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 커뮤니케이션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대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신념이 금연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ate of Smoking, Smoking Beliefs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n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 권연숙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17-124
    • /
    • 2018
  •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influence of state of smoking, smoking beliefs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SCSE) in a nursing college students. Survey design was adopted for 137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yeongbuk.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April 30 to May 14, 2018.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belief and SCS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CSE were daily average amount of smoking, smoking motivation, and smoking beliefs. This model explained 58.2% of variance in SCS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to reduce negative decreasing smoking beliefs and improving smoking attitudes in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 Nurses)

  • 남혜리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67-17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Turnover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36 registered nurses was obtained from a university General hospital in a city.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December,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Results: The mean score for emotional labor was $3.65{\pm}0.32$, Job Satisfaction was $2.96{\pm}0.31$, and Turnover was $3.49{\pm}0.74$. In multivariate analysis, factors related to Turnover were emotional labor of nurse, Job Satisfaction. The explained variane for Turnover was 44.2%(F=114.35,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have an effect on turnover of Nurses.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to evaluate and improve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nurses to decrease Turnover.

치과의료서비스 품질이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Service Quality on Service Value,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sumer Royalty)

  • 전은숙;최유진;황수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6-253
    • /
    • 2013
  • 이 연구는 치과의료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부산 울산광역시 소재 17개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의료서비스 품질 중 의사언어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았으며, 교육수준에 따른 신체언어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신체외형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대학교 재학 및 졸업자가 높았다. 2.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는 남자, 대학교 재학 및 졸업, 기혼에서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치과의료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의료서비스 품질 중 의사언어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할수록 서비스 가치가 증가하였고,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신체외형의 인식도가 증가할수록 고객만족도는 증가하였으며,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신체외형, 신체언어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고객충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과의료서비스를 제공 시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욕구에 맞춰 상세히 설명을 해주어야 서비스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서비스에 만족을 느껴 타인에게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된다. 고객의 욕구에 맞는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깔끔한 유니폼, 바른 자세, 깔끔한 헤어 스타일 등의 신체적 외형과 고객의 눈을 바라보면서 밝은 표정을 짓고 대화 시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공감을 표현해주어야 본인이 이용한 치과병 의원을 지속적으로 재이용하게 되고 타인에게 자랑 및 소개를 시켜주어 치과병 의원의 경영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f Doctor on Pati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rust)

  • 이종학;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8-286
    • /
    • 2013
  • 본 연구는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촉진요인, 금지요인)이 환자 참여(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둘째,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환자참여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확인이며, 이를 위하여 국내 종합병원의 환자 301명을 대상으로 SPSS 19.0을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촉진요인은 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금지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의 조절효과는 촉진요인과 감정적 참여간, 촉진요인과 정보적 참여간에서 발견되었으며, 신뢰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촉진요인은 감정적 참여와 정보적 참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성공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합한 병원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Hospital Application Integrated with Healthcare Services)

  • 조민호;김성진;윤영현;백재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269-272
    • /
    • 2023
  • 본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합한 병원 애플리케이션(병원 앱)의 개발 및 활용에 초점을 맞춘다. 목표는 환자와 의료 제공자 간의 의사 소통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병원 앱의 주요 기능과 이점을 탐색하고, React Native를 사용하여 기술적 측면과 디자인 원칙을 제공하고, 적절한 사용 및 보안을 위한 지침을 검토한다. 이 연구는 병원 앱의 잠재력과 장점을 평가하고 의료 서비스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병원 앱의 통합으로 환자 치료,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고 의료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다. React Native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약속 일정, 예약 확인, 의료 정보 액세스, 의료 전문가 디렉토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여 포괄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지침과 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의료 데이터의 적절한 사용과 보호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공 지능 및 원격 의료와 같은 신기술을 병원 앱에 통합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지속적인 개발과 혁신은 디지털 시대에 의료 서비스를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PDF

의사소통기술을 활용한 해부설명회 적용 후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평가요인과 학업성취도 상관관계 분석 (Introduction of Explanation Meeting in Cadaveric Dissection Using Communication Skill :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 김광환;김지희;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97-9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해부학 실습 교육과정에 해부설명회를 도입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자기평가요인(만족도, 전공 연계성, 운영 적절성, 의사소통)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008-2009학년도 1학기 해부학 실습 교육을 받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n=102)이 일부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해부설명회에 참가하였고, 보건 의료 계통의 학부생들에게 사체를 활용하여 인체 구조에 대한 설명과 토론을 마친 후 설문지와 소감문을 작성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 평가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2008-2009 학년도 해부학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설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 평가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과거 경험 유무 등의 일반적 특성과 상관없이 만족도, 전공 연계성, 운영 적절성, 언어적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자기 평가 요인 중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었다(p<0.05). 또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다(r=0.580, p<0.01). 결론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활용한 해부설명회의 도입은 의전원 학생들에게 심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갖게 하였다. 아울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타 전공자와의 상호교류를 통한 학문적 이해의 폭이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해부학 실습의 개선 방안으로서 해부설명회의 활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산부인과 의료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구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DA Study on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nd Lifestyle of Obstetrics - Gynecology Health Care Consumers)

  • 정현자;정면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5-21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how word of mouth communications work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health care consumer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 to propose managerial suggestions in health care marketing. Metho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had been executed from March 10, 2003 to April 4, 2003. Out of total 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85 were collected. 351 were considered to be vali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pc+ Version 10.0. using Frequencie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OVA and $x^2-test$.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n terms of their lifestyles: 'health active group', 'health conscious group', 'health indifferent group', 'health inactive group'. The following are the features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lifestyle. Conclusion: All in all, the researcher carne to notice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eatures of word of mouth communi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ifestyle of health care consumer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ramification of markets, serving as a help in marketing health services.

  • PDF

외래병동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전문직관, 업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ommunicatioi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Outpatient Nurses and Ward Nurses)

  • 김금옥;고미숙;최은희;김혜정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75-18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outpatient nurses and ward nurse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0 outpatient nurses and 98 ward nurses at the two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nursing professionalism,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commitment to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social community at work and job satisfaction, outpatient nurses showed higher level than ward nurses except commitment to the workplace. The work environment variables and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mostly correlated.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ntitative demands, emotional demands and role conflicts in both groups nur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nursing work environmen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of both group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efforts in improving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o develop diverse strategie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치매노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정신건강이 돌봄이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on Care Performance of Certified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 유승연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41-148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mental health care, care performance of certified caregivers for elder with dementia, and the factors that affect care performance. Methods: In order to collect dat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197 caregivers who worked at 3 dementia specialized facilities located in D city.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0.0. Results: Care performance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labor(r=-.320, p<.000) and mental health(r=-.240, p<=001). Emotional labo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r=.208, p=.003) And the prediction factors influencing care performance were health status(${\beta}=.363$, p<.001), emotional labor(${\beta}=-.242$, p<.001), mental health(${\beta}=-.223$, p=.001). The total variance was 38.9% by predictors(F=25.978,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care performance mental health program should be provided and good health management is needed to improve health status. And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new strategies to reduce emotional labor of the dementia facility careg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