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무기록정보

Search Result 25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Study on Impact of Introduction Characteristics Factor of EMR System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MR시스템의 도입 특성요인이 지각된 유용성, 편이성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m, Hyung-Joo;Shim, Jeong-Taek;Lee, Sang-Shi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2
    • /
    • pp.32-50
    • /
    • 2009
  • Since 1990 when order communication system(OCS) was first introduced,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edical service has been widely accepted in order to enhance quality and customer relationship as well as to increase managerial effici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is rapidly increasing and is trying to make ubiquitous healthcare environment through telemedicine system. Especially, medical profession and government have taken interest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which can digitalize and manage all medical records in hospitals. By recording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EMR system can improve service efficiency and customer service quality including short waiting time, various utilization of clinic information, and reduced cost.

Considerations for the Migr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Cloud Based Storage (전자의무기록의 클라우드 기반 저장소 이동시 고려사항)

  • Yi, Myong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1
    • /
    • pp.149-173
    • /
    • 2016
  • As cloud computing becomes more and more popular and ubiquitous, many organizations are deciding to move their whole information infrastructure to the cloud. The healthcare industry is one of those that is beginning to utilize cloud-based solutions en masse. Cloud based computing and storage offers numerous benefits including scalability, cost efficiency, and accessibility, which in turn have the potential to streamline hospital operations. Despite the potential benefits of acquiring this system, considerations must still be given to the migration of the massive amounts of personal and highly protected data to a cloud-based solution. Health care organizations must consider all matters of security,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to ensure that patients' data remains compliant to 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complian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such operation to determine the best practices for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cloud based networking and storage for small to mid-sized hospitals.

A Research on Explainability of the Medical AI Model based on Attention and Attention Flow Graph (어텐션과 어텐션 흐름 그래프를 활용한 의료 인공지능 모델의 설명가능성 연구)

  • Lee, You-Jin;Chae, D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520-522
    • /
    • 2022
  • 의료 인공지능은 특정 진단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지만 모델의 신뢰성 문제로 인해 활발하게 쓰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의 진단에 대한 원인 설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설명가능한 의료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MRI 등 의료 영상 인공지능 분야에서 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지 형태가 아닌 전자의무기록 데이터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를 기반으로 한 모델의 설명가능성 연구는 EHR 데이터 자체의 복잡성 때문에 활발하게 진행 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의무기록 데이터인 MIMIC-III (Medical Information Mart for Intensive Care) 를 전처리 및 그래프로 표현하고, GCT (Graph Convolutional Transformer) 모델을 학습시켰다. 학습 후, 어텐션 흐름 그래프를 시각화해서 모델의 예측에 대한 직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The Research about Expected Hospital Management in Gynecology area based on the Medical Information Record of a University Hospital (일개 대학병원 의무기록정보 통계를 활용한 산부인과 병원경영 예측에 관한연구)

