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과학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1초

열전에너지 수확 의류를 위한 인체표면 온도분포의 기초적 고찰 (A study on ski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human body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heat energy harvesting clothing)

  • 양진희;조현승;박선형;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435-444
    • /
    • 2011
  •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술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의류를 통한 인체 에너지 수확 시스템의 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인체에너지를 수확하는 방식의 하나인 열전은 인체와 주위 환경간의 온도차이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 의복을 통한 열전에너지 수확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인체표면 온도의 분포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체표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별 온도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체의 체표온도가 하체에 비해 높았고 특히 심장과 가깝고 혈류량이 많은 몸통 부위의 체표온도가 높았다. 뒷목과 등, 허리의 후면 부위 체표온도가 앞면에 비해 높았으며, 팔 부위의 경우 위쪽 부위의 체표온도가 아래쪽 부위보다 높고 팔 후면이 정면과 측면에 비해 온도가 낮게 나타났다. 체표 구간별 평균 온도와 환경온 간의 차이값이 가장 높아 열전 수확 기능구조 설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뒷목 부위로 나타났고, 등과 허리 부위, 측면 어깨부위, 가슴 부위, 정면 위팔 부위, 배 부위가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인체표면 온도분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열에너지 수확의류 개발을 위한 기본 지침을 도출하였다.

  • PDF

동작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및 피드백 제품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Sensing and Feedback Product Design for Movement Monitoring)

  • 조현승;양진희;이강휘;이정환;박서연;최형익;전학수;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65-176
    • /
    • 2018
  • 본 연구는 시 청각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의류형 웨어러블 동작 센싱 및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 센서 제조 및 이를 적용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직물기반 동작 센싱 모듈 설계, 아동의 운동 흥미 유발을 위한 시 청각 피드백 시스템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SWCNT 기반의 동작 센싱용 신축성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이를 의복의 사지 관절 부위에 부착한 스포츠웨어를 디자인하였으며, 센싱 모듈을 설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관절 동작 실험을 통해 센싱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악세서리 형태로 개발된 피드백 제품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웨어를 착용한 아동의 동작에 따라 빛과 소리로 반응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아동의 운동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아동용 스포츠웨어 및 악세서리 제품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티베트 복식의 색채 감성과 의미 탐색 (A Study on the Color Sensation and Symbolism of Tibet Costume)

  • 왕종;김지수;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15-128
    • /
    • 2018
  • 티베트 고원에서 살고 있는 티베트인 또는 장족은 오랜 역사와 자연환경에 순응한 자신만의 독특한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어 독자적인 의복문화 형태를 지닌다. 복식 중에 색채, 문양, 도안의 사용에서 종교적인 의미를 나타낼 뿐 아니라, 복식을 통해 자신의 생활의 희망과 자연을 존중한 마음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티베트 민족 복식의 색채 상징성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티베트족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고자 장족 복식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고 그들만의 색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장족의 색채인식, 상징성을 색의 사용 예시와 출현빈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복식사진의 색채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I.R.I HUE-TONE 시스템에서 매칭 색상과 색조를 찾는 방식이었다. 장족 복식도서의 칼라사진과 청해 장족문화박물관의 장족 복식을 직접 촬영한 사진, 인터넷 박물관의 복식사진 등 총 96장의 사진이었다. 결과는 첫째, 세상을 구성한다고 생각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를 5가지 색 장오색에 연결하여 각 색마다 자연적 의미를 부여하는데, 빨간색은 불, 파란색은 하늘, 흰색은 구름과 흰 눈, 초록색은 초원, 노란색은 대지를 각기 상징한다. 둘째, 홍과 녹, 흑과 백, 홍과 남, 황과 자색 등 강렬한 색채조화를 이루도록 대담한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티베트인들의 특유한 심미관을 표현하는데 색의 일반적인 감성을 대부분 따르지만 그들만의 감성이 들어있는 색상이 존재하였다.

감염관리 분야에서 감시배양검사의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a Surveillance Culture Laboratory in Infection Control Fields)

  • 박창은;정나연;양민지;김한울;주세익;김건한;성희경;황유연;임현미;손재철;윤선한;윤남섭;장인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59-369
    • /
    • 2018
  •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적 방법은 일관성이 있는 감염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감시 통제를 수행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진단을 향상시켜나가는 것이다. 또한 의료 종사자의 손과 의복 및 장비는 환자 관리 및 환경과 접촉하여 병원체가 오염되는 요인이다. 병원체를 가진 시설 표면(예: 침대 레일, 침대 옆 탁자), 음용수, 냉각탑용수, 내시경기구, 급식위생, 공기매개, 멸균검사, 내독소검사, 및 의료 장비를 포함한 의료 환경의 오염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감염원을 활동 감시를 통해 MLST, PFGE의 기법으로 역학분석을 수행한다. 따라서 HAI 예방을 위한 환경 감시배양 검사는 환자의 안전과 감염원의 차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의 감염관리 시스템을 통제하여 최적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예방을 가능케 하고 국가의 감염관리 시스템의 안전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감시배양 검사의 표준화를 통해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체계에 이바지하고 감염관리 전문인력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표준화 마련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료관련 감염을 줄이고 국가적 의료관리 체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의복행동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Sex-Role Identity and Home Enviornments)

