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융합우선순위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1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종감염병 중요 요인 도출 (A Study on deduction of important factors for new infectious diseases through big data analysis)

  • 서경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5-40
    • /
    • 2021
  •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신종감염병에서 중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뉴스 데이터베이스의 기사를 직접 크롤링하고, 이를 전처리 하여,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순위 분석결과, 코로나, 전염병, 방역, 백신, 발생, 바이러스, 감염, 개발 순으로 그 중요도가 나타났다. 근접중심성 분석 결과 정부, 사망, 계획 순으로 그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빅카인즈 분석결과는 코로나 19, 질병관리 본부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신종감염병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및 방역,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동반성장과 호혜를 고려한 ESG 투자동향 및 시사점 (ESG investment trends and implications considering shared growth and mutual benefit)

  • 박윤주;이준호;최유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7-41
    • /
    • 2021
  • 최근 ESG 투자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ESG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투자 결정시 이와 같은 비재무적 투자를 고려하는 추세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환경에 초점이 맞추어지며 바이오와 헬스 관련 투자가 인기를 얻고 있는 반면 석탄 관련 사업 분야에서는 신규투자가 전면 중단되고 기존 사업은 순차적으로 사업을 종료하거나 철수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을 투자 포트폴리오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운용사가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투자환경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리스크 관리체계의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투자체계의 대응 및 준비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동반성장과 호혜를 고려한 ESG 투자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AIS시스템 성과평가를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론에 관한 실증적 연구-한미 양국 비교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Approach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Cloud-based AIS -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the US)

  • 김동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21-30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분야에서 가장 우선하는 클라우드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의 성공적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클라우드 현황과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을 종합하였으며, 기업의 주요 성과 요인을 조직적 요인과, 비즈니스 업무 영역, 그리고 기술적 시스템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이 도입 초기인 점을 고려하여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method)분석 기법을 통해 주요 성공 요인을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정하고, 계층적분석(AHP)방법을 통해 각 주요 요인별 상호 중요도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주요 성과변수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적 요인으로는 기업의 지속성과, 기업 운영적 요인은 비니니스 업무 솔루션, 그리고 시스템 확성성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많은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의 도입과 운영에 대한 초기 도입 전략과 운영에 추가적인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P over WDM 네트워크에서 손실에 민감한 의료 데이터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새로운 복구 방법 (A New Recovery Method to Privide Diverse Service Demands for Loss Sensitive Medical Data on IP over WDM Networks)

  • 이용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377-388
    • /
    • 2022
  • 의학 분야에서 가파르게 증가하는 인터넷 사용과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서 수 테라비트를 운반할 수 있는 광 인터넷은 생존 필요성의 다양한 형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지능적인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IP over WDM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복구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새로운 복구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복구 서비스를 세 개의 클래스로 구분하고 각 클래스를 위해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공유 복구와 전용의 보고 기법을 활용한다. 또한 이 방법을 지원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구성 기법이 제안된다. 이 기법은 복구 시간, 블로킹 비율 그리고 자원 활용 측면에서 각 클래스별로 서로 다른 정도의 복구 요구사항을 제공한다. 이 기법을 이용하며, 손실 없이 의학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농업용수의 공급 및 이용을 고려한 유역 물수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Water Balance Model for Agricultural Watershed Considering on Water Supply and Use)

  • 윤동현;남원호;신지현;이광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3-513
    • /
    • 2022
  • 국가물관리기본법에 의거하여 통합물관리 정책에 부합하는 농어촌용수 계획 및 관리 요구에 따른 유역 및 용수구역 단위의 물관리 필요하며, 국가수자원계획의 물수급 정책 수립시 농업용수의 공급, 이용 및 관리 특성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 농업용수는 개수로 방식 용수공급체계 및 수문 직접조작에 의한 용수배분체계로 공급량 대비 사용량(벼의 생육에 사용된 수량)의 비율이 48%에 불과하고, 농경지 상류와 하류의 공급량 차이가 크게 발생하며, 경지면적 감소가 공급 필요량 감소로 연결되지 않는다. 현재 국가유역수자원모델 (K-WEAP, K-MODSIM)은 모델이 가진 분석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농업용수 물수급 해석에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농업용수 특성이 반영된 농업용수 수요·공급 표준화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역물수지모델 현황 및 농업용수 적용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농업용수의 공급 및 이용을 고려한 유역 물수지 모형 개발을 목표로 한다. 기존 농업용수 물수지 분석은 순물소모량 개념 적용에 따른 회귀수량 획일화와 이에 따른 공급량 왜곡, 유역내 복잡하고 다양한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하나의 가상저수지로 단순화 함으로서 유역내 들녘별 농업용수 과부족 분석 불가능, 하천과 저수지 공급 우선순위 현장과 불일치, 노후된 기초자료 등의 한계가 존재하며, 이를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농업용수 회귀수량의 경우 실측기반의 회귀수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단일 수원공 및 복합 수원공의농업용수 물수지 분석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용수 물수급 특성이 국가수자원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기본 수자원모델(K-MODSIM)과 연계가능한 농업용수 표준 모형개발로써, 향후 국가수자원계획(국가물관리기본계획, 전국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농어촌용수이용 합리화계획 등) 수립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구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창업자들의 인식 (Perception of Entrepreneurs on the Startup Ecosystem in the Daegu)

