\times}6$ array with 42 nodes was selected and the selected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6 clusters for rainfall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heterogeneity measure, all 6 clusters were identified as homogeneous regions and showed more homogeneous region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previous study.

Hydrological homogeneous region delineation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rainfalls in Korea (다변량 L-moment를 이용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에서 수문학적 동질지역 선정)

  • Shin, Ju-Young;Jeong, Changsam;Joo, Kyungwon;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
    • /
    • pp.49-60
    • /
    • 2018
  • The multivariat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has many advantages such as an adaption of regional parameters and consideration of a correlated structure of the data. The multivariat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can provide the broader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for the hydrological variables. The multivariat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has not been attempted to model hydrological variables in South Korea ye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ultivariat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n the modeling of the hydrological variabl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homogeneous region deline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bivariat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annual maximum rainfall depth-duration data. The K-medoid method was employed as a clustering method. The discordancy and heterogeneous measures were us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line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ustering analysis, the employed stations could be grouped into five regions. All stations at three of the five regions led to acceptable values of discordancy measures than the threshold. The stations where have short record length led to the large discordancy measures. All grouped regions were identified as a homogeneous region based on heterogeneous measure estimates. It was observed that there are strong cross-correlations among the stations in the same region.

A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eb Cache Replacement Policy Based on the Size Heterogeneity of the Web Object (웹 객체 크기 이질성 기반의 웹 캐시 대체 기법의 설계와 성능 평가)

  • Na Yun Ji;Ko Il Seok;Cho Dong Uk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2C no.3 s.99
    • /
    • pp.443-448
    • /
    • 2005
  • Efficient using of the web cache is becoming important factors that decide system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web base system. The cache performance depends heavily on the replacement algorithm which dynamically selects a suitable subset of objects for caching in a finite cache space. In this paper, the web caching algorithm is propos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web base system. The algorithm is designed based on a divided scope that considered size reference characteristic and heterogeneity on web object. With the experiment environment, the algorithm is compared with conservative replacement algorithms, we have confirmed more than $15\%$ of an performance improvement.

A Study of the Moderating Role of Heterogeneity in the Process of Customer Satisfaction Formation on Public Services (공공서비스의 이질성 정도에 따른 고객마족혀엉과정 차이에 관한 연구)

  • Kim, Young-Ku;Kim, Kyoung-Hwan;Ha, Young-Chu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8
    • /
    • pp.207-232
    • /
    • 2001
  • Many customer satisfaction studies have accepted the confim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but the findings as the antecede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re mixed. So rather than ask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direct effect of a certain variable on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asking when does a certain variable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we assume that the situation has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So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heterogeneity as a unit of situation, in the process of customer satisfaction formation, especially on public service. We have found such thing as follows. 1) situation has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2) perceived heterogeneity of the customers, as a situation variable, lets the process of their satisfaction formation differ. 3) through these studies, the confirm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are able to extend on public services.

  • PDF

The assessment of performances of regional frequency model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Index flood method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지역빈도해석 기법의 성능 분석: 홍수지수법과 인공신경망 모델)

  • Lee, Joohyung;Seo, Miru;Park, Jaehey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56-156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빈도해석을 기반으로한 인공신경망 모델과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인 홍수지수법의 성능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며 수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강수량 및 유량 등 다양한 수문자료에 대한 예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빈도해석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공 지능 모델은 대상 지점의 지형학적 자료와 수문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을 통해 지점의 확률강우량(QRT-ANN) 및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PRT-ANN)를 추정한다. 지형학적 자료로는 위도, 경도 그리고 고도가 사용되었으며 수문학적 자료로는 대상 지점의 최근 30년 일일연최대강우량을 사용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의 정확도는 지역 내 통계적 특성이 비슷한 지점들이 포함되면 될수록 높아진다. 통계적 특성으로는 불일치 척도, 이질성 척도, 적합성 척도가 있으며 다양한 조건의 통계적 특성에 따른 세 개의 지역빈도해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지역 내 n개의 지점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홍수지수법의 경우 n-1개의 지점으로 추정한 지역 성장곡선을 이용하여 나머지 1개 지점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인공신경망 모델들 또한 n-1개 지점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구축한 뒤 나머지 지점의 확률강우량 및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를 예측할 수 있다. PRT-ANN의 경우 예측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며 시뮬레이션 시행마다 발생시킨 자료의 지점빈도해석 결과에 대한 나머지 세 방법의 평균 제곱근 상대오차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RRMSE)를 계산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성능 분석을 통하여 관측값의 다양한 통계적 특성에 맞는 지역빈도해석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Index Flood Method and Netmax Method (Index Flood법과 Netmax법을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의 비교 연구)

