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 정보요구

검색결과 922건 처리시간 0.026초

토픽모델링 및 주성분 분석 기반 검색 질의 유형 분류 연구 (A Study on Search Query Topics and Types using Topic Modeling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강현아;임희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6호
    • /
    • pp.223-234
    • /
    • 2021
  •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쇼핑의 행태는 더욱 빠르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에서 고객의 정보요구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검색 질의이다. 하지만 검색 분야에서도 검색 질의 관련 연구 사례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검색 질의 연구 분야 선행 연구들은 연구자의 정성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제한적인 주제와 데이터 기반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검색 질의 연구 분야에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검색 질의와 검색 이후 이용자가 조회한 문서명 로그를 기반으로 토픽모델링 수행 후 검색 질의 주제를 정의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방법론으로 15개의 검색 질의 주제 유형을 정의하였다. 또한 기존 검색어 자체만을 보고 판단하던 주제 유형에서 나아가 검색 행동특성을 반영한 유형을 정의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를 추출 후 각 주제별 검색 행동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검색 탐색 활성도, 상품 관여도에 따른 4가지의 새로운 검색 질의 유형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검색서비스 구축 및 검색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 시대의 공공도서관 대출 추이에 관한 연구 - A 공공도서관의 2019~2021 대출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Circulation Trends of a Public Library during the Covid-19 Era: An Analysis of Circulation Statistics of A Public Library from 2019 to 2021)

  • 박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57-3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의 기간 동안 A 공공도서관의 대출 현황 및 대출 추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코로나 전기와 코로나 시기 간, 코로나 시기와 코로나 회복기 간에는 대출 빈도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 전기와 코로나 회복기 간에는 대출량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을 통합해서 분석한 결과,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대출 빈도의 분포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세부 비교한 결과, 코로나 전기와 코로나 회복기의 월별. 시간대별 대출 분포가 유사하며, 코로나 시기의 월별, 시간대별 대출 분포는 코로나 전기 및 코로나 회복기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시대 장기간의 공공도서 관 대출 추이에 대해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의 장서 개발, 서비스 운영 및 개선에 활용되고,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대출 행태와 정보 요구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 및 E-health에 대한 위성항법시스템 활용 동향 (Trend in utilization of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for diseases and E-health)

  • 김태윤;주정민;황정현;황석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45-554
    • /
    • 2023
  • 현대 산업에서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GNSS)은 PNT 정보(측위(P : Positioning), 항법(N : Navigation), 시각동기(T : Timing))가 항상 제공되어야 하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정밀한 위치추정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 시작된 COVID-19 펜데믹 상황에 대한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정밀한 위성항법시스템 기술과 이를 보조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되어 왔고, 전 세계의 적극적인 방역과 감염 확산 억제 노력으로 엔데믹 상황으로의 전환을 앞두고 있다. 질병, E-health 분야는 감염병의 추적 및 감시와 더불어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자의 위치정보가 반드시 필요한데, 위성항법시스템이 정확한 위치정보 제공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위성항법시스템 기술이 질병 및 E-health 분야에 활용된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공유자전거 따릉이 재배치를 위한 실시간 수요예측 모델 연구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Bike Relocation of Sharing Stations)

  • 김유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07-120
    • /
    • 2023
  • 서울 도심 내 교통량 감축과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2015년 도입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이용자가 해마다 배 이상 증가하여 2023년 기준 2700여 대여소에서 4만 3천여 대가 운영 중이며 누적 가입자 4백만 명을 넘어서는 서울시민이 뽑은 가장 성공적인 공공 정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따릉이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됨에 따라 자전거 수요·공급 불일치로 인한 자전거 부족 민원도 급증하여 효율적인 자전거 재배치가 강하게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자전거의 대여·반납 이력 데이터, 기상데이터, 공휴일 정보, 따릉이 대여소 정보 등을 기반으로 따릉이 이용 패턴과 특성을 분석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해 대여소별 따릉이 대여·반납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대여소별 안전재고를 확보할 수 있는 따릉이 재배치 수량을 도출하고 이를 서울시설공단 따릉이 관리App에 시범서비스 하였다. 따릉이의 수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현재 거치 중인 재고량과 비교하여 적절한 수량의 자전거를 재배치한다면 자전거 부족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An Analyzing of the Current CHI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415-437
    • /
    • 2011
  • 소비자건강정보(CHI)에 대한 관심 증가로 소비자건강정보원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정보획득방법도 매우 다양해졌으며, CHI 획득경로 중의 하나가 공공도서관이다.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에 대한 참고서비스 요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CHI 서비스 증진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반면에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서비스는 매우 기본적인 수준이고 관련연구도 그다지 많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분석 및 해외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서비스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CHI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 제공비율은 17.25%로 나타나 CHI서비스에 대한 요구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CHI 제공방법의 다양성을 조사했을 때, CHI 관련 웹사이트 제공, 이용자대상 교육, 그리고 홍보 및 마케팅 등 세 가지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2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13개의 도서관(1.74%)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CHI 담당사서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공공도서관 사서가 CHI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아웃리치서비스나 ILL 서비스, 의료기관을 포함한 관련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과 관련된 CHI 서비스는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CHI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상조서비스 및 정보 이용에 관한 현행법상의 개선점 (The Improvement on the current law about Mutual aid service and information use)

