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실 이용환자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초

실시간 데이터를 통한 응급실 안내 APP 개발 (Development of Emergency Center Guidance APP through Real-Time Data)

  • 이인희;박철희;서현;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81-28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아 응급 진료가 가능한 응급실을 안내함과 동시에 실시간 응급실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여 응급실 진료 효율을 증진시키는 APP을 제안한다. 이 제안은 서울시의 응급실 이용 통계 중 야간 시간대와 소아 응급 진료율이 높다는 것에서 착안, 이를 효율적으로 안내 및 순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연령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반 응급실 환자와 소아 응급실 환자를 분류하며,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까운 응급실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병원별 응급실의 실시간 혼잡도 현황을 제공한다.

  • PDF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 이산나;김선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22-235
    • /
    • 2022
  • 본 연구는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중소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으로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특성, 근무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변수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차이는 평균비교분석,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은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단변수분석 결과 연령, 응급실 경력, 직위, 근무형태, 타 부서 이동의향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8), 감정노동은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하지만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9). 회귀분석결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스트레스, 응급실 근무 선택 여부였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7%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응급실 근무가 타의 선택일 경우 환자안전관리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개인의 요구에 따른 부서 배치가 필요하다.

급성 충수 돌기염 환자의 대기시간 분석 (Analysis of The Delayed Time in Patients with Acute Appendicitis)

  • 박승익;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89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급성 복증을 주소로 야간 응급실 내원 시 영상의학과 전문의 부재 등과 관련된, 급성 충수 돌기염 진단을 위한 복부 초음파 검사의 환자 대기 시간과 충수 돌기 절제술 시행까지 환자 대기 시간을 분석한다. 응급실 내원 환자 41.5%에서 초음파 검사 대기 시간은 10시간 이상으로 나타났고, 외래 내원 환자의 45.2%는 수술 대기 시간이 18시간 이상으로 나왔다. 이는 초음파 검사의 대기 시간이 수술 대기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카이제곱검증에서 유의하게 나왔다(p<0.0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들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응급실 의료진의 초음파 검사 시행에 따른 유익성과 급성 충수 돌기염의 특징을 이용한 의료 영상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PDF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s Use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 강경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80-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2013)의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이용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예측 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19 구급차, 민간 구급차 등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한 경우가 자가용, 택시, 도보 등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둘째,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 중 연령, 교육 수준, 세대 구성, 주거 형태, 월 평균 가구 소득, 가구주와의 관계 등에서, 응급 상황 특성 변수 중 의료 보장 형태, 장애 유무, 만성질환 유무, 응급실 방문 이유, 응급실 이용 후 조치 등에서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 중에서는 연령과 월 평균 가구 소득, 응급 상황 특성 변수 중에서는 장애 유무, 응급실 방문 이유, 응급실 이용 후 조치 등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전 응급환자 이송 단계에서 응급 처치의 적절성 제고와 함께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를 감안한 효과적 대응이 필요하다.

응급실 방문 환자의 입원의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ppropriateness of Admissions in the Emergency Room of a Tertiary Hospital)

  • 조홍준;이상일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8-67
    • /
    • 1995
  • 이 연구는 3차 진료기관 응급실의 기능을 정상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한 3차 진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결정서 발부와 환자의 입원 결정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적절성 평가 지침을 이용하여 응급실을 통한 입원의 적절성을 평가하였고 입원의 적절성과 응급실 입원 대기시간의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입원 결정서 발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내 외과계 구분, 진료과수, 환자 상태, 방문 경로, 방문 시간과 방문 요일이었다. 입원 결정서 발부 후 환자의 입원 여부는 환자의 성, 환자 상태, 방문 경로, 방문 요일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환자의 연령, 내 외과계 구분과 방문 요일에 따라 입원의 적절성에 차이를 보였다. 입원 대기시간은 환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적절성이 낮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응급실을 통한 입원 중 반수 이상의 입원이 부적절한 입원으로 평가되었고, 이 중 일부는 입원을 빨리 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응급실을 편법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입원 결정서가 발부된 환자 중 상당수의 환자가 병상을 구할 수 없어 입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3차 진료기관의 환자 집중 현상과 응급실 과밀화 요인 해소를 위한 의료정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의 활동제한 관련요인 연구 (Factors Related to the Activity Limitations of Patients with Injury Visits to the Emergency Department)

  • 김예림;김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77-385
    • /
    • 2019
  • 본 연구는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의 활동제한 관련요인을 총괄적으로 조사 파악하여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의 활동제한에 관련이 있는 요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의 2차 년도(2014) 및 3차 년도(2015)부터 제 7기의 1차 년도(2016) 및 2차 년도(2017)까지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체대상자 중 손상으로 인해 응급실에 방문한 적이 있는 환자 42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SPSS/WIN 23.0 Progra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세 미만일수록, 의료급여수급자일수록, 주관적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활동제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의 활동제한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 및 정책 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질환을 동반한 노인 응급환자 추이: 2014-2019 (Trend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2014-2019)

