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형태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6초

하지부 의복형태에 따른 체온조절반응 연구 - 하지부(下肢部) 의복형태(衣服形態)에 따른 체온조절반응연구(體溫調節反應硏究)- (A Study of Thermal Physiology for Different Garment Types in the Lower Extremity)

  • 최영희;이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7-88
    • /
    • 1993
  • The changes in body temperatures of students in physical trained and untrained colleges have been studied as a funtion of garment styles under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13{\pm}1$, $21{\pm}1$, $31{\pm}1^{\circ}C$, $60{\pm}5%$ RH, 0.25m/sec). Since exposures of the extremities of body affect the regulation of body temperature, two types of garments, i.e., the skirt and the slacks, were used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garment styles on the regulation of body temperatures. The skirt exposed the calf of the leg, while the slacks did not. Because the body temperature is regulated better for healtier peop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consisted of 2 untrained female students, and the other of 2 healthier female physical college students. 1. The rectal temperatures for those in skirt were $0.3^{\circ}C$ higher than for the ones in slacks at $13^{\circ}C$ regardless of the groups. The untrained group showed $0.3^{\circ}C$ higher rectal temperatures in skirt and $0.2^{\circ}C$ higher in slacks compared to the physical trained group. 2. The skin temperatures rose with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s, and the skirt gave larger mean skin temperature by $0.5^{\circ}C$ at $21^{\circ}C$. 3. At $13^{\circ}C$, the untrained group felt colder, more wet, and slightly more uncomfortable for both skirt and slacks. It is concluded that the skirt is more effective in physiological defense against cold stimuli than the slacks at $13^{\circ}C$, and that the regulation of body temperature takes place more efficiently to the physical trained students.

  • PDF

경기도 박물관 소장 상복에 대한 보존처리 (The Conservation of the Mourning Clothes from the Kyonggi Provincial Museum)

  • 배상경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4-59
    • /
    • 1998
  • 경기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복의 용도를 의복의 형태와 FT-IR 분광법에 의한 비섬유질 추출물의 분석으로 조사하였으며, 상복에 사용된 섬유의 감별을 위해서 현미경법, 용해법, 정색법을 적용하였다. 음이온계 세제인 LAS 계 세제를 사용하여 습식세척 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섬유표면에서의 세척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의복의 형태와 비섬유질추출성분 분석 결과 수의가 아니라 상복임이 확인되었다. 비섬유질 추출성분들은 탄화수소계, 알킬 알콜, 알데히드로 수의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지방산과 질소화합물들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섬유 감별 결과 섬유의 종류는 삼베였다. 세척후의 섬유 표면이 세척 이전의 섬유표면에 비해서 매끄럽고 이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세척 효과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역기능적 의사소통 및 자아 존중감이 청소년의 의복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r's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on Impulse buying of Clothing)

  • 정미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집단에 따른 충동구매행동 및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의복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지역 소재의 고교생 596명 남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 1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고, 요인분석, K-means 군집분석, 분산분석, Duncan test, 회귀분석, 교차분석, ${\chi}2-test$가 적응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에 의한 집단 분류한 결과, 비난형-자존감 높은 집단, 회유형-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 비난형-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 회유형-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의 4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둘째, 의복 충동구매 유형을 요인분석한 결과, 감성적 충동구매 마케팅 상황적 충동구매 비계획구매의 3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통해 역기능적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 집단별 의복 충동구매 유형의 차이를 분산 분석한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 유형이 의복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사소통 유형 중 회유형의 경우 감성적 충동구매 요인에 정적 영향을, 의사소통 유형의 회유형은 마케팅 상황적 충동구매 요인에 부적 영향을, 비난형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집단별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의복행동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충동구매한 장소와 일반적으로 의류를 구입하는 장소의 차이는 비난형-자존감 높은 집단과 회유형-자존감 높은 집단에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유형-자존감 낮은 집단에서 평상시와 충동구매 상태의 구매 장소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에 있어 남을 공격하는 형태를 취하는 비난형 집단에 속하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감정적, 마케팅 자극에 의한 일반적인 충동구매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에, 스트레스 상황에서 본인의 탓으로 돌리는 의사소통 방식을 택하는 회유형 집단에 속하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는 비계획구매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청소년기의 불안정한 자아개념, 의사소통 방식은 의복 구매에 있어서도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 보다는 충동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과 함께 의사소통의 유형에 따라 충동구매행동이 달라짐을 밝혀내었다.

