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 정보요구

검색결과 922건 처리시간 0.025초

구립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 마포 구립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 (Citizen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ir Municipal Public Library Services)

  • 김선애;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9-52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 환경변화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서울시 마포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체계를 점검하고,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포구의 공공도서관 이용자 800명과 비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독서경험, 도서관 이용 경험, 도서관에 대한 인식, 도서관서비스, 프로그램 및 도서관정책 등에 관한 지역주민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마포구민의 53.7%는 전체 공공도서관 중 2개관 이하를 이용해봤고, 주이용도서관을 선택하는 기준은 접근성이 63.9%였다. 그리고 전체 이용자의 53.8%만이 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있었다. 또한, 주민들은 도서관은 지역사회에 필요하며, 아이들을 위한 필수기관이라는데 강한 동의를 나타냈다. 도서관정책에 관한 요구사항은 장서의 양적 확대 및 콘텐츠의 다양화에 대한 요구가 가장 컸고, 도서관시설 등 환경개선 및 도서관 확충에 대한 요구도 많았다.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공간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접근이 편리한 생활권 중심에 설립되는 것이 중요하고, 장서의 확대, 주제 및 매체의 다양성 확충과 더불어 노후화된 도서관시설을 개선하여 쾌적하고 혁신적인 공간으로 개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지역정보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University Library Regional Network)

  • 이지원;문성빈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6년도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4
    • /
    • 1996
  • 정보의 급격한 증가와 내용의 전문화 경향으로 인해 개별 도서관이 이용자가 원하는 모든 정보를 소장하는 것은 오늘날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고, 따라서 도서관정보망 구축을 통한 자원의 공동활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대학도서관 정보망 사례 및 국내 도서관정보망의 현황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대학도서관 지역정보망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시맨틱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이용자 중심 관계형 패싯 네비게이션을 중심으로 (Proposal for Semantic Digital Archive for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tes List: Centering on User-Centric Relational Facet Navigation)

  • 박선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3-86
    • /
    • 2019
  • 기존의 사이트와 달리 유네스코는 상대적으로 이미 좋은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용자가 기록물을 활용하면서 지혜롭게 선택 활용하는 이용자 중심형 지식 큐레이팅을 할 수 있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용자 개개인이 이러한 혜택을 누릴수 있게 하려면 미리 시스템 측면에서 구조를 달리 표현해야만 가능하다. 현재의 거의 모든 정보시스템은 의미정보, 맥락정보와 함께 우리 마음속에서 만들어지는 생각의 다양한 연결고리를 무시한 채 만들어져 있다. 이용자가 생각함직한 것을 미리 모델링하고 그 모델링을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형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맨틱 기술 기반의 새로운 구조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조론에 기반한 관계형 패싯 네비게이션이 적용되는 이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해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모델 제안에 이어 프로토타입 수준의 실제 아카이브를 구축해 보았다.

정보서비스시스템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Satisfaction Survey)

  • 문병주;김창수;송종철;손소현;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835-844
    • /
    • 2009
  • 최근 정보가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고 정보서비스의 만족도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정보의 다양한 특성들 때문에 정보와 정보서비스의 정확한 자치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복잡하고 다양한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정보제공서비스의 기능 및 효율성이 증시됨에 따라 정보제공서비스의 콘텐츠만족도와 서비스만족도, 시스템만족도 등에 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만족도지수 측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제공서비스를 하고 있는 ITFIND의 이용자만족지수(User Satisfaction Index)를 측정하여 보다 향상된 정보시스템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이용자만족지수의 측정 결과를 통해 향후의 개선 방법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olicy기반 QoS+Security 지원 메커니즘