  • 전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4
    • /
    • 1997
  • Clothing is considered as a means of self-projection in the childhood and children show clear preference on their own favorite clothing on which their latent identity is reflected. Changing sex-role identity, in particular, in the modern complex society specially affects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sen-role ident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clothing behavior in the childhood and be of help in selecting appropriate clothing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sex-role identity. Necessary information for this study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aire. 'Bem sex-role identity inventor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role identity and the clothing behavior was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factors of conformity,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composed of three hundred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percentage(%), mean value(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t-test,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for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Sex-role identity show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rder of a birth and standard of living. This small difference is sh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 In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the sex-role ident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found in typical sex-role identity group. However, clothing behavior in modernistic sex-role identity group exhib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factors of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at the level of P<.001. 3. As concerns the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gend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and interest than girls do. Howev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than girls do in connection with the standard of living. Although the cloth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mother's age and existence of mother's job shows a little difference in mean values,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detected. 4. Clothing behavior of the children show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5. Through 3-dimensional variable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mutual interaction between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on the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from MCA supplementary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 PDF

비타민 D와 우울증 (Vitamin D and Depression)

  • 조수경;구슬;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467-14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와 정신질환, 특히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 추이를 보이고 있는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타민 D의 종류, 급원 식품, 비타민 D 영양상태 현황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타민 D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요약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타민 D는 자연계에 주로 비타민 $D_2$(ergocalciferol)와 $D_3$(cholecalciferol)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주로 대구간유, 고등어, 정어리와 같은 지방이 많은 생선, 난황, 표고버섯 등이 주요 급원 식품이다. 둘째, 국내 외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을 고찰한 결과 비타민 D 결핍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혈청 25(OH)D 20 ng/mL 미만인 남녀는 각각 89%, 99%로 매우 낮은 비타민 D 수준을 보였다. 셋째, 체내 비타민 D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인종, 거주 지역, 위도, 의복차림, 계절적 차이, 직업, 자외선 노출 정도, 보충제 복용 여부 등이 보고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연령의 증가(한국인 및 일본인의 경우 반대 방향),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어두운 피부색, 흡수 불량 및 비만은 비타민 D의 합성, 흡수 및 이용률에 영향을 주어 비타민 D 부족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넷째, 최근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국외 역학연구들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횡단 연구와 코호트 연구 결과는 불일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비타민 D 보충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이 또한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지만 보충제로 얻는 비타민 D는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와 다르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횡단 연구 및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한 연구 결과 우울증에 대한 비타민 D의 이로운 효과에 대하여 비교적 일치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국외에서 진행된 연구이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분석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운동용 속옷의 착용효과 -소재별 발한량과 체중감량을 중심으로- (The Wearing Effect of Sport Underwear -Focusing on the Loss of Weight and Amount of Sweat according to the Materials-)

  • 나미향;김미선;정복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285
    • /
    • 2002
  • Three materials for sport underwear were manufactured by order for study, and among them, suitable material in order to perform an experiment on the effect of wearing was adop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wearing an experimental clothes for sports manufactured as a foundation-type underwear for sports showed that if the same compositional materials were applied, laminating material had higher rate than that of others in the amount of sweat. Concerning relative humidity in clothes and the amount of sweat absorbed in clothes among the two kinds of materials which were produced by laminate, material 2(nylon+modal) was statistically exerts higher influence on the amount of sweat. The humidity in clothes keeps the optimal condition of 59.8%, and breast part showed the highest relative humidity. The material 2(nylon+modal) showed the highest comfortableness, the sense of warmth, humidity and voluminousness, and the sense of pressure. Follow-up survey revealed that in case of material 2, higher amount of sweat than that of the group objects in its early phase, and the amount of sweat varies from individuals. The temperature in clothes of folded parts of experimental clothes and maximum surface temperature was equivalent to that of average skin. With the lapse of time, the weight decreased of 11.03% in maximum, and 3.12% in minimu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irth was greater in part of body frame than that of limbs, and especially, navel and waist part showed high decrease, and upper breast, breast and the largest part of abdomen showed relatively low decrease. The above experiment revealed that materials for suitable to the underwear for sports for loss of weight by an exercise should be made of doubled-nylon and modal, along with the laminate processing, which heightens the amount of sweat. Thus, wearing an experimental wear gave satisfaction in the view of the beauty of appearance as it did not discharge flowing secretion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exercise.