  • PDF

치과환자의 치과위생사 복장에 대한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Patient's Preference of Dental Hygienists' Attire)

  • 유미선;이지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9-53
    • /
    • 2004
  • 환자들의 치과 치료시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고 편안하게 보일 수 있는 복장을 제시하고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 치과에 내원한 성인환자 486명을 대상으로 2003년 1월 20일부터 2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호하는 의복형태에 대해 39.1%의 환자들이 투피스치마를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복형태 분석결과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2. 의복색상에 대해 36.2%의 환자들이 분홍색 계열을 선호하였다. 3. 선호하는 신발은 44.2%의 환자들이 샌들을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연령(p<0.01), 성별(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머리스타일은 환자들의 43.6%가 뒤로 묶은 머리를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연령(p<0.05), 성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선호하는 화장정도는 45.9%의 환자들이 전체화장을 가장 선호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성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치과위생사 표시방법으로 환자들의 60.7%가 명찰을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연령(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자신이 선호하는 복장에 대해 75.9%의 환자들이 자신에게 안정을 준다고 하였다.

  • PDF

Fractal 차원과 면 혼방직물 셔츠의 착용 쾌적감 (Subjective Wear Comfort and Related Fabric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Fractal Dimension of Contact Points)

  • 김정화;이현영;홍경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61
    • /
    • 1999
  • 본 연구에서 직물의 열, 수분 전달특성과 KES-FB의 역학적 특성치, 직물표면의 fractal dimension을 측정하여 주관적 의복 착용 쾌적감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실험의복에 사용된 직물은 면 100% 평직물, 면/PET 혼방직물, 피치가공된 면/PET 혼방직물, PET 100% 평직물, 알칼리 감량가공된 PET 100% 크레이프 직물이었으며, 실험의복의 형태는 긴 소매 셔츠로 하였다. 착용실험은 온도 29$\pm$0.5$^{\circ}C$, 상대습도 75$\pm$2%RH, 기류 0.15m/s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36명의 여성 피험자(20-23세)들이 참여하였다. 의복 착용감의 하위 구성차원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결과를 요인분석한 결과 5 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제 1 요인은 체온상승, 수분특성과 관련이 있는 온열.발한감이었으며, 제 2 요인은 무게ㆍ두께감, 제 3 요인은 회복특성감, 제 4 요인은 표면접촉감, 제 5 요인은 온냉감으로 구성되었다. 직물의 표면특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도입한 fractal dimension 의 분석값들과 종래의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온 KES_FB 의 표면 특성치들이 주관적 착용쾌적감 예측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비교해 본 결과, 표면접촉감은 fractal dimension, 접촉점들의 총면적, 접촉점들의 평균 axis ratio, MMD, SMD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합적 착용쾌적감에 대해서는 SMD 를 제외한 척도들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fractal dimension 과 접촉점들의 총면적은 0.8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착용쾌적감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fractal dimension 만으로 쾌적감의 74%가 설명되었으며 공기 투과도를 첨가하면 두 변수로 $R^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

고감성 의류제조를 위한 3-D 입체 트리밍 시스템 (A 3-D Trimming System for Bias-Cut Apparels)

  • 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57-161
    • /
    • 2004
  • 경사의 사선방향으로 절단하여 봉제된 바이어 컷 직물로 제조된 의류는 일반 의류와 달리 우아한 외관을 나타낸다. 이 직물의 단점은 형태안정성이 나빠서 완제품의 형태가 패턴의 형태와 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밑단 부분이 불균일하게 쳐지므로, 가지런히 절단하는 트리밍 공정을 부가적으로 거치게 된다. 현재의 봉제 공정에서는 트리밍 단계를 모두 숙련공들의 수작업에 의존한 평면 커팅 방법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에 따라 불량품이 양산되고 그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 요인도 높아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치수조절 마네킹을 제조하여 실제 의복 착용 상태를 그대로 재현한 후, 회전시키면서 스스로 회전하는 자동 커터에 의해서 공간상에서 트리밍하는 3-D 입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된 의류는 트리밍 라인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안감이 밖으로 밀려나오는 경우가 없어 품위가 있는 외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작업에 비하여 제조 속도가 훨씬 빠르므로 봉제 후공정에서의 의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신속 생산 시스템의 요소로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 PDF

