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만족도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과시적 소비성향과 콜레보레이션 패션제품 구매동기, 선택기준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 최정원;장미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28-64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vance among the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selection criteria, customer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by adults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and Incheon who have experience in collaborated fashion product sho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picuous consumption was identified with three factors: symbol of position, pursuit of fashion brand/quality, keeping up appearance. Customers were segmented into two subdivisions of a lowly involved group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 highly involved group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2.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with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were identified with two factors of esthetical value and reasonable ostentation. Selection criteria with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were identified with the two factors of extrinsic attributes and intrinsic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was identified with one factor. 3. Highly involved group toward conspicuous consumptionpursued more into esthetics value, reasonable ostentation and considered more into extrinsic attributes through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than the lowly involved groups. Customer satisfaction of a highly involved group toward conspicuous consumption was higher than the lowly involved group. 4. The symbol of posi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keeping up appearan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in regards to both the relevance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clothing purchase motivations, selection criteria,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디지털 패션쇼를 위한 가상 한복 재질분석 및 사용성 연구 (A Study on Material Analysis with Usability for Virtual Costume Hanbok in Digital Fashion Show)

  • 안덕기;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51-358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패션쇼를 근간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접목, 새로운 형식의 패션쇼로 최근 연구되는 디지털 패션쇼를 위한 가상 한복 제작과 관련된 연구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의상을 소재로, 디지털 패션쇼를 진행하기 위한 가상의 한복의 제작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재질들을 분석하고, 사실성 검증을 위하여 전문집단 그룹을 통한 사용성 통계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로 가상 한복 제작에 요구되는 세 가지 필수 재질인 두께, 무게 그리고 색상을 정리한 후, 3D 한복의상을 제작하여 실재 복원된 한복 의상들과 비교, 40명의 피실험자들의 평가를 기준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성 통계수치를 통한 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성 통계의 분석을 통한 매우 긍정적인 만족도 결과는, 향후 디지털 패션쇼 가상의복의 제작에 필요한 구체적인 재질분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여중생과 여고생의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 이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14-922
    • /
    • 2014
  • 본 연구는 여중생과 여고생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내면화, 인식), 신체이미지(외모평가, 외모지향,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여중생과 여고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청소년의 외모관리 지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하고 있는 여중생 186명, 여고생 198명이 선정되었다. 여중생과 여고생의 사회문화적 태도 중 내면화와 인식을 비교한 결과 여고생의 내면화와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중생보다 높았다. 신체이미지 중 외모평가, 외모지향 역시 여고생이 여중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체만족도는 여고생이 여중생보다 낮았다. 여고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체중관리, 의복관리, 얼굴관리 모두 다 여중생보다 관리를 더 하고 있었다. 여중생의 외모관리행동을 회귀분석 한 결과 40.5% 설명하였고,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와 인식, 신체이미지 중 외모지향이었다. 여고생은 외모관리행동을 20.1% 설명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체이미지인 외모평가, 외모지향, 신체만족도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춘기 여학생을 위한 외모와 관련된 교육이나 상담 시 여중생과 여고생에 따라 다른 접근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중년소비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주관적 연령 차이와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및 의복추구혜택 (A Study on the Gap between Subjective Age and Real Age,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lothing Benefits Pursui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Middle-Aged Consumers)

  • 김나미;정성지;김태은;안시현;이민지;장미순;최소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44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lothing benefit pursuit the gap between subjective age and real ag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middle-aged consumers. For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forties or fifties on september 1~10, 2014. A total of 470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Tukey's test, using the SPSS 18.0 Package Program.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age of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Female consumers in their fifties perceived their subjective age to be younger than male consumers in forties and fif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ppearance satisfaction of male consumers in their fifties having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than female consumers in their for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factors of clothing pursuit benefits including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youth, pursuit of rationale, pursuit of leisure, and pursuit of loyalty,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ith female consumers placing more importance on clothing-related benefi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Local fashion businesses to consumers who target middle-aged consumers,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c data.

  • PDF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 for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Textbook)

  • 강미향;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7
    • /
    • 2006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중 의생활 단원을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세부영역별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필요도를 조사하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활동과제의 학습 유형 및 활용도를 조사하여 교과내용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소재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남학생 169명과 여학생 336명으로 총 505명으로 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활동과제의 활용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세부영역별 수업만족도와 교과내용의 필요도. 교과내용의 적절성과 교수방법, 교수매체의 활용, 활동과제를 하고 난 후의 느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 또는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의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Duncan의 다중 범위 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 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 세부영역별 수업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영역에 따른 교과내용의 필요도는 의복재료 영역이 가장 낮은 필요도를 보였으며, 나머지 영역들은 보통 이상의 필요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의 참여 여부에 따라서는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과내용의 적절성에 관련하여 남 녀 모두 교과내용이 흥미롭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의생활 단원의 실험 실습을 학생들이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교과서를 읽어나가고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수업이 진행되었다'는 응답이 많아 앞으로 다양한 교수방법과 교수매체의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넷째, 교과서의 활동과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견탐구 학습이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동학습은 전혀 활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활용한 활동과제의 유형은 옷차림 영역의 활용도가 가장 활용도가 높았으며, 의복구성의 활동과제 활용도가 제일 낮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Wearing Satisfaction of Men's Upper Body Correction Underwear