  • PDF

한국과 중국 20대 여성들의 의복소비가치가 럭셔리 패션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도시 패션마켓을 중심으로 (Consumption Value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Post-teen Korean and Chinese Women)

  • 진유;황춘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107-118
    • /
    • 2014
  • Purpose - Due to the recent slowdown of growth in global luxury brands, which have been an engine of our domestic fashion market growth,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global market for domestic high-priced fashion brands. In spite of the large scale of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respect to fashion products, current trade concentrates on middle- and low-priced products rather than high-priced products. Diversification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the price levels of trade products is needed. An understanding of Chinese consumption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level of trade with regard to high-priced fashion products. Therefor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20s,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how those values affect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283 Korean and 306 Chinese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Seoul, Beijing, Guangzhou, and Shanghai.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 to 15, 2014. A total of 589 completed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Fivefactors for clothing consumption values were formulated: conspicuous/social value, fashionability value, personality expression value, hedonic value, and practical valu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except social valu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With regard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Chinese women attached more importance to fashionability value, personality expression value, hedonic value, and practical value than South Korean women. In addition, Chinese women'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were higher than South Korean women's. Second, in the case of South Korean women, social value, practical value, and fashionability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s for luxury fashion brands, while attractive/personality expression value and hedonic value had no influence. In contrast, in the case of Chinese women, social value and fashionability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 for the luxury fashion brands. Third, in the case of South Korean women, social value and practical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In contrast, in the case of Chinese women, social value, personality expression value, and fashionability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Conclusions -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clear tha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for luxury fashion brand markets i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will help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uxury fashion brand marketing strategies in Korea and China.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Painting Characteristics on Portraits by Nondestructive Analysis of Joseon Dynasty in 18th Century - Focusing on Yu Eon-ho's Portrait -)

  • 송유나;이한형;정용재;이혜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0
    • /
    • 2016
  • 18세기 제작된 유언호 초상화에 대한 비파괴분석 통해 채색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와 채색기법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8세기의 초상화 11점과의 채색특성을 비교해보았다. 유언호 초상에 사용된 안료는 백색에 연백, 황색에 염료, 적색에 진사, 연단, 적색염료, 녹색에 석록, 청색에 석청, 갈색에 적색산화철, 갈색염료, 자주색에 청색과 분홍색의 염료 등을 사용하였다. 11점의 초상화와 채색 안료를 비교한 결과 18세기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는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동일 화첩에 수록된 초상화일지라도 안료의 사용은 초상화마다 개별적으로 나타났다. 채색기법에서는 유언호 초상 이후의 초상에서 얼굴에 진사를 사용하지 않고 산화철만 사용하였으며, 의복의 배채에 녹색 안료 대신 염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8세기 전반에 걸쳐 제작된 초상화의 채색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가 조선 후기 초상화의 채색기법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왕복운동에 의한 직물마찰음발생장치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직물소리 평가 (Development of Rustling Sound Generator Using Reciprocating Motion and Evaluation of Its Fabric Sound)

  • 김춘정;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33-1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의복 착용 시 직물이 스치면서 발생하는 왕복마찰음에 대한 물리적 소리특성과 주관적 감각을 고찰하기 위해, 왕복운동을 이용한 직물마찰음발생장치를 개발하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5가지 직물의 왕복마찰음을 녹음한 후, 총음압(LPT), 음압차(${\Delta}L$), 주파수차(${\Delta}f$)를 계산하였다. 왕복마찰음에 대한 주관적 감각은 7개의 소리감각(부드러움, 시끄러움, 날카로움, 맑음, 거침, 높음, 유쾌함)에 대하여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다. 나일론 태피터와 폴리에스테르 레노 직물의 왕복마찰음은 높은 LPT를 나타내어 시끄럽고 날카롭고 거칠며 불쾌한 소리로 인지되었다. 반면 LPT와 ${\Delta}f$의 값이 작은 폴리에스테르 울트라스웨이드와 실크 크레이프드신 직물의 왕복 마찰음은 부드럽고 조용한 소리로 평가되었다. 마찰방향(왕복 방향, 한 방향)에 따른 직물의 마찰음 비교시, 왕복 방향 마찰음은 한 방향 마찰음보다 더 날카롭고 시끄럽고 거칠게 인지되었으며 마찰방향에 상관없이 LPT가 소리감각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