  • Kim, Kwa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95-197
    • /
    • 2009
  • 본 연구는 산부인과 내원환자에 대한 미래경영 예측하고자 한 대학병원 의무기록정보통계를 활용하여 외래환자, 입원환자 및 분만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신환환자의 경우 평균 140.9명이었며, 각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 최초년도(2001)에 212.6명이던 것이 최종년도(2007)에는 80.9명으로 약 140여명의 환자가 감소하였다. 입원 실인원의 경우 평균 124.6명이었며, 각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 최초년도(2001)에 144.6명이던 것이 최종년도(2007)에는 104.8명으로 약 40여명의 환자가 감소하였다. 입원 환자 특성 및 분만관련 요인 등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입원환자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입원환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환, 연인원 분만수 등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2.8%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 병원은 마케팅보다 환자관리라는 서비스가 우선되어야 하지만 환자 유인 효과도 현재 무시할 수 없으며 이는 환자의 병에 대해 관심을 써주는 병원의 배려가 신뢰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ata Warehousing System of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박찬석;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4-318
    • /
    • 2002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운영중인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기준으로 업무별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여 종합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모형은 충남대학교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구축 보고서, Inmon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개발방법론에 기초를 두었다. 종합병원의 데이터하우스시스템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무 데이터마트, 병원의 원무팀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수입에 관련된 정보, 진료인원에 관한 정보, 심사/청구/삭감에 관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약국 데이터마트, 처방전달 데이터 마트와 연결되어 외래/입원의 처방에 관한 정보, 약에 대한 효능과 성분에 대한 정보, 투약과 검사에 대한 정보들로 구성된다. 셋째, 의무기록 데이터마트, 의무기록팀에서 관리하는 퇴원 정보, 암환자에 대한 정보, 외래/입원 환자 통계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어진다. 넷째, 처방전달 데이터마트, 주로 의사가 환자에게 행한 처치/처방/수술과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들을 기준으로 환자진료나 임상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섯째, 병원 행정 데이터마트, 인사정보, 급여정보, 회계정보, 예산정보, 물류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병원의 자원활용이나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경영지원 데이터마트, 병원경영에 필요한 수입정보, 원가분석 정보, 진료인원 정보들을 한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의사결정 형태도 의료진 중심의 병원에서 환자중심의 병원으로 구조를 바꾸었고 투명한 정보공유와 기초 데이터들의 정제는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각 전문 직종간의 단절된 정보 흐름을 유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지식의 교환을 촉진시켰다. 그리고 온라인거래처리시스템(OLTP)의 한계점인 하드웨어적인 문제와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였고, OLTP시스템에서 분리되고 이원화된 코드체계와 데이터 형태의 이질화를 통일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결국 병원에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의 구축은 임상, 연구, 교육의 유기적 순환관계를 정립하여 지식의 순환적 고리인 수집, 공유, 확산, 재창출을 지속적 유지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준다. 반면 상이한 정보들간의 충돌과 이에 따른 해석의 오류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기초정보의 접근 및 추출의 유용성에 의해서 정보유출에 대한 문제가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Data Warehousing System of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박찬석;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4-318
    • /
    • 2002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운영중인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기준으로 업무별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여 종합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모형은 충남대학교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구축 보고서, Inmon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개발방법론에 기초를 두었다. 종합병원의 데이터하우스시스템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무 데이터마트, 병원의 원무팀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수입에 관련된 정보, 진료인원에 관한 정보, 심사/청구/삭감에 관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약국 데이터마트, 처방전달 데이터 마트와 연결되어 외래/입원의 처방에 관한 정보, 약에 대한 효능과 성분에 대한 정보, 투약과 검사에 대한 정보들로 구성된다. 셋째, 의무기록 데이터마트, 의무기록팀에서 관리하는 퇴원요약 정보, 암환자에 대한 정보, 외래/입원 환자 통계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어진다. 넷째, 처방전달 데이터마트, 주로 의사가 환자에게 행한 처치/처방/수술과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들을 기준으로 환자진료나 임상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섯째, 병원 행정 데이터마트, 인사정보, 급여정보, 회계정보, 예산정보, 물류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병원의 자원활용이나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경영지원 데이터마트, 병원경영에 필요한 수입정보, 원가분석 정보, 진료인원 정보들을 요약한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의사결정 형태도 의료진 중심의 병원에서 환자중심의 병원으로 구조를 바꾸었고 투명한 정보공유와 기초 데이터들의 정제는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각 전문 직종간의 단절된 정보 흐름을 유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지식의 교환을 촉진시켰다 그리고 온라인거래처리시스템(OLTP)의 한계점인 하드웨어적인 문제와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였고, OLTP시스템에서 분리되고 이원화된 코드체계와 데이터 형태의 이질화를 통일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결국 병원에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의 구축은 임상, 연구, 교육의 유기적 순환관계를 정립하여 지식의 순환적 고리인 수집, 공유, 확산, 재창출을 지속적 유지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준다. 반면 상이한 정보들간의 충돌과 이에 따른 해석의 오류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기초정보의 접근 및 추출의 유용성에 의해서 정보유출에 대한 문제가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ChatGPT-based Medical Text Augmentation Tool for Synthetic Text Generation (합성 텍스트 생성을 위한 ChatGPT 기반 의료 텍스트 증강 도구 개발)

  • Jin-Woo Kong;Gi-Youn Kim;Yu-Seop Kim;Byoung-Doo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4
    • /
    • 2023
  • 자연어처리는 수많은 정보가 수집된 전자의무기록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나 패턴 등을 추출해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환자에게 더 나은 진단이나 치료 등을 지원할 수 있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무기록은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접근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의료 합성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ChatGPT 기반 의료 텍스트 증강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실제 의료 텍스트로 의료 합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적합한 프롬프트와 의료 텍스트에 대한 전처리 방법을 탐색하였다. ChatGPT 기반 의료 텍스트 증강 도구는 입력 텍스트의 핵심 키워드를 잘 유지하였고, 사실에 기반한 의료 합성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Model for EMR 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Focus 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환자정보관리 중심-)

  • Choi, Joon-Young
    •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 /
    • v.9 no.1
    • /
    • pp.1-9
    • /
    • 2021
  • In this study, a model in which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added to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was studied and presen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R certification standards implemented by the Korea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 In the practice program, the certification standard function for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was added to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system to practice and understand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functional standard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The EMR certification standard practice program for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ertification standards. registration number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reatment reservation schedule management, personal information revision history management, identification of people with the same name,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registration numbers, patient search by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tient search by health care type, surgical procedure consent record and inquiry, record/inquiry of consent form for personal information use, display of life-sustaining medical decision information, registration/inquiry of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documents, registration and inquiry of external examination results. In this way, by operating and practicing the functions of the health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standard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certification standards and details of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functional area of the certif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tandard can be check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management ability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of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r in the medical institution.

A Study on Convergen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for Medical Record Specialist (의무기록사의 융복합적 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 Choi, Eun-Mi;Lee, Hyun-Ju;Kim, Oak-Nam;Choi, You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7
    • /
    • pp.229-238
    • /
    • 2015
  •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s a method of job standardization, and then to be applicated as a baseline data on overall university curriculum by using the NCS. Study period is from June 21, 2014 to November 30, 2014. To accomplish the aims, a pool of researchers and experts like as industrial site experts, education training experts, and job analysis specialists was formed. Job title to be conducted in medical record is defined as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NCS was developed through deducing 12 competency unit, 43 competency unit elementary and competency unit each career during lifelong. And finally the developed standards proposal was completed to be NCS after verification by on-the-spot special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