  • 김규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85-191
    • /
    • 2012
  • 상조서비스 사업의 본질은 상품과 서비스를 일반 상거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사업자 즉 상례와 관련된 상조조직과 상조회사가 서비스이용자와의 계약을 통해 이루어지는 계약을 통해 장래 회원의 요구시점에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회원은 그 가격을 현재의 가격으로 대금을 지급하되 할부로 지급하는 것이다. 이런 상조업은 2005년 이후 이를 수행하는 업체수가 급증해 규모면에서도 3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사업으로 확장 되었다. 그러나 상조업 자체가 선불식 할부거래라는 특성 때문에 현행 개정된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내용은 과거보다는 현실화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미흡한 점은 여전히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상조조직과 상조회사의 가입자에 대한 설명의무, 선수금예치계약에 따르는 소비자보호문제, 상조회사 설립시의 자본액의 상향 문제 등 제반 법적 검토 사항에 대한 입법적 불비가 그러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점들을 검토하고 다양화된 상조서비스 이용자의 점진적이고 확대되는 상조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지적한 법적 사항에 대한 개선점과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과 별도의 상조업법의 단일 입법을 결론적으로 주장하였다.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 운영 개선에 대한 담당자 인식조사 연구 (An Investigative Study of the Awareness of Person in Charge on the Improvement of Extended Support Project Operation for the Public Libraries' Opening Hours)

  • 노영희;김동석;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5-14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이 가진 정보 접근성 향상, 생활복지 구현 등의 목적에 맞는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 현황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별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은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 사업으로써 지역 중심의 운영계획을 마련을 통해 향후 국가지원에 의존하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직원과 이용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유연한 개관시간 연장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기존 정규직에 준하는 권리와 함께 의무와 책임을 함께 요구하는 조직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 전국 공공도서관이 특정 정책 및 사업에 대해 일관된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분리되어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체계를 일원화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지침 마련이 필요하고, 이용자의 쾌적한 이용을 위한 공간 개선 지원 등 인건비 외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차세대 인터넷서비스를 위한 IPv6 라우터 기술 개발 동향 (The Trend of IPv6 Router System 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Internet Service)

  • 변성혁;정철형;남국진;전종암;송광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9권6호통권90호
    • /
    • pp.74-82
    • /
    • 2004
  • 인터넷의 도입 및 확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보다 많은 이용자들은 홈 네트워킹 기반의 정보 가전 기기, 텔레매틱스, 전자 물류 실현을 위한 전자 태크(RFID), 센서 네트워킹 등 모든 사물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인터넷의 기반이 되고 있는 IPv4 주소 체계는 약 43억 개의 주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동안 비효율적인 주소 할당으로 유효한 주소는 불과 5~6억 개 정도만을 사용할 수 있는 실정이다. IPv4 기반의 인터넷 주소 체계로는 앞으로 도래할 유무선 통합 서비스 혹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주소 자원을 거의 무한대로 제공하는 IPv6 기반의 인터넷(128비트 IPv6 주소는 2128개의 주소 지원) 도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현재 IPv4 기반의 인터넷에서 IPv6 기반의 차세대 인터넷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또한 라우터 장비 시장은 차별화된 IPv6 기능을 제공하는 장비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본 고에서는 IPv6 라우터에 대한 IPv6 도입 배경 및 프로토콜에 관련된 제반적 기술을 살펴 보고, 이를 기반으로 외국 시스템들의 현재 구현 상태, IPv6 라우터를 개발하는 데 연구되어야 할 주요 사항 및 국내외 IPv6 도입 추진 현황을 살펴 본다.

지식기반사회에서 PDL의 등장과 개념적 이해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DL in Knowledge-based Society)

  • 김경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3-214
    • /
    • 2002
  • 이 연구는 최근, 대학도서관 뿐만 아니라 특수ㆍ전문도서관 등에서도 자주 나타나고 있는 PDL의 등장 배경과 지식기반사회에서 PDL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와 관련한 사례들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현행 PDL 개념의 확장에 관한 발전적 제안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향후, 이용자 중심의 PDL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PDL모형 개발시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circled1 개인화가 발생하게 된 사회 환경의 변화에 그 의미를 찾아야 한다. \circled2 제공되어지는 콘텐츠는 제한을 두지 않아야 한다. \circled3 개인의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circled4 시스템구현 방법은 공개적이어야 하며, 계속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오픈소스 개념으로 개발되어져야 한다.

  • PDF

롱테일 현상과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고찰 (A Critical Overview of Long Tail and Library Service)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3-90
    • /
    • 2007
  • 80대 20 법칙으로 알려진 "파레토 법칙"은 소수 정예의 핵심 시장 원리로 또는 선택과 집중의 경영 전략으로 그동안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웹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수의 힘을 드러내는 롱테일 법칙이 새로운 비즈니스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과 온라인 시대를 맞아 이용자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기 시작하고 이를 충족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롱테일 현상은 이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롱테일 현상을 도서관 서비스 측면에서 고찰하며, 웹 비지니스에서 제안되고 있는 다양한 롱테일 전략을 도서관 서비스에 응용해 본다. 또한 라이브러리 2.0의 철학과 기술을 활용한 실천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