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실간호사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1초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 경험 (The Work Experiences of Emergency Room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현용환;채영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3호
    • /
    • pp.221-23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mergency room nurse's work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between October, 10th and December 15th, 2020,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 depth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study derived four categories and eight themes. The four categories are 'sense of cringing with fear', 'nursing in chaotic situation', 'lonely struggles', and 'career growth as a nurse'. Emergency room nurses experienced fear and confusion in the COVID-19 pandemic, but overcame the crisis and had positive experiences of professional growth as a nurse. Conclusion: To protect emergency room nurses from infectious disease and improve their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ppropriate education and healthcare resource should be provid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clinical worker's opinions and improve the delivery system of guideline to reduce confusion in the field and develop practical infectious disease control guideline. Furthermore, better working conditions, appropriate rewards and social and ment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nurses in emergency room.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Related to Emergency Department Healthcare Providers'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 남금희;이주희;조은희;김창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1호
    • /
    • pp.11-25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거나 혹은 임종에 임박한 환자, 생애말기 환자를 돌보는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인식과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과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종환자 돌봄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06월 01일부터 2014년 06월 30일까지 4주에 걸쳐 수도권 소재의 3개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 104명, 응급실 의사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 이루어졌다. 결과: 성별,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에 의해 응급실 의료진의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28.1% 설명할 수 있으며, 죽음인식,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 임종환자 돌봄 교육 유무, 직종에 의해 응급실 의료진의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34.1% 설명할 수 있다. 응급실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으로는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환자 돌봄은 응급실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임종환자, 가족 및 동료 의료진과 관계와 관련이 있다. 결론: 응급실 의료진의 보다 나은 임종환자 돌봄 태도를 위해서 긍정적인 죽음인식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에 따른 행정적, 실무적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사의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경력개발제도 인식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Clinical Ladder System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powerment based on Nurses' Clinical Career Stage)

  • 민아리;김인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4-264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 경력개발제도의 개선의 근거 마련하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파워먼트의 증대 방안 모색을 통한 인적자원관리에 기여하고자 시도 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방법: 서울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 전문직 자아개념, 임파워먼트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은 전임 2 간호사가 신입 간호사, 일반 간호사, 전임 1 간호사보다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파워먼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전반적 이해,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기대효과, 최종학력, 임상경력단계가 전문직 자아개념의 4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전반적 이해, 전문적 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기대효과, 임상경력단계가 임파워먼트를 42% 설명하였다. 결론: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 나타난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 적용을 통한 효과 검증이 요구되며, 간호 관리자들의 제도 운영과 관련된 장애요인의 파악 및 세심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안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64-2172
    • /
    • 200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와 병동 근무 간호사의 피로수준을 비교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8월에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39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피로점수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가 병동 근무 간호사보다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의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 연령,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 설명변수로 선정되었으며, 병동 근무자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 상태, 평소 수면 시간, 교대 근무,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는 병동근무간호사에 비해 피로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수부서 근무간호사와 병동 근무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ing)

  • 문선희;박연환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52
    • /
    • 2017
  • Purpose : This concept analysis identified attributes and defined triage competency among emergency nurses. Method : Walker and Avant's approach was used to guide the concept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d including 26 studies, 5 reports of related associations, and 5 books. Results : The concept of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es was identified as five attributes: clinical judgment, expert assessment, management of medical resources, timely decision, and communication. Antecedents of the concept were triage education and emergency room experience. The consequences of the concept were efficiency of care, patient rating, and safety.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es was defined as the comprehensive ability to prioritize patients' urgency and allocate limited medical resources.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clarified triage competency among emergency nurses. The attributes and empirical indicators of this study will likely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triage competency metrics.

  • PDF

응급실 간호사의 문화역량과 문화간 의사소통역량이 외국인 환자 임상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of Emergency Unit Nurses Caring for Foreign Patients)

  • 류윤지;이윤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9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e of emergency unit nurses caring for foreign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correlation design. Participants were 112 emergency unit nurses working in different hospitals designated as the government's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agencies in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Subjects' clinical competenc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ultural competency (r=.45, p<.001)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53, p<.001). Factors that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e of subjects show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β=0.38, p=.001).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tors that influence clinical competence of emergency unit nurses, and apply them to practical fields.

병원 종사자의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n the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of Hospital Workers)

  • 최주희;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5-91
    • /
    • 2018
  • 여성이 대다수인 간호전문직에 남자간호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들은 성 고정관념에 따른 사회적 장벽에 부딪히며, 부서배치 등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양성성 집단은 성 고정관념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병원종사자들은 남자 간호사들이 일반인들에게 낯설고 생소하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같은 병원의 특수 부서에서 주로 일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양성 평등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성 고정관념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간호조직 내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업무에 따른 산업 피로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ustrial Fatigue Analysis According to Work Method of Nurse)

  • 김순진;양현후;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 /
    • pp.61-64
    • /
    • 2006
  • 현대 산업사회에서 작업자들의 안전사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가 피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들의 산업피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모든 작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병원의 간호사를 작업 영역별로 소아과, 소화계내과, 일반외과,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로 분류하여 작업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작업 피로 원인을 조사하여, 작업영역 업무별, 직책별, 신체부위별로 피로 영향도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영향요인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 최미영;김지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76-184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 인천, 충북 소재 7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의 일반소아과 병동, 소아암 병동, 신생아중환자실, 소아중환자실 및 소아응급실에 근무하는 아동간호사 158명이다. 자료는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정도는 결혼상태, 최종학력, 직급, 근무부서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기 효능감, 임상의사결정능력, 임파워먼트와 일반적 특성중 학력이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44.0% 설명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아동간호실무 영역 중 최적의 입원 환아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사안이지만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파트너십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 예방행위 수행정도와 영향요인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in Emergency Nurse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안진선;김연하;김민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0-4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in emergency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emergency nurses working in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4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5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B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acute{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1.0 program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by socio-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vels of perception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beta}$=.40, p<.001) and protective environment on exposure to infection (${\beta}$=.22, p<.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explaining 26.3% of the variance. Conclusion: In conclusion, improving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is important to protect emergency nurses from exposure to infection. Thus, efforts to enhance protective environment on exposure to infection and to improve perceptions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in emergency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