  • 정일영;백승호;장종수
    • 정보와 통신
    • /
    • 제20권8호
    • /
    • pp.51-62
    • /
    • 2003
  • 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해지고 제공되는 서비스 및 사용자의 요구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운용관리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 서비스 정보의 보안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이 크게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인터넷 구조에서 네트워킹의 보안과 QoS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즉, 현재의 정보통신 환경에서 보안 기능과 함께 차별화된 서비스의 제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이의 효과적인 제공 방안은 현실적으로 없다는 점이 본 논문과 관련된 연구의 주된 동기가 된다. 즉, 특별히 보안성이 요구되는 정보들 중에는 상당히 많은 부분이 서비스 QoS도 역시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 정보 서비스에서 보안과 QoS를 분리하여 단순히 처리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안 기능과 QoS를 이용자 및 서비스의 요구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공할수 있는 환경의 구축 및 요구되는 주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Policy 기반의 Security+QoS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음악학 연구자원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 정보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Facilitating the Use of Research Sources in Music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ers' Information Needs)

  • 홍인경;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5-266
    • /
    • 2019
  • 본 연구는 음악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요구와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음악학 분야 연구자원의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국내 음악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음악학 연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현황, 음악학 연구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 및 연구자원 이용의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학 분야 연구자원의 이용 활성화 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자원의 수집과 체계화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음악 주제전문사서의 양성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사서와 관련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학 연구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기관과 문화예술기관에서의 효율적인 정보의 제공 및 서비스 개발에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사례분석 연구 - 노원어린이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of Digital Materials in Children Library - Based on Nowon Children Library -)

  • 이경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9-364
    • /
    • 2005
  • 제7차 교육과정은 어린이의 개성과 창의성 개발을 중시하고 학생의 자발적인 활동과 디지털 자료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조되고 스스로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어린이도서관에서도 디지털 자료실의 이용현황과 이용자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분석함으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 운영 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2월에 개관한 노원어린이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및 이용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효과적인 이용을 통한 운영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고 보다 적극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어린이도서관의 개념과 어린이도서관 내 디지털자료실의 개념적 모델을 정립하고3장에서는 노원어린이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디지털자료실 이용자초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이용현황 및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분석을 통해 나타난 이용현황 및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어린이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결론을 맺고자 한다.

  • PDF

페이스북 여행정보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travel information on Facebook)

  • 조민형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4
    • /
    • 2017
  • 오늘날 페이스북을 통해 접하는 여행정보는 블로그 유형의 SNS 여행정보와는 달리 정보의 출처, 정보 제공자의 정보가 불분명하여 이용자는 해당 정보를 수용하기 위해 보다 심층적인 판단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페이스북 여행정보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내용적 특성(최신성, 풍부성, 정확성)과 정보제공자 특성(인기, 전문성), 정보수용(신뢰성, 유용성)을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정보의 내용적 특성과 정보 제공자 특성 모두 페이스북 여행정보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부적으로는 정보 내용적 특성 중 정확성이 신뢰성과 유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정보 제공자 특성 중에서는 전문성이 신뢰성에, 인기가 유용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블로그 유형의 SNS 여행정보 수용에 대한 연구 결과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전문용어 대역사전의 구조와 배열에 관한 연구 (Structure Analysis of Multilingual Lexicon)

  • 김세주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40
    • /
    • 2001
  • 전문용어사전 중에서 개념 정보를 제시하지 않고 대역어나 음차어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전문용어 대역사전을 선정하여 이들의 구조와 배열을 분석하였다. 실제로 전문용어 대역사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의 기술 구조는 매우 다양하며 이들의 배열 방법도 사전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사전의 이용자들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며 표준화된 전자사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우므로 일관성있는 기술 방법이 요구된다.

  • PDF

이용자의 정보추구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ser)

  • 정진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3-212
    • /
    • 2000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미디어를 접촉하고 있으며, 또 어떤 유형의 정보를 선택하고 있는지 미디어 접촉동기와 정보내용의 선택적 추구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수와 연구원, 교사, 공무원 등 대학생을 포함한 직장 종사자 277명으로부터 회수된 질문지를 속성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에 대한 새로운 암시나 착상은 교수와 연구직은 학회모임이나 연구활동에서, 기타 직종은 인터넷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 추구동기와 탐색정보 유형에서는 이용자의 속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추구행동과 속성간에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