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의 맞음새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Clothes Purchase and Size Fit for Kindergarten Children (유치원 아동의 의복구매와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 Zhang, Mei-Na;Lee, Young-Suk;Kim, Soon-Boon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5 no.1
    • /
    • pp.116-129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s the status of clothes purchase and the size fit of the clothes for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Daegu city area. The total of 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ummary and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accompanying children when purchasing appeared mostly 'sometimes accompany'. Second, the parents appeared 'sometimes reflect children's opinions'. Third, the main information source was 'store display'. The main place of purchase was large discount stores, internet home-shopping, and department stores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of the parent(p<.05) and monthly incomes(p<.001). In the clothes size selection, 72.1% of the parents selected 'one size larger' at time purchase and showed asignificant difference by monthly income. Repair-experience after purchase appeared in 31.4% of the samples because of the inadequate length and width of the clothes. The unfit clothes parts were in the order of pant length, sleeve length, waist part, jacket length, pant width, hip part, and crotch,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 based on gender. The salient purchasing point for child clothing was in the order of 'size fit', 'color and pattern', 'design' and 'convenience in ac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kindergarten children need adequate size for growing and convenient pattern designs (that include materials at stretching parts) for positive acting because they are in a period of frequent activity and growth.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s of Knitted Jackets According to Body types Using a 3D Virtual Try-On System -Focus on Adult Women in Their 30's and 40's- (3차원 가상 착장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별 니트 재킷의 맞음새 연구 -30~4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 Do, Wol-Hee;Park,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4 no.10
    • /
    • pp.1632-1646
    • /
    • 2010
  •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fit preference of the knitted jacket according to body types for 30's and 40's adult women through a comparison of real and virtual fit. A five 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preference of real and virtual fi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ANOVA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17.0.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of the knitted jacket according to body types indicates that respondents preferred pattern 2 for body type N than the rest of the patterns; however, respondents preferred pattern 3 for body type A and H.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3. It is necessary that the knitted jacket follow a similar size tolerance like a woven jacket. The results show that the next generation of virtual try-on systems need the development of a minus clothing ease scale.

A Study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Appearance and Fit for Basic Apparel Patterns (의복원형의 외관과 맞음새를 위한 관능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 최미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1
    • /
    • pp.1627-1637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s of basic bodice apparel displayed on the PC monitor connected to digital camera, and to suggest a more efficient alternative method that enables the expert judge to evaluate the subject both traditional method and displayed images on the computer. Appearance evaluation has traditionally been assessed using subjective method dependent upon expertjudges' senses with the naked eye after direct observation of a living model. This research faces the new challenge focusing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appearance for basic apparel patterns, which can overcome the space and tim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feet methods. A total fifteen basic bodice garment (3 types of $pattern\;{\times}\;5$ subject) were constructed with same fabrics. The appearance evaluation items consist of lg questions of upper torso. The image takes font, back and side view of the dressed subject with three different situations. Data was analyzed using percentiles,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 of appearance evaluation through digital camera image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leq}.001$) in the response to the placement of the neckline, the waist & shoulder dart, the general ease of the bust & waist area, the side seam, the perpendicular of the waist hem and general acceptability between the above three different situations; the image in the condition of greenish yellow background with front light showed the highest score through all questions. These results depend on the kind of background colors with the light.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y-Made Jacket for Women according to Pattern Size Using 3D Scanner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재킷의 패턴 사이즈에 따른 착의평가 연구)

  • 서추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3_4
    • /
    • pp.390-401
    • /
    • 2002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tness and the suitability of size specification of the ready made jacket for women by analysing pattern size and space between skin and clothing using 3D scann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ttern B had the lowest score and the feeling of wear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iven patterns even though all jacket size specification were the same. 2. Ease amount was different between each brand even though the jacket size specification was the same due to the different pattern grading rules. And increasing grading amounts were bigger in horizontal direction rather than in vertical direction. 3. We could obtain accurate a 3 dimensional figure, using 3D scanner which was very useful and more accurate than 2 dimensional data using photography method. 4. Analyzing the average space between skin and clothing of each patter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pace between skin and clothing among all patterns except waist part of B88 size. And analyzing the average space between skin and clothing of each measured body parts by each size,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scye, abdomen and hip parts.

Effects of Fit-Related Factors and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on Clothing Satisfaction (맞음새 관련 요인과 의복평가기준이 의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체형, 치수중요성, 활동중요성을 중심으로-)

  • Park, Sun-Mi;An, Eun-Jeoung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25 no.3
    • /
    • pp.373-382
    • /
    • 2014
  • This study was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fit-related factors and,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to clothing satisfaction. A total of 247 completed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female students in their twentie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ed factor analysis, an ANO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practicality, product trait, and symbolism. Second, a comparison of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and clothing satisfaction in groups divided by fit-related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fat body typ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the product trait and the thin body type group showed lower level of clothing satisfaction. The high activity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and lower level of clothing satisfaction. Third, body type perception (-) and activity importance (-), fit-related factors, and practicality (+), clothing evaluation criter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clothing satisfaction.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shion firms should make efficient use of fit-related factors and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to enhance consumers' clothing satisfaction and to stimulate their purchase intention toward fashion goods.