  • Han, Hyun-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61-16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대 경도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시판 남성용 상체 보정속옷에 대한 착용만족도를 알아보고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20대 남성이면서 BMI지수가 25~30인 (경도비만)인 사람으로 15명을 선정했다. 연구 결과, 남성들의 보정속옷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낮은 편이었다. 착용 만족도 조사에서는 입고 벗을 때 불편하다고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많았다. 압박감면에서는 초반에는 압박감이 강하다고 느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익숙진다고 하였다. 답답함과 더위와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이 과반을 넘었고 땀 흡수 및 배출과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시각적인 부문에서는 가슴 보정, 허리 옆부분 보정, 허리 앞부분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남성용 상체 보정속옷의 개선점은 과한 압박감이 가져다주는 답답함과 소화불량, 여름철을 고려하여 더위와 땀과 관련한 기능성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국가산업공단 근로자들 작업복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작업분야별 작업복 기능성 및 동작요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rking Clothes in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Considering Clothing Performance and Motion Factors in Work Places-)

  • 박진아;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71-1583
    • /
    • 2008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working clothes in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o analyze the industrial workers' satisfaction with and preference to the working clothes in terms of the clothing performance and work motion factors. 1 major companies in machinery, automotive, industrial engineering, shipbuilding and rolling stock industries located i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firms. Approximately 900 work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e research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 employees were divided into 4 work groups, i.e. the $1^{st}$ work group: managerial, general affairs, sales, production planning; the $2^{nd}$ group: quality assurance, material planning and distribution, product inspection; the $3^{rd}$ group: electric, facilities, machinery, vehicles; and the $4^{th}$ group: cutting, pressing, rolling, welding and coating. (2) The significant work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ed by all work groups were air ventilation, noise and dust factors and in particular, the most dissatisfied factors evaluated by manufacture workers were insulation, noise, dust and vibration. (3) According to the employees' work motion evaluation, the work motion diversity and frequenc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work intensity. Besides, manufacture workers more frequently wore the working clothes even during the off-duty hours comparing to the evaluation of the other work groups. (4) The most important clothing performance factors considered by manufacture work groups were perspiration absorption, stretch, air permeability, tactile sense softness, soil proof in order.

기능성 등산복의 착용실태 조사 (Research on the Wearing Condition of Functional Mountaineering Garments)

  • 이아람;정정림;김희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35-1940
    • /
    • 2009
  • 본 연구는 기능성 등산복의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등산복의 개발과 차별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등산을 즐기는 107명의 응답자들이 본 설문조사에 응해주었고 문항은 개인정보, 구매습관, 등산복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 본인이 소유한 등산복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 자유기술의 5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응답자들은 기능성 등산복을 선택할 때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특성으로 흡습속건성, 보온성, 방수방풍성, 스트레치성 기능을 열거하였다. 이 기능들은 한 겹의 의복으로 착용하기보다는 여러 겹 겹쳐입을 경우 특히 그 효과가 증대한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치성의 경우 하체의 움직임이 많은 등산 활동 시 하의에 특히 필요한 기능이라 응답하였다. 그리고 응답자들은 기능성 등산복의 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응답하였으며 세탁이 불편하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설문결과로 보아 기능성 등산복의 개발 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세탁성이나 가격과 같은 소비자들이 개선을 원하는 요소들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이다.

도로변 작업자와 도로교통 업무 경찰관의 안전의복 착용실태 및 그 소재와 착용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urrent Wear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Warning Clothing for Road Cleaner and Traffic Workers)

  • 박순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347-360
    • /
    • 2018
  • We surveyed 223 road workers between 2017 July-August about wearing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basic data to develop safety clothing that enhances visibility of motion and comfort while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current warning clothing owned by road cleaners and about 2/3 of policemen clothes were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purpose of wearing, color, properties, satisfaction and protectiveness differed significantly by occupation. Second, the most popular response for the type and quantity of warning clothing was 2 sets of spring/autumn, summer, and winter type for road cleaners, whereas policemen chose 2 sets of all types plus a safety vest. Therefore, a top-level (3rd class) warning clothing study is required. Third, satisfaction ranked Moderate>Good>Poor; in addition, the main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retroreflective tape increases safety at night (54.4%)' for road cleaners and 'the fluorescent color stands out (43.7%)' for policemen. Thus, it was accepted that visibility contributed to safety. Fourth, body-protectiveness was evaluated higher compared to wearing satisfaction, and it was recognized more by road cleaners than policemen.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er for road cleaners versus policemen both in Seoul than Incheon. Fifth, the main dissatisfaction in both groups was 'low sweat absorbency' showing improving the air permeability, moisture regain and permeability was the highest priority. Finally, those working 8 hours a day tended to evaluate more positively the 6 properties of the material.

중년 남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 추구혜택과 추구이미지 (Clothing Pursuit Benefit and Pursued Image of the Middle Aged Men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and Body Satisfaction)

  • 정기욱;이연희;이지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6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clothing pursuit benefit and pursued image of middle aged men according to lifestyle and body satisfac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40 and 50, and a total of 322 respons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test, cluster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iddle aged 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in terms of lifestyles, including health managing, trend-seeking, economic consumption, and proactive lifestyle group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clothing pursuit benefits among four lifestyle groups, two lifestyle groups such as trend-seeking and proactive lifestyle groups both considered individuality more importantly than other clothing pursuit benefits. The proactive lifestyle group considered comfort, social recognition and individuality benefits. As a result of looking at differences in the pursued image of clothing among lifestyle groups, the proactive lifestyle group preferred a classic, refined and mild clothing im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pursuit benefits and pursued images between high- and low-level groups of body satisfaction. Those with high body satisfaction considered individuality, social recognition, and comfort more than those with low body satisfaction. The high body satisfaction group preferred all clothing images such as mild, classic and ref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