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 Psychosocial Stress and Problem Behavior after Consuming Alcohol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음주 후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 Yun, Mi-E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
  • Kim, Hyung-Ta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
  • Jin, Kyou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
  • Hyun, Bo-Ram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 Welfare, Sahmyook University) ;
  • Chun, Sung-Soo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Sahmyook University)
  • 윤미은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오현경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김형태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진경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현보람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 천성수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Received : 2016.09.17
  • Accepted : 2016.12.0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 psychosocial stress and drinking behavior after consuming alcohol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by questionnaire 440 students who consumed alcohol regularly from 36 colleges around the country in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21. Result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and psychosocial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with each path coefficient -0.178(CR= -3.408, p<0.001) and -0.294(CR= -6.195, p<0.001). Also, the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with path coefficient -0.141(CR= -2.858, p<0.05).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p<0.001)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through psychosocial stress, serving as a mediator variable,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through psychosocial stress. Conclusions: Problem behavior after consuming alcohol held strong relevance in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stress.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 알코올성 정신장애 남성 60대 여성 40대 진료 환자 많아. 2015.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3072.
  2. 국민건강통계. 2013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보건복지부 2013.
  3. 김광기, 제갈정, 박민수, 이재국. 대학생 음주문제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능성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1;28(5)131-143.
  4. 김승수, 정슬기. 대학생 음주실태와 문제음주 변화 추이, 2006년과 2008년 비교. 한국알코올학회지 2009;10(2):75-88.
  5. 김연숙. 일 도시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신 건강과의 관계 : 고등학교 남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1.
  6. 김의숙.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음주행위 및 음주관련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2.
  7. 문인수.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이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8.
  8. 문정희. 노인의 문제음주에 관한 생태학적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9. 박경민, 이민규.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음주동기가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05;10(3):277-293.
  10. 박여진. 중년 여성의 사회적지지, 우울과 문제음주 간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3.
  11. 박정임, 최윤정. 문제음주자의 지역사회 알코올 서비스 이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007;23:1-33.
  12. 박종순. 대학생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학회협회지 2000;26(4):393-413.
  13. 박현주. 알코올중독 심각도에 따른 우울, 불안 및 사회적 지지.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6.
  14. 변석수, 류진아.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음주행위에 대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도농복합지역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013;16(4):301-317.
  15. 서경현, 김성민.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음주의 관계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역할.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09;10(2):21-34.
  16. 손애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 간의 관련성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10;27:61-79.
  17. 신원우. 심리적 취약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음주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10;21(3):81-105.
  18. 신원우, 유채영. 음주동기 유형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일반 성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007;35:363-387.
  19. 윤명숙, 조혜정. 지역사회 노인의 음주행위,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7;26:254-287.
  20. 이한숙. 문제음주 대학생의 음주경험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2004.
  21. 장세진. 스트레스 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방안. 대한예방의학회편. 계축문화사 1993;121-159.
  22. 장세진.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현황 및 실태. 보건연구정보센터, 2001;9-36.
  23.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2차년도.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4
  24. 정영호. 질병의사회경제적비용과 건강친화적 재정정책. 보건복지포럼 2009;156:50-61.
  25. 통계청. 2013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대전:통계청. 2014. Available from: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18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6. 천성수, 손애리, 송창호, 이주열, 김선경. 대학생 폭음에 의한 폐해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 전국 60개 대학교 조사결과.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03;4(2):119-135.
  27. 천성수, 이주열, 이용표, 박종순. 대학사회의 절주홍보.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알코올학회 2001;2(1):67-113.
  28. 천성수, 손애리, 조정애, 이상숙. 조해리의 마음의 창과 대학생 음주문제의 관련성.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07;8(1): 39-48.
  29. 천성수. 한국인에서의 음주의 사회적 의미. 당뇨병학회지 2012;13(2): 57-60.
  30. 호산나.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4.
  31. Baker DB. The study of stress at work.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985;6:367-381. https://doi.org/10.1146/annurev.pu.06.050185.002055
  32. Compas BE, Connor-Smith JK, Saltzman H, Thomsen AH, Wadsworth ME.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roblems, progress, and potential in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2001;127(1):87-127. https://doi.org/10.1037/0033-2909.127.1.87
  33. Cooper ML. Stress and Alcohol us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coping, and alcohol expectanci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2;101:139-152. https://doi.org/10.1037/0021-843X.101.1.139
  34. Elder JP, Campbell NR, Litrownik AJ, Ayala GX, Slymen DJ, Parra-Medina D, Lovato CY. Predictors of cigarette and alcohol susceptibility and use among Hispanic migrant adolescents. Preventive Medicine 2000;31(2):115-123. https://doi.org/10.1006/pmed.2000.0693
  35. Lin L, Ensel WM. Life stress and health: stressors and resources. American Sociooqical Review 1989;54:382-399. https://doi.org/10.2307/2095612
  36. Uchino BN. Social Support and Health: A Review of Physiological Processes Potentially Underlying Links to Disease Outcome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6;29(4):377-387. https://doi.org/10.1007/s10865-006-9056-5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38.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