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주 행동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6초

복합유기용제에 폭로된 근로자들에 대한 신경행동학적 기능의 평가 (Neurobehavioral Performance Test of Workers Exposed to Mixed Organic Solvents)

  • 김창윤;사공준;정종학;주리;전만중;성낙정;김상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314-328
    • /
    • 1997
  • 복합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유기용제의 폭로가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구지역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및 신나에 만성적으로 폭로되는 유기용제 폭로군 48명과 폭로군과 같은 사업장에 근무하면서 유기용제에 폭로되지 않은 대조군 50명을 대상으로 1996년 8월에서 10월까지 연령, 교육수준, 음주, 흡연량 및 직업관련 변수들을 조사하고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의 검사항목 중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 숫자부호 짝짓기, 숫자 외우기, 목적점찍기를 시행하였다.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는 폭로군이 7.9개, 대조군이 8.2개로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숫자부호 짝짓기의 경우 폭로군이 55.6개, 대조군이 62.1개로서 폭로군이 유의하게 적었다(p<0.01). 숫자 외우기의 총 점수와 거꾸로 따라외우기의 점수가 폭로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p<0.01) 목적점찍기의 바르게 찍은 점의 개수가 폭로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5). 연령의 변화에 따른 신경행동기능의 일관성있는 변화는 없었으나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의 경우 젊은 연령군이 고연령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5).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폭로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검사성적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숫자부호짝짓기에서 섭취하는 알콜의 량이 많을수록 폭로군의 부호숫자짝짓기 검사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목적점찍기의 경우 폭로군에서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신경행동학적 검사성적을 종속변수로 하고 유기용제의 폭로유모, 나이, 학력수준, 알콜 및 흡연량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숫자부호짝짓기는 학력이 높을수록 성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숫자외우기에서는 유기용제의 폭로가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다(p<0.01). 목적점찍기의 총점수는 흡연량과 교육수준이(p<0.01), 바르게 찍은 개수는 흡연량과 유기용제의 폭로가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다(p<0.05). 유기용제의 폭로에 의해 지각반응(perception-response)과 단기기억능력(short-term memory)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허용 농도이하에서도 장기적으로 폭로되는 경우 폭로자의 신경행동기능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TB에 의한 신경행동기능의 평가는 신경독성물질의 폭로이외에도 연령과 교육수준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지속적 운동능력의 경우 흡연에도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건강한 성인에서 가속도계로 측정한 신체활동과 맥파전달속도 및 상완-발목 간 혈압비에 기반한 동맥경화지표와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measured using an accelerometer and arterial stiffness based on pulse wave velocity and ankle-brachial index in healthy adults)

  • 이현주;박계월;전하연;곽지연;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4호
    • /
    • pp.506-52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3축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일주일간의 평소 신체활동량을 평가하고 동맥경화지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속도계를 이용한 신체활동 측정 결과, WHO 신체활동지침 준수율은 29.9%, 좌식 행동에 소비한 시간은 531.1 min/day, 저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은 281.4 min/day, 중·고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은 36.2 min/day 이였다. 활동 수준이 다른 두 군의 신체활동을 비교한 결과, CPM, 중·고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 중·고강도 활동을 10분 이상 지속한 횟수 및 시간은 활동군이 비활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좌식 행동에 소비한 시간은 활동군이 비활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반면 좌식 행동 패턴 및 baPWV와 ABI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여자에서는 좌식 행동을 60분 이상 지속하는 횟수와 baPWV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좌식 행동을 50분 이상 지속하는 횟수와 ABI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저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과 ABI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좌식 행동을 50분 이상 지속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동맥경화 및 말초 동맥질환의 위험이 높고 저강도 활동에 소비한 시간이 많을수록 말초동맥질환의 위험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동맥경화 예방을 위한 지침 마련을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함께 식품 및 영양섭취 현황, 식사 패턴, 음주 행태 등 동맥경화와 관련된 요인들이 포함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식품섭취 및 식행동에 대한 웹기반 영양상담의 효과 (Effects of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of Type II Diabetic Patients)

