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학정보 - 특성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udy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are facility of the empowermen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요양시설의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Chang-Tae;Gwak, Gyeong-Ja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1 no.4
    • /
    • pp.57-82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measure for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empowerment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by analyzing factors of empowerments'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investigating level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subjects of 420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in Youngnam area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job characteristic that is empowerments' influence factor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is appeared in order of feedback, and function variety, and in organization characteristic is appeared in order of leadership, reward, and employee development. Second, level of empowerment that is recognized by sanatoriums' social workers is appeared a little higher than normal level and significance is appeared highest, and next are capability,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influence. Thir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ificance in general characteristic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were 'sex', 'marital status', and 'religion', an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apability were sex, ag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and employment history. An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lf-determination ability were sex, age,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history, and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fluence were sex, age, employment history and types of facilities. Fourth, the whole average of job satisfaction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was 3.82 out of 5, which is generally high, featur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ere ag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employment history, and types of facilities. Thus, job satisfaction was appeared as high as 'more than age of thirty' in age, 'married' in marital status, 'under graduates of colleges' in academic background, and 'less than three years' in employment history. Fifth, as for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with empowerment was appeared that had significant effect in organization characteristic, and had few effect in organization features. On these results,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approach is required to standardize duty system(by various types of facilities and clients' characteristic) of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elderly and the handicapped, and help to do the role as professionals with giving better treatment and building self-respect by enough reward. Second, to suggest chances to perform the responsibility for the duty of the scenes by the regular supervision, establish regular supervision system of social workers of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and the extension of duty to increase the functional varieties. Third, it is required to motivate to have self confidence for the work and to use potential ability with transforming leadership, and to have more chances of education for the self-developme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sanatoriums' social workers who give direct services in sanatorium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more active and positive empowerment's level improvement is in need by improvement of empowerment for them.

  • PDF

Exploring the contextual factors of episodic memory: dissociating distinct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episodic encoding from spatio-temporal contexts based on medial temporal lobe-cortical networks (일화기억을 구성하는 맥락 요소에 대한 탐구: 시공간적 맥락과 구분되는 사회적, 행동적, 의도적 맥락의 내측두엽-대뇌피질 네트워크 특징을 중심으로)

  • Park, Jonghyun;Nah, Yoonjin;Yu, Sumin;Lee, Seung-Koo;Ha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2
    • /
    • pp.109-133
    • /
    • 2022
  • Episodic memory consists of a core event and the associated contexts. Although the role of the hippocampus and its neighboring regions in contextual representations during encoding has become increasingly evident, it remains unclear how these regions handle various context-specific information other than spatio-temporal contexts. Using high-resolution functional MRI, we explored the patterns of the medial temporal lobe (MTL) and cortical regions' involvement during the encoding of various types of contextual information (i.e., journalism principle 5W1H): "Who did it?," "Why did it happen?," "What happened?," "When did it happen?," "Where did it happen?," and "How did it happen?" Participants answered six different contextual questions while looking at simple experimental events consisting of two faces with one object on the screen. The MTL was divided to sub-regions by hierarchical clustering from resting-state data. General linear model analyses revealed a stronger activation of MTL sub-regions, the prefrontal lobe (PFC), and the inferior parietal lobule (IPL) during social (Who), behavioral (How), and intentional (Why) contextual processing when compared with spatio-temporal (Where/When) contextual processing. To further investigate the functional networks involved in contextual encoding dissociation, a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eatures selected as the task-based connectivity links between the hippocampal subfields and PFC/IPL. Each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contextual processing was individually and successfully classified from spatio-temporal contextual processing, respectively. Thus, specific contexts in episodic memory, namely social, behavior, and intention, involve distinct functional connectivity patterns that are distinct from those for spatio-temporal contextual memory.

Internal Changes and Countermeasure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y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actice in Health Center (의약분업(醫藥分業) 실시(實施)에 따른 보건소(保健所)의 내부변화(內部變化)와 업무개선방안(業務改善方案))