리브편 조직과 펄편 조직을 이용한 입체 니트 구조의 개발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Knit Models through Rib & Purl Structures)

  • 최원석;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9-117
    • /
    • 2010
  • 편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의 편성 조직을 얻기 위해서 횡편기나 환편기 등의 다양한 니트 편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니트 편환과 조건에 의해서 편성을 하게 된다. 입체적인 형태의 니트 편지는 각기 다른 니트 편환 조직의 병용, 다양한 편사의 이용, 또는 여러 가지 가공공정 등을 거쳐서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화된 자동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조직인 리브편과 펄편의 편성조직을 효과적으로 혼합 편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입체 니트구조를 갖는 편지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입체 니트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몇 가지 다른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 편성물을 개발하고, 새로운 형태의 니트 패션 의복을 제작한다. 또한 리브편과 펄편에 의한 입체 편성조직의 원리와 특성 등에 대하여 논한다.

스마트워치 사용자감성에 기반한 생체신호측정용 스마트 텍스타일의 요구조건 탐색 (Exploring Requirements of the Smart Textiles for Bio-Signal Measurement Based on Smart Watch User Sensibility)

  • 장은지;김인환;이유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89-100
    • /
    • 2017
  • 초연결사회의 시대가 도래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람과 사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점차 웨어러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의복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인 스마트의류는 인체에 가장 밀착한 상태로 각종 생체신호 등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래 일상생활에서 사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스마트의류는 의복에 전자장치를 부착한 형태로 개발되어 기기 이물감으로 인해 착용 시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여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점차 전자장치가 텍스타일 내의 한 요소로 통합되어 있는 스마트 텍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의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비자에게 가장 근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워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경험에 기반한 감성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감성에 대해 구체적인 답변을 얻고자 반구조화 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심층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감성을 기능적, 심미적, 사회적, 경험적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측면별로 감성키워드를 설정하여 빈도 수 확인을 통해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관심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의류 제작에 필요한 스마트 텍스타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개인이 소유한 의복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한 착용자 중심의 패션 연출 방법 개발 - 형태 분석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ersonal Style Analysis and Fashion Coordination Method Applied by the Method of Morphological Analysis)

  • 이현정;최윤미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5호
    • /
    • pp.785-794
    • /
    • 2008
  •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lothes that each person owned by applying morphological analysis, one of the creative conception technique and suggests a way that person owned on clothes through better fashion coordination according to personal style chan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below. Firstly, we could draw a successful fashion coordination technique by compounding solutions classified by each important variable totally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Second, we suggested a personal style analysis technique that is systematic and visual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Third, we could draw a various fashion coordination technique by mixture of partial solution for important variables in short time, and concluded that it is helpful to idea quest to emphasize personal individuality in shopping. Finally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do expansion of fashion coordination efficiently in submitting a morphological analysis table should continue.

  • PDF

앙상블 수트의 의복형태구성요인의 시각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제2보) - 노년여성의 정면형태체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semble Suit Design for Elderly Women's Body Silhouette)

  • 조훈정;위은하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combination of ensemble suit details for the body silhouette of elderly women. In this stud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search for the proper combination of suit details for covering defects of body which has been changed unbalanced. The designs of evaluated suits were manipulated in 18 different kinds by the essential elements such as collars, neckline(round neckline, shirt collar, tailored collar), types of one-piece dress(pleats type, gather type, flare type), and opening(opened, closed). The data evaluated by a multiple ranking test was analyzed by mean, paired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d t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normal body type, it had complementary effects for upper body with closed round neckline jacket or shirt collar jacket, and for lower and the whole body with a combination of closed tailored collar jacket or shirt collar jacket with pleats or gored type one piece dress. The visual effect for elderly women's body shape was different in opened or closed jacket. And that enhanced by Jacket with coll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