  • 박선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30-439
    • /
    • 2006
  • 본 연구는 웹기반 영양상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6회의 영양상담을 실시한 후 웹기반 영양상담이 당뇨병 환자의 식행동 및 식품섭취양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영양상담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웹 기반 영양상담 프로그램은 식사관리, 영 양상담, 영양평가, 추후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추후관리 프로그램은 혈당수첩, 식습관 조사, 식품섭취빈도 조사, 온라인 상담파일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상담파일에 대화방을 두어 환자와 실시간으로 상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기반 영양상담후 운동습관은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음주와 흡연은 상담 전 이미 그 빈도가 매우 낮음에 기인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사요법에 대한 지식의 변화는 모든 항목에서 식사요법 지식이 향상되었으며 전체적으로도 비합병증군과 합병증군 두군 모두에서 유의 (p<0.001)하게 높아졌다. 식 행동 변화는 영앙상담 후 두군 모두에서 유의(p<0.001)하게 개선됨으로서, 8주 동안의 지속적인 영양상담이 환자 스스로 올바른 식행동 형성의 의지를 갖게 함으로서 당뇨병 관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식품섭취빈도의 변화는 두군 모두에서 어패류, 채소류, 해조류의 섭취 빈도가 영양상담후에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당류, 가공식품, 감자류, 빵류의 섭취빈도가 낮아져 환자들의 식품섭취패턴이 바람직하게 개선되었다. 웹기반 프로그램 및 영양상담에 대한 평가점수는 연령이 낮을 수록 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컴류터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 보호자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는 60대 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웹상에서의 영양상담을 통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추후 관리를 하는 것이 당뇨병 환자의 바람직한 식품섭취양상 및 식행동 변화를 정착시켜 질병을 관리하는데 기여 할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웹을 이용한 프로그램 및 상담에 대한 평가결과도 연령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긍정적으로 나타남으로서 정보화시대에 맞는 새로운 영양상담 매체로서의 인터넷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사회 문화적 변수들과 흡연, 음주, 대마초 사용 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and Cultural Variables and Smoking, Alcohol, Marijuana Use Behavior)

  • 김영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3-85
    • /
    • 1993
  •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elements and smoking, alcohol, and marijuana use behaviors in order to plan public health policy or health promotion program of Mexican Americans. Demographic, socioeconomic status, and acculturation are variables which reflect mechanisms socialization influences these behavior patterns among this popula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addictive behavio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on addictive behaviors related to variables of acculturation, age, gender, education, and income. And the interrelations among addictive behaviors are also examined. The analyses used data for Mexican Americans from the U.S. Hispanic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from July 1982 through December 1984 by the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ANOVA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among addictive behaviors in their prevalence. Both males' and females' alcohol and marijuana use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cculturation. Females' smok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to acculturation while males' smoking is negatively related to it. Income and education are negatively related to males' smoking and positively related to males' alcohol behavior. However, males' marijuana behavior is not related to income. Females' smoking behavior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income and education. Education and income are positively related to marijuana behavior among females. Age is related to all three addictive behaviors among both gender. Age is negatively related to both males' and females' marijuana use behavior. Inte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marijuana use behavior is not significant among males. However, interrelations between alcohol and marijuana use behavior and between alcohol and smoking are significant among both genders. Females' smoking and marijuana use behavior is also significantly related.

  • PDF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Workplace Alcohol-related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 전현진;정슬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43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orkplace drinking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and thereby attempt to lay a ground for future prevention of drinking problems triggered by workplace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variables related to drinking behavior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female employees were explored. And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rinking behavior. Methods: The sample included 400 female and male employees in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workplace variables related to female drinking,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ariables and drinking behaviors (alcohol consumption, risky drinking, and binge drinking frequencie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function of drinking and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and the pressure to drink were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Second, 47.2% of female employees were current drinkers and 20.4% were risky drinkers. Third, drinking norms and attitude at workplace, influence of peer group, and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were found to be predictive factors of harmful drinking. Fourth,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norms and attitude at the workplace were found to influence drinking binge frequencies.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workplace environmental factors in female employee's drinking behavior, and addresses the need for interventions geared toward changing the workplace environment regarding alcohol use.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거주하는 동양인 이민자들의 흡연 및 음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es on Smoking and Binge Drinking among Asian Immigrants in California)