  • Jeong, Myeong-Sun;Kam, Sin;Kim, Tae-Woong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6 no.1
    • /
    • pp.19-3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nal changes and the countermeasure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y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actice (SPDP) in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sources: Performance report before and after SPDP of 25 Health Centers in Kyongsangbuk-do and 6 Health Centers in Daegu-City and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survey of 221 officials at health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wenty-four health centers(77.4%) of 31 health centers took convenience measures for medical treatment of citizens and convenience measures were getting map of pharmacy, improvement of health center interior, introduction of order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After the SPDP in health centers, 19.4% of health centers increased doctors and 25.8% decreased pharmacists. 58.1% of health centers showed that number of medical treatments were decreased. 96.4%, 80.6% 80.6% 96.7% of health centers showed that number of prescriptions, total medical treatment expenses, amounts paid by the insureds and the expenses to purchase drugs, respectively, were decreased. More than fifty percent(54.2%) of health centers respond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health works increased compared to medical treatments after the SPDP, and number of patients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before the SPDP. And there was a drastic reduction in number of prescriptions, total medical treatment expenses, amounts paid by insureds, the expenses to purchase drugs after the SPDP. Above fifty percent(57.6%) of officers at health center responded that the function of medical treatment should be reduced after the SPDP. Fields requested improvement in health centers were 'development of heath works contents'(62.4%), 'rearrangement of health center personnel'(51.6%), 'priority setting for health works'(48.4%), 'restructuring the organization'(36.2%), 'quality impro­vement for medical services'(32.1%), 'replaning the budgets'(23.1%) in order. And to better the image of health centers, health center officers replied tha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60.7%), 'public relations for health center'(15.8%), 'kindness of health center officers'(15.3%) were necessary in order. Health center officers suggested that 'vaccination program', 'health promotion', 'maternal and children health', 'communicable disease management', 'community health planning' were relatively important works, in order, performed by health center after SPDP. In the future, medical services in health centers should be cut down with a momentum of the SPDP so that health centers might reestablish their functions and roles as public health organizations, but quality of medical services must be improved. Also health centers should pay attention to residents for improving health through 'vaccination program', 'health promotion', 'mother-children health', 'acute and chronic communicable disease management', 'community health planning', 'oral health',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management', etc. And there should be a differentiation of relative importance between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medical treatment services by character of areas(metropolitan, city, county).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OF ADHD ON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이용한 주의력결핍/과잉운동 장애의 주의력결핍특성에 관한 연구)

  • Chung, Sun-Ju;Shin, Min-Sup;Ha, Kyoo-Seob;Hong, Kang-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8 no.2
    • /
    • pp.242-255
    • /
    • 1997
  •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were investigated by administering six computerized attention tests of Vienna Test System and four neuropsychological tests to children aged 6-12, with ADHD(n=21) and age-matched normal control children(n=22).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DHD children show lower level of vigilance, more decline of performance in vigilance task on time, and impaired preparedness to response. They also have selective attention deficit on monitoring tasks, but did not have sustained attention deficit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children. On the tasks wich overload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ADHD children show more impulsive response pattern than normal control children. The performance of ADHD was worse than control on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sensitive to frontal lobe dysfunction. The presense 'These' attention deficits supports the theory that the defect of ADHD is due to the dysfunction of more than one brain region, including brain stem reticular formation and frontal lobe.

  • PDF

THE TREATMENT RESULTS OF A DAY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발달 장애 아동에게 시행된 주간 치료실 프로그램의 치료 결과에 대한 고찰)

  • Kwak, Young-Sook;Kang, Gyung-Mi;Lee, Hae-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1 no.1
    • /
    • pp.100-109
    • /
    • 2000
  • Objective:This was conduc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Methods:49 children(31 in PDD group and 18 in DLD group) participated in a one year day treatment program conduced from 1996 to 1999. They were performed PEP, CARS, and SMS. They were grouped by diagnosis, comorbidity, chronological age and CARS score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compared. Results: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ay treatment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PEP, SMS score, and decrease trend in their CARS score. When children were grouped by diagnosis, comorbidity, chronological age, and severity in CARS score we did not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Our data suggest that the day treatment program which emphasis on development is effective in trea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 PDF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초기 성인기 우울증에 대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

  • Kim, Sie-Kyeong;Lee, Sang-Ick;Shin, Chul-Jin;Son, Jung-Woo;Eom, Sang-Yong;Kim, He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15 no.1
    • /
    • pp.14-22
    • /
    • 2008
  • Objectives : The authors purposed to present data for explaining gene-environmental interaction causing depressive disorder by examining the effects of genetic factors related to the serotonin system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tressful life events in early adulthood. Methods : The subjects were 150 young adults(mean age 25.0${\pm}$0.54), a part of 534 freshmen who had completed the previous study of genotyping of TPH1 gene. We assessed characteristics of life events, depression and anxiety scale and checked if they had a depressive disorder with DSM-IV SCID interview. Along with TPH1 A218C genotype confirmed in previous study, TPH2 -1463G/A and 5HTR2A -1438A/G genes were genotyped using the SNaPshot$^{TM}$ method. Results :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without C allele of TPH1 gene, the number of life ev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depressive disorder in the group with C allele. Other alleles or genoty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usality of life events and depressive disorder.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PH1 C allele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onset of depressive disorder following environmental stress. It means that the TPH1 gene may affect the gene-environmental interaction of depressive disorder.