  • Kim, Ji Hoom;Kim, Kyung Du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32-1136
    • /
    • 2004
  •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지점빈도해석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화의 개념을 사용한 지역빈도해석의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지점빈도해석은 수문자료의 관측기간이 짧은 경우 정확도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지점 내 충분한 수의 자료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반면 지역빈도해석의 경우 우리나라와 같이 자료의 수가 부족한 경우에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강우자료 선별을 통해 신뢰성 있는 자료를 구축한 훈, L-모멘트기법과 Netmax법을 사용한 지역빈도해석을 각각 실시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산정한 수문량과 비교${\cdot}$분석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의 결과 남한강 유역은 이질성 척도가 큰 것으로 판명되어 남한강 유역의 경우 지역적인 세분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Netmax를 이용하여 산정된 수문량은 L-모멘트법과 지점빈도해석 그리고 확률강우량도에 의해 산정된 값에 비하여 과소추정 되었다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형성된 네트워크는 지역적으로 세분화가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dentification of Homogeneous Regions based on Multivariate Techniques (다변량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동질 지역 구분)

  • Nam, Woo-Sung;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68-1572
    • /
    • 2007
  • 지역빈도해석은 우리나라와 같이 자료 기간이 짧은 경우 지점빈도해석보다 더 정확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이다.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 결과는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지역의 구분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지역을 구분할 때에는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활용 가능한 모든 변수들의 정보를 요약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지역 구분의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다변량 분석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 요인 분석, Procrustes analysis와 같은 다변량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42개의 강우 관련 변수들을 33개의 변수로 줄일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변수 개수 감소로 인한 정보 손실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에 의한 변수 차원의 축소는 지역 구분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선정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군집해석을 수행하여 지역을 구분하였고, L-모멘트에 근거한 이질성척도(H)를 활용하여 구분된 지역의 동질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L-모멘트에 근거한 적합성 척도(Z)를 적용하여 구분된 지역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적정 확률분포형을 바탕으로 각 지역에 대한 성장 곡선(growth curve)을 유도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Methods for Image Segmentation Results (영상분할 결과 평가 방법의 적용성 비교 분석)

  • Seo, Won-Woo;Lee, Kyu-S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2
    • /
    • pp.257-274
    • /
    • 2021
  • Although image segmentation is a critical part of object-based analysis of high resolution imagery,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mage segmenta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s to obtain optimal parameters for image segmentation. Evaluations of image segmentation are divided into unsupervised, supervised, and qualitative visual interpretation methods. Using the multispectral UAV images, sampled from urban and forest over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Park, three evaluation methods were compared. In overall, three methods showed very similar results regardless of the computational costs and applicability, although the optimal parameters determined by the evaluations were different between the urban and forest images. There is no single measure that outperforms in the unsupervised evaluation. Any combinations of intra-segment measures (V, COV, WV) and inter-segment measures (MI, BSH, DTNP) provided almost the same results. Although supervised method may be biased by subjective selection of reference data, it can be easily applied to detect object of interest. The qualitative visual interpretation on the segmentation results corresponded with the unsupervised and supervised evaluations.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중국 소흥안령 활엽수-잣나무 혼효림에서의 산겨릅나무의 공간분포 양상)

  • Jin, Guangze;Li, Ru;Li, Zhihong;Kim, Ji 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6 no.6
    • /
    • pp.730-736
    • /
    • 2007
  • The heterogeneity of forest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ree population, the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and the maintenance of species diversity. Based upon the research data of the nine hectare permanent plot in the typical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population for seedlings, saplings, and living and dead trees so 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topography on spatial pattern of the species. The results noted that A. tegmentosum preferred to gentle slo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nsity of seedlings by the variation of aspect, but the density of saplings, and living and dead trees was high on the western and southeastern slopes. Living trees of A. tegmentosum showed the clumped pattern for all scales within 150 m and highest at the scale of 30 m. Dead stems of the species indicated the clumped pattern within 111 m, highest at the scale of 72 m, and random pattern beyond the scale of 111 m (P < 0.01 ). The similarity of occurrence by developmental stages of A. tegmentosum showed that seedlings vs. saplings, saplings vs. living trees, and living trees vs. dead stems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espectively (P < 0.01 ), indicating that the occurrence of previous developmental stag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following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