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 정보요구

검색결과 922건 처리시간 0.025초

기업정보 센터의 마케팅 전략 활용에 관한 연구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in the Corporate Library Environment)

  • 민윤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105-129
    • /
    • 2006
  • 기업경영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기업정보 센터는 조직 내에서 그 존재가치를 입증받도록 요구받고 있다. 기업정보 센터는 조직 내에서 성과를 높이고 존재가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새로운 정보 서비스와 이용자집단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생존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기업이 생존하기 위하여 마케팅 활동을 하듯이 기업정보 센터도 조직 내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업정보 센터에서 왜 마케팅 전략을 도입해야 하는 지의 필요성, 마케팅 계획의 수립절차 및 내용, 마케팅 믹스, 그리고 기업정보 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과 활용사례를 살펴보았다.

청소년 과학분야 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cience Digital Library for Youth)

  • 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83
    • /
    • 2004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분야 디지털도서관인 LG사이언스랜드와 미국의 국가과학디지털도서관인 NSDL을 사례로 하여 정보서비스 구성 및 정보시스템 설계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과학정보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성향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정보서비스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청소년 과학정보서비스 이용자들은 주로 호기심 해결과 과학지식을 넓히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하며, 편리하고 단순한 효율적인 검색인터페이스를 선호하고 있다. 국외 과학정보서비스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조직하여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청소년 대상 과학정보서비스는 주제별 분류체계에 있어서 기타과학분야의 분류세분화를 요구하고 있다.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Disabled-related Information Behavior)

  • 김민철;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88
    • /
    • 2013
  •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및 잠재적 이용자층의 정보요구 미 파악, 단일화된 정보제공 채널의 미비, 웹 접근성의 낮은 체감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는 요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서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언하였다.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 for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Disabled Users' Needs Analysis in University Library)

  • 정재영;정혜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9-207
    • /
    • 2010
  • 대학도서관은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이용 및 학습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시설과 장비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외 현황 조사와 장애인 이용자와의 심층면접을 기초로 대학도서관에 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 서비스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 서비스를 개선하고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비 도입과 서비스 제공 시 요구분석과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장애인 이용자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시설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전용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직원에 대한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장애인 서비스 교육과 함께 장애인 전담사서를 지정해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장애인 지원을 위한 교내 외 기관, 단체 등과의 협력 및 연계와 함께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기적인 실태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이용자의 접근 패턴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 생성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Considering User Access Patterns)

  • 강우진;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9-107
    • /
    • 2023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 대한 파악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은 주로 도서관이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고 있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실제 접근 패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속한 지역의 교통적 및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 패턴을 반영한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특별·광역시의 502개 도서관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사도가 반영된 이동 거리와 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보 또는 차량으로 30분 이내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요소에 따라 도서관별 서비스 영역 양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선거리 기반의 서비스 영역과 비교하여 도서관 접근에 대한 현실적 여건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 생성 방법은 도서관의 이용자의 수, 특성,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회원사탐방-디지털시대의리더 포스데이타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정보화사회
    • /
    • 통권136호
    • /
    • pp.36-39
    • /
    • 2000
  • 올해로 창립 11년째를 맞고 있는 포스데이타는 현재 850여명의 전문인력에, 자본금 3백 50억원, 매출액 1천8백여억원의 기업이다. 포스데이타의 주력사업은 기업이나 정부기관의 정보시스템을 개발해주는 것이다. 즉, 컴퓨터(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 등 모든 정보관련 기술을 활용, 최소의 비용으로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맞는 최적의 정보시스템을 구축, 제공하는 것이다. 곧 정보화와 관련된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 PDF

공공도서관의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모형화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vice Modeling for IR Agency Service in a Public Library and Its Expectations)

  • 김용;김태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95-215
    • /
    • 2006
  •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은 정보의 대량생산과 함께 정보검색의 대중화를 가져왔으며, 검색포털사이트의 성장은 정보이용자들에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정보원으로서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 왔다. 이용자들은 검색포털사이트를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원으로 각인하고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 속에서 도서관과 사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보다 적극적이고 현실성 있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 사회적 역할과 위상을 정립하고 진일보할 수 있는 도전과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특히 공공도서관의 적극적인 정보서비스 방안으로서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제안하고, 이러한 서비스의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정보이용자에 대한 직접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친숙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화와 PDA등을 활용한 정보서비스에 대한 가능성 및 방법론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이용자 간의 평가요소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valuation Factors on Information Systems between the User and the Developer)

  • 조현양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3-172
    • /
    • 1996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시스템의 평가요소를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평가요소들은 선행연구에서 우선적으로 추출되고 추출된 요소는 성능, 효율성을 비롯한 9개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각 기준별 평가요소를 중심으로 문항을 작성하여 개발자 집단과 이용자 집단에게 배포되어 개발자 및 이용자가 중요시하는 요소들에 있어서 차이를 밝히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순위부여결과 185개 시스템 평가요소에 대한 우선순위의 부여에 있어서 이용집단과 개발자집단 사이에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게이미피케이션 MDA+ 기반 대학도서관 큐레이션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ation Service in University Library based on Gamification MDA+)

  • 김성훈;황선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1-291
    • /
    • 2019
  •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이용자의 정보 요구는 다양해지고 있으며, 도서관이 전통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이용자 맞춤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제2차 대학도서관 진흥종합계획(2019~2023)"에서도 이용자 중심의 맞춤서비스를 언급하지만 현 대학도서관 상황에서 이용자 맞춤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시행하기는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게이미피케이션을 도서관에 적용하기 위해 도서관 내외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의 이론과 사례를 살펴보고 MDA+를 제안하였으며, 도서관 큐레이션 서비스와의 접합점을 찾아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대학도서관 취업/구직 로드맵 큐레이션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현장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비대면 참고정보서비스를 위한 도서관 챗봇 설계 및 구현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ibrary Chatbot for Non-face-to-face Reference Services)

  • 유지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51-17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챗봇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언택트 시대의 새로운 비대면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를 모색하고자 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용자 요구 및 도서관 서비스를 분석하고, 적합한 챗봇 개발 방법을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이용자 친화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챗봇의 퍼스널리티를 설계하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성을 평가했다. 또한 챗봇의 응답정확도 평가 및 성능평가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챗봇의 효용성을 평가했다. 챗봇 운영관리 및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해 이용자-챗봇 간의 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서비스를 개선했다. 챗봇 개발 과정 및 결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도서관 챗봇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