  • PDF

Chronic Abdominal Pain-related Childhoo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Based on the Rome III Criteria in Korea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Rome III Criteria에 근거한 만성 복통 관련 기능 위장관 질환 연구)

  • Han, Jae-Joon;Yang, Hye-Ran;Ko, Jae-Sung;Seo, Jeong-Kee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12 no.2
    • /
    • pp.111-119
    • /
    • 2009
  • Purpose: Chronic abdominal pain is a common complaint encountered in pediatric clinic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ronic functional abdominal pain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y applying the Rome III criteria. Methods: A prospective study on chronic abdominal pain in 194 patients was conducted between July 2006 and August 2007. The parents of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ome III criteria. These responses were evaluated by pediatricians, and subsequently, the patients were clinically evaluated. Resul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medical evaluation, 167 of the 194 patients (86.1%) were diagnosed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e., no organic causes of chronic abdominal pain were detected during the medical evaluation. Of these 167 patients, 89.8% of the patients satisfied one of the Rome III criteria, while 10.2% of the patients did not satisfy any of the Rome III criteria for chronic abdominal pain-relate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unctional dyspepsia, 29.3%; irritable bowel syndrome, 25.7%; abdominal migraine, 7.8%; childhood functional abdominal pain, 27.0%; and childhood functional abdominal pain syndrome, 12.6%). Compared to other symptom subtypes, children with childhood functional abdominal pain experienced an earlier onset and a shorter duration of symptoms. Conclusion: The Rome III criteria are more comprehensive; the use of these criteria will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better diagnos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abdominal pain.

  • PDF

Artifacts in Digital Radiography (디지털 방사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Artifact)

  • Min, Jung-Whan;Kim, Jung-Min;Jeong, Hoi-Wou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4
    • /
    • pp.375-381
    • /
    • 2015
  • Digital Radiography is a big part of diagnostic radiology. Because uncorrected digital radiography image supported false effect of Patient's health care. We must be manage the correct digital radiography image. Thus, the artifact images can have effect to make a wrong diagnosis. We report types of occurrence by analyzing the artifacts that occurs in digital radiography system. We had collected the artifacts occurred in digital radiography system of general hospital from 2007 to 2014. The collected data had analyzed and then had categorize as the occurred causes. The artifacts could be categorized by hardware artifacts, software artifacts, operating errors, system artifacts, and others. Hardware artifact from a Ghost artifact that is caused by lag effect occurred most frequently. The others cases are the artifacts caused by RF noise and foreign body in equipments. Software artifacts are many different types of reasons. The uncorrected processing artifacts and the image processing error artifacts occurred most frequently. Exposure data recognize (EDR) error artifacts, the processing error of commissural line, and etc., the software artifacts were caused by various reasons. Operating artifacts were caused when the user didn't have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medical image system. System artifacts had appeared the error due to DICOM header information and the compression algorithm. The obvious artifacts should be re-examined, and it could result in increasing the exposure dose of the patient. The unclear artifact leads to a wrong diagnosis and added examination. The ability to correctly determine artifact are required. We have to reduce the artifact occurrences by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 and providing sustainable education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the equipments.

Correlation Analysis with Modified Barthel Index and Motor Assessment Scale in Stroke Patients (뇌졸중환자의 기능평가척도로서의 MBI와 MAS의 상관성분석)

  • Ko, Seong-Gyu;Jun, Chan-Yo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20 no.1 s.37
    • /
    • pp.52-59
    • /
    • 1999
  • 연구목적 : 뇌졸중환자에 기능회복도의 측정을 위해 가장 신뢰도가 높은 MBI에 대해서 순수하게 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평가만을 위해 고안된 MAS의 상관성을 각 기간별로 분석하여 MAS의 운동기능평가척도로서의 객관성에 대해 연구한다. 또 한편으로 경과시간에 따른 운동기능 회복도의 차이를 전체그룹과 사상그룹에서 평가한다. 연구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6개월에 걸쳐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한방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뇌졸중으로 진단된 환자 중 의식과 언어상태가 명료한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직후 사상의학과에 의뢰하여 QSCCII 시스템에 의하여 체질진단을 받은 후 본원 운동기능평가실에서 입원직후, 입원 후 2주와 4주 등 3회에 걸쳐 Modified Barthel Index(MBI)와 Motor Assessment Scale(MAS)을 시행하였다. 각 환자에 대한 검사는 2명의 한방순환기내과 전문의와 전공의에 의해 환자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 통계처리는 상관분석을 위해서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사상체질에 있어서 각 경과시간에 따른 점수변화는 Repeated ANOVA, 일반적특성 분석에는 Descriptive analysis가 사용되었고, 프로그램은 SPSS/PC+ 7.5 version을 사용하였다. 1. 뇌졸중 환자의 사상의학적인 분포는 태음인이 56.3%로 가장 많았고, 소양인이 28.1%, 소음인이 12.5%, 태양인이 3.1%이었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32.6%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60.9세였다. 2. 경과시간에 따른 사상체질간의 MBI, MAS 평균점수변화는 MBI, MAS 모두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입원당시와 2주 후, 입원당시와 4주 후에서 모두 P<0.001의 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과시간과 사상체질간의 교호작용은 없었다. 3. MBI, MAS 모두 각 항목과 기능별 분류군에서도 경과시간에 따른 평균점수의 변화는 P<0.001 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한방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4. MBI와 MAS의 경과시간별 Pearson 상관성 분석결과 입원당시의 MBI와 입원당시의 MAS에서, 2주 후의 MBI와 입원당시, 2주 후, 4주 후의 MAS에서, 4주 후의 MBI와 입원당시, 2주, 4주 후의 MAS에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두 평가방법 간에는 상관성이 높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