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Analysis with Modified Barthel Index and Motor Assessment Scale in Stroke Patients

뇌졸중환자의 기능평가척도로서의 MBI와 MAS의 상관성분석

  • Ko, Seong-Gyu (Department of Circulatory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 Ji University) ;
  • Jun, Chan-Yong (Department of Circulatory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Won University)
  • 고성규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병원 순환기내과학 교실) ;
  • 전찬용 (경원대학교 부속 인천한방병원 2내과)
  • Published : 1999.03.30

Abstract

연구목적 : 뇌졸중환자에 기능회복도의 측정을 위해 가장 신뢰도가 높은 MBI에 대해서 순수하게 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평가만을 위해 고안된 MAS의 상관성을 각 기간별로 분석하여 MAS의 운동기능평가척도로서의 객관성에 대해 연구한다. 또 한편으로 경과시간에 따른 운동기능 회복도의 차이를 전체그룹과 사상그룹에서 평가한다. 연구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6개월에 걸쳐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한방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뇌졸중으로 진단된 환자 중 의식과 언어상태가 명료한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직후 사상의학과에 의뢰하여 QSCCII 시스템에 의하여 체질진단을 받은 후 본원 운동기능평가실에서 입원직후, 입원 후 2주와 4주 등 3회에 걸쳐 Modified Barthel Index(MBI)와 Motor Assessment Scale(MAS)을 시행하였다. 각 환자에 대한 검사는 2명의 한방순환기내과 전문의와 전공의에 의해 환자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 통계처리는 상관분석을 위해서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사상체질에 있어서 각 경과시간에 따른 점수변화는 Repeated ANOVA, 일반적특성 분석에는 Descriptive analysis가 사용되었고, 프로그램은 SPSS/PC+ 7.5 version을 사용하였다. 1. 뇌졸중 환자의 사상의학적인 분포는 태음인이 56.3%로 가장 많았고, 소양인이 28.1%, 소음인이 12.5%, 태양인이 3.1%이었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32.6%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60.9세였다. 2. 경과시간에 따른 사상체질간의 MBI, MAS 평균점수변화는 MBI, MAS 모두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입원당시와 2주 후, 입원당시와 4주 후에서 모두 P<0.001의 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과시간과 사상체질간의 교호작용은 없었다. 3. MBI, MAS 모두 각 항목과 기능별 분류군에서도 경과시간에 따른 평균점수의 변화는 P<0.001 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한방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4. MBI와 MAS의 경과시간별 Pearson 상관성 분석결과 입원당시의 MBI와 입원당시의 MAS에서, 2주 후의 MBI와 입원당시, 2주 후, 4주 후의 MAS에서, 4주 후의 MBI와 입원당시, 2주, 4주 후의 MAS에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두 평가방법 간에는 상관성이 높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Physical therapy v.65 no.2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Carr, Janet H.;Shepherd, Roberta, B.;Lena Nordholm.;Denise Lynne.
  2. 대한한의학회지 v.17 뇌졸중환자의 기능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고성규;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이경섭
  3. 한방성인병학회지 v.3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도에 관한 임상적 관찰 고성규;오희라
  4. 사상의학회지 v.7 四象體質分類검사지(QSCC)II의 표준화 연구 김선호(외)
  5. 대한신경과학회지 v.10 급성 뇌경색 환자의 기능회복에 관한 예비적 연구 김진국;하정상;변영주
  6. K.H.UNIV.O.MED.J. v.10 폐쇄성 뇌졸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배철환(외)
  7. 사상의학회지 v.7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에 대한 타당화 연구 이정찬(외)
  8. Stroke ; pathoph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Barnett, H.J.M.;Mohr, J.P.;Stein, B.M.;Yatsu, F.M.
  9. Neurology v.37 Prognosis of acute stroke Chamber, B.R.;Norris, J.W.;Shurvell, B.L.;Hachinski, V.C.
  10. Stroke v.17 A Preliminary Study in Acute Stroke, 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Cote, R.;Hachinski, V.C.;Shurvell, B.L.;Norris, J.W.;Wolfson, C.
  11. Arch. Neurol. v.46 Interrater Reability of NIH Stroke Scale Goldstein, L.B.;Bertels, C.;Davis, J.N.
  12. J. A.M.A. v.185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and psychosocial function. Katz, S.;Ford, A.B.;Moskowitz, R.W.
  13. Md St J Ed v.14 Mahoney, F.I.;Barthel, D.W.
  14. J chronic Dis v.5 Classification of disability in the chronically ill and aging. Moskowitz, E.;McCann, C.B.
  15. Stroke v.13 Predicting functional outcome following acute stroke using a standard clinical examination Prescott, F.J.;Garraway, W.M.;Akhtar, A.J.
  16. Brain Research v.50 A quantative investigation of the development of collateral reinnervation of the septal nuclei Raisman, G.;Filed, P.M.
  17. Arch Phys Med Rehabil v.46 Numerical Scoring of self care status of patients. Schoening, H.A.;Anderegg, L.;Bergstrm, D.
  18. Rheumatology and Rehabilitation v.19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in studies of chronic disability Sheikh, K.;Smith, D.S.(et al)
  19.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47 Recovery after atroke. Skillbeck, C.E.;Wade, D.T.;Hewer, R.L.;Wood, V.A.
  20.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48 Recovery after stroke-The frst 3 months Wade, D.T.;Victorine, A.W.;Hewer, R.L.
  21. 대한한의학회지 v.14 중풍환자의 반신마비 회복도에 대한 임상적 관찰 고성규;조기호;김영석;배형섭;이경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