  • 김영복;김영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104
    • /
    • 2009
  • Objectives: Although Asian immigrants have lower rates of smoking and binge drinking than other ethnics in the US, Korean Americans have the highest rate of Asian immigrants. This study, therefore, compared with the rates and examined the predictors of smoking and binge drinking by gender and ethnicity among Asian immigrants in California. Methods: In 2001 and 2003, California Health Interview Survey (CHIS) were conducted in English and their original languages with Asian immigrants residing in 58 Counties and 3 Cities, California. We performed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smoking and binge drinking rates using the secondary data, CHIS 2001 and 2003.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survey data identified predictors of smoking and binge drinking behaviors by gender and ethnicity. Results: Korean American males (35.4%) and Japanese American females (15.4%) had higher rates of smoking prevalence compared with other Asian immigrants in California. In binge drinking, 26.5% of male and 8.1% of female among Korean Americans were binge drinker, and the rates were the top with Asian Americans who had lived in California. It showed the remarkable gap between gender of smoking and binge drinking among Vietnamese immigrants, whereas not the striking difference among Japanese Americans.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marital status, English proficiency,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remained significant for smoking and binge drinking behaviors(P<0.05). Even though the time in the US was not significant, it seemed to be related to educational level and English proficiency. In particular among female, smoking and binge drinking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acculturation. Conclusion: Although Asian Americans had shared with American culture since they had immigrated in the US, the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revalence rates of smoking and binge drinking based on gender and ethnicity. Therefore, future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understanding differences by ethnicity and target at high-risk subgroups. To achieve this, it needs to develop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Korean and their original languages.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음주 후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 Psychosocial Stress and Problem Behavior after Consuming Alcohol among College Students)

  • 윤미은;오현경;김형태;진경;현보람;천성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 psychosocial stress and drinking behavior after consuming alcohol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by questionnaire 440 students who consumed alcohol regularly from 36 colleges around the country in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21. Result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and psychosocial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with each path coefficient -0.178(CR= -3.408, p<0.001) and -0.294(CR= -6.195, p<0.001). Also, the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with path coefficient -0.141(CR= -2.858, p<0.05).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p<0.001)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through psychosocial stress, serving as a mediator variable,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through psychosocial stress. Conclusions: Problem behavior after consuming alcohol held strong relevance in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stress.

점화효과를 적용한 여성 소비자의 주류 광고 수용 분석 (Reception Analysis of Liquor Advertisement for Female Consumer Based on Priming Effect)

  • 이윤정;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0-40
    • /
    • 2007
  •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가 소비에 있어 제품을 선택하고, 구입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여러 제품 중 아직까지는 여성보다 남성의 소비가 많은 주류를 차지하지만 소주의 "웰빙과 저도화"에 따라 점차 여성의 음주 인구 편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남성 위주로 제작된 주류 광고가 어떻게 여성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구매까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지 점화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검증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피실험자들은 실험 영상과 간섭 영상이 의미적으로 연관이 있을 경우 부분적으로 점화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짧은 시간동안 스쳐 지나가는 광고의 한 장면일지라도 그것이 의미적으로 비슷한 환경이나 여건이 되어 노출될 경우 점화효과가 일어나 광고 중에 나타난 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주류 외에 자동차와 같은 남성 중심적 제품의 광고가 여성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광고가 점화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적 요소가 맞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화효과를 광고 제작과 편성에 이용한다면 보다 쉽게 여성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로지스틱회귀분석 모델을 활용한 도시철도 사상사고 사고예측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Study on Accident Prediction Models in Urban Railway Casualty Acciden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del)

  • 진수봉;이종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82-490
    • /
    • 2017
  • 본 연구는 사고심각도 분류 및 예측을 위한 철도사고조사 통계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의 선형 회귀분석은 사고 심각도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로지스틱회귀분석은 이를 보완할 수 있었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활용, 서울지하철(5~8호선) 역사 내 전도사고 중 에스컬레이터 전도사고 발생에 영향을 주는 사고예측 모형 변수는 사고자 연령, 음주여부, 사고 당시상황 및 행동, 핸드레일 잡음 여부였다. 분석의 정확도는 76.7%로 설명되었고 분석방법 결과에 따르면 정확도와 유의수준 측에서 로지스틱회귀분석 방법이 도시철도 사상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판단된다.

안전한 대학생활을 위한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주행동연구 (Drinking behavior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or the safe campus life)

  • 김효실;이영아;김수진;채수경;임진형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4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or the safe campus lif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49 students in 4 universities in Jeju.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questionnaire instruments consisted of Alcohol Use Disorders of Identification Test-Korea (AUDIT-K) an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dapted by Chon. Results: The alcohol consumption rate of participants accounted for 96.2%. The binge drinking rate in female students were 33.9% and that in male students was 29.5%. The result by scoring AUDIT showed that 30.7% of participants were normal drinking group, 36.0% were hazardous drinking group, and 33.3% were estimated alcohol abuse group. The average score of stress was 1.45 by Likert 4 point scale. The female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stresses than male.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n drinking behavior were the first alcohol drinking(${\beta}=-.250$, p< .001), gender(${\beta}=.202$, p< .001), and relationship problem(${\beta}=.116$, p < .05). Conclusion: The drinking rate of university students revealed higher than that in other age groups. So the early systematic educ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event the physical and mental sid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