  • 이명화;김지연;허영진;오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3-190
    • /
    • 2021
  • 본 논문은 만성질환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노인 환자의 응급의료 이용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 자료에서 응급실 퇴실 주 진단 상병코드가 8개 만성질환에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하여 응급실 이용 현황 및 응급실 내원과 입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2014년을 기준으로 만성질환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환자는 지속 증가하였고, 특히 85세 이상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만성질환별 응급실 내원 비율 변화추이에서는 대부분 질환에서 증가세를 보였고(P<0.001), 그 중 허혈성심장질환, 관절병증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고지혈증은 전 연령에서 감소세를 보였다(P<0.001). 응급실 입원율 변화 추이에서는 고지혈증, 고혈압, 결핵을 제외한 만성질환에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P<0.001).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환자의 응급실 내원 및 입원율의 지속적인 증가는 응급의료자원의 점유 및 의료 소비량 증가 문제를 가속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하다.

진료지속성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 성향점수매칭 방법 적용 (Effects of the Continuity of Care on Hospital Utilization : Convergence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 안이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23-332
    • /
    • 2015
  •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일차의료 지속성 수준을 파악하고, 일차 의료 지속성 수준이 환자의 입원 및 응급실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융복합적 결과연구(outcome research)이다. 후향적 코호트(retrospective cohort study)연구로써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사용하여 고혈압을 주상병으로 진단받은 315,791명을 3년 동안 추척 관찰하였다. 지속성지표는 MFPC, MMCI, COC를 적용하였고 결과변수는 입원 및 응급실 방문을 고려하였다. 일차의료의 지속성 수준과 입원 및 응급실이용의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지속성 낮은 군이 지속성 높은 군 보다 입원 할 위험도가 1.655배(95% CI: 1.547-1.771), 응급실이용은 1.669배(95% CI: 1.465-1.903) 높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진료지속성을 높이는 정책은 급증하는 만성질환 의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응급실 경유 정신 및 행동장애 입원환자들의 총진료비 비교 : 주상병과 부상병 환자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otal Payment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tients Admitted through the Emergency Room: Focusing on Main & Sub Sick)

  • 최현식;이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62-56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을 경유한 정신 및 행동장애 중 기분[정동]장애만을 주상병으로 하는 입원환자와 정신 및 행동장애를 부상병으로 동반한 기분[정동]장애 입원환자의 총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9년 표본자료에서 응급실 경유 입원환자가 '정신 및 행동장애'(F00-F99)중에서 주상병 코드가 기분[정동] 장애(F30-F39)인 환자와 부상병 코드가 '정신 및 행동장애'(F00-F99)를 가진 환자를 추출하여 753명을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Statistical Package for the Scienc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주상병의 경우, 총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연령을 제외한 모든 성별(p<.01), 응급실 도착경로(p<.001), 진료 결과(p<.001), 입원일수(p<.001)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상병의 경우, 총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살펴보면, 모든 변수 즉 성별(p<.01), 연령(p<.001), 응급실 도착경로(p<.001), 진료 결과(p<.001), 입원일수(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정부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해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 정신건강 중재 프로그램 개발, 정신건강관련 진료지침, 맞춤형 치료 및 상담서비스 등 사전 사후 체계적인 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암 환자 실태 (A Survey of Cancer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 양선애;조옥희;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228-23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을 내원하는 암 환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C 대학교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종양내과 암 환자 564명의 응급실 의료정보지를 분석하였다. 실태 조사서는 암 병동 근무경력 6년 이상의 간호사 4인과 종양내과 교수 1인 및 간호대학 교수 1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ver 9.1)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위장관계 암이 28.9%로 가장 많았고, 병기는 4기가 66.9%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내원 전에 최근 받은 치료는 항암화학요법이 51.6%이었고, 항암화학요법 치료 횟수는 1~5회가 82.5%로 가장 많았으며, 최근 치료받은 장소는 입원 병동이 52.4%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응급실 내원관련 특성은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내원까지 2주 이하인 경우가 62.9%로 가장 많았고, 증상 발현에서 내원까지의 기간이 1일 이내가 34.9%, 응급실 내원 후 입원까지 1일이내가 71.8%로 가장 많았다. 내원요일은 평일이 73.2%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내원 후 입원한 경우가 77.2%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을 내원 시 주요증상은 통증이 34.3%로 가장 많았고, 위 장관계 증상이 30.0%, 호흡기계 증상이 21.5%, 고열이 16.3% 순이었다. 응급실에 내원한 주요증상은 위장관계 암과 췌장 간 담도암은 통증, 림프종은 고열, 폐암은 호흡기계 증상, 두경부암이나 육종, 유방암을 포함한 기타 암은 위장관계 증상이 가장 많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암 환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는 주요증상은 질환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3기 이상의 진행암 환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지 않고 총체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암 환자들이 병원과 가정에서 적극적으로 통증 관리를 연계해서 받을 수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위장관계 암과 폐암 환자들이 퇴원 후 응급증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자료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