작업부하에대한 심리/환경적 영향 평가기법 개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박창순;조영진;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40-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 개인이 느끼는 심리/환경적 부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들이 간단한 기구와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은 기존 연구와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심리부하 측정 요소를 결정하였고, 문헌과 모의 검사를 통하여 부 담감이나 편의(bias)를 줄일 수 있도록 문항수 및 어휘를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설문은 다양한 문체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형태를 선정하였다. 환경적 작업부하 측정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요소를 결덩하였고, KS 규격을 기존으로 새로운 환경부하 측정 지침서를 개발하였고, 현장 예비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환경부하 측정결과를 지수화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과, 심리적척도와의 통합을 위 한 수리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 문항과 환경조사방법은 작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 제로 그 효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제까지 소홀히 여겨왔던 작업자의 심리적/환경적 부 하를 정량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정량화한 심리/환경 부하 척도는 이제 까지 주로 조사되었던 생체역학적/생리적 부담도와 더불어 종합적인 작업부하 평가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척도에 의한 결과는 현장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하여 노/사/ 정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방차원의 안전관리에도 응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 PDF

Video Ethnography를 위한 컴퓨터 지원 분석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이지현;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65-69
    • /
    • 1998
  • 기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시 다양한 사용자 니즈들이 수집되고 이러한 정보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들이 활용, 개발되고 있다. 그중 Video Ethnography는 특정 시스템 상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내의 변화를 비디오를 이용해 저장하고 저장된 상황 의 변화요인을 해석 체계에 의거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는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사용자의 자연스 러운 작업의 수행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계획된 실험에서 얻 을 수 없는 시스템에 관한 발견점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Video Ethnography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성 정보들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되지 못하고 있고,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 관리하는데 필요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Video Ethnography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니즈를 체 계적으로 수집,해석,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특정한 사용상황에 맞추어 수집 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니즈들은 먼저 컴푸터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과업의 목적, 주변상황,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특정 시스템 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도출되고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은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추후 제품 개발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 용환경에 대한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 PDF

사용성 평가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김병욱;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81-86
    • /
    • 1998
  •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의 하나인 비디오 프로토콜 분석(Video Protocol)은 정 보의 질과 양적 측면에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우위에 있다고볼 수 있다. 그러나 비디오 프로토콜 분석 은 많은 물적, 시간적 비용의 투자가 필요한 방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컴퓨터의 정보 관리 기능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에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위한 컴퓨터 지원 시스템 개발' 의 일환으로 사용자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인 개발된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 지원시스템으로써 컴퓨터를 활용한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용성 평가 비디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사용자 의 기초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사용성평가에 이용되는 제품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성의 다양한 측면 정보를 비디오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정보와 제품정보, 사용자 기초정보를 연관지어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분석된 정보로부터 디자인개선의 컨셉을 도출하는 단계 등에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용성 평가 컴퓨터에서 제어가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이를 화면에 재생시키면서 관찰자가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에 분석하고 기록할 수 있는 모든 지원 도구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기록이 자동적으로 분석정보로 활용되어 다양한 측면에서 제품의 사용성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석정보를 도표화하고 분석과 정보검출, 정보생성 단계들 간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othing Wearing Conditions and Fit for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40대와 50대 중년 여성의 의복 착용 실태 및 맞음새 비교 연구)

  • Nam, Young-Ran;Choi, Hei-Sun;Kim, Eun-Kyong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5 no.3
    • /
    • pp.137-15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ral status of wearing clothes and clothing purchase of middle-aged women in the 40's to 50's, the patterns and colors of clothes they prefer, clothing preference related with fitting or such, and also complaints. And this paper also divides the middle-aged women into those in the 40's and 50's to analyze how they differ in terms of the apparel brands and fitting they prefer and also the status of wearing clothes. For the research, a survey was performed to 350 women, and the survey data went through x2 and t-test analysis by using SPSS 20.0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women in the 40's included as the subjects showed a high frequency of clothing purchase from casual brands or SPA brands and regarded design to be important at the clothing purchase. Meanwhile, the women in the 50's indicated a higher frequency of clothing purchase of middle-aged women's apparel brands, outdoor brands, madam clothes, or designer brands and thought activity to be crucial at the clothing purchase. As the women in the 40's and 50's showed difference in the brands they preferred, particularly the fitting indicated difference in terms of dissatisfaction. While those in the 40's preferring and buying young casual showed particularly more fitting problems in the arm-hole girth, upper arm circumference, bust size, and thigh or hip area, those in the 50's indicated fitting problems in the hip circumference or waist measure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to set up the target age by related apparel companies or develop clothes with great size fitting and design satisfaction.

  • PDF

Study on Preferred Style and Fit according to Stature Groups of Women aged 18 to 59 (18~59세 여성의 키에 따른 기성복 선호스타일과 착용적합성에 관한 연구)

  • Lee, Jeong Yim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4 no.5
    • /
    • pp.821-833
    • /
    • 2012
  • This study surveys preferred style and fit problems according to stature groups like short, medium, and tall to offer information to upgrade the clothing fit and satisfaction for each stature group.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accomplished, and the respondents were 18-59 year old women divided into 3 stature groups. The 6 questions were: (1) the preferred clothing style for 3 stature groups, (2) the conformity of stature designation on ready-made clothing, (3) frequency of restrictions on clothing design selection because of short or tall stature, (4) the important part to decide a good fit for a jacket, blouse, slacks, and skirt, (5) dissatisfaction with clothing fit and frequency of mending, and (6) mended part for a correct fit.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3 stature groups and the differences among 3 stature groups were found on them. For example, short women preferred short jackets; however, tall women preferred a long length. Short women experienced more restrictions on clothing design (or length) selection because a short stature. Hip girth was more important to decide a good fit for tall women versus short or medium women. Armhole and slacks width from crotch to knee were important parts to decide a good fit for short women.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pplied to clothing design (or pattern making) in order to upgrade clothing fit and satisfaction for each statur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