  • 김대건;배성현;김정훈;주기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49-555
    • /
    • 2023
  • 창업생태계와 관련된 주된 논점은 창업기업이 활동하기 좋은 창업생태계가 구축된 환경에서는 창업기업이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혁신창업생태계구축운영사업의 결과를 활용하여 창업생태계의 핵심적인 구성원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대구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분석을 실시하여 창업기업이 속한 창업생태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창업인프라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분류되었고, 재무(투자 및 지원)과 인적자원 확보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게 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구광역시 창업생태계에 대한 창업자 관점에서의 인식을 확인하였고 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개선점 및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사회복지 기반 학제 간 융합전공(장애인평생교육) 신설 논의 (A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Major(Lifelong Education for Disabled) based on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and Social Welfare at Daegu University)

  • 김영준;김화수;이근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47-156
    • /
    • 2022
  • 본 연구는 특수교육, 재활과학, 사회복지 분야를 통해 장애인 교육 및 복지의 거점 대학으로 위상 및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는 대구대학교를 기반으로 장애인평생교육의 융합전공이 신설될 수 있는 근거와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장애인평생교육은 장애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장애의 특수성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교육과 복지의 두 가지 관점 및 성격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장애인 관련 분야의 학제 간 융합연구에 따른 접근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위 차원에서 대구대학교는 현행에 구축하고 있는 학문 및 실천 기반의 각종 인프라를 통해 국내 장애인평생교육을 주도할 수 있는 적합한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법규 제정에서부터 현장기관의 설치 및 운영 등에 이르기까지 명확성이 구축되지 못한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의 현실적 한계를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리더십 역시 충분히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대구대학교에서 학제간 융합전공 신설 차원에서 장애인평생교육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 근거를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학제간 융합전공 신설 차원에서 조망된 장애인평생교육은 특수교육, 재활과학, 사회복지의 세 분야 간에 우선순위적 관점으로 적용되기보다는 세 분야가 공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전문역량을 통하여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관점으로 강조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를 구축하지 못한 국내의 경우 특수교육, 재활과학, 사회복지의 학제 간 융합연구가 수월한 대구대학교의 적용 모델 및 방안을 기점으로 점차 관련 타 대학으로 보급 및 확산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세 분야 간의 합의를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 개발 경로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 역시 시사되었다.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의 방향 탐색: IPA를 활용하여 (A study on AI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through IPA)

  • 유정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75-687
    • /
    • 2019
  •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 대학에서는 인공지능을 전공으로 하는 특수대학원을 설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부에서도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각 대학은 인공지능이라는 최신분야를 전공으로 대학원교육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고 전문가를 찾기도 쉽지 않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들의 반응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대학원 인공지능전공의 교육방향을 탐색하였다. IPA로 조사한 40개의 항목 중, 인공지능 교육과정의 체계성, 학습수준을 고려한 수업진행, 지도교수와의 학문적 관계개선 등 12개 항목은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추출되었다. 이에 비해 조교의 역량, 동료와의 관계 등 8개 항목은 과잉으로 투입되고 있는 부분으로 나타났고, 교수자의 강의역량, 교육내용의 적절성, 학습자의 인공지능 기술, 지식, 태도의 습득 등 12개 항목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잘 유지해야 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융복합 교육과정, 교육방법의 다양성 등 8개 항목은 우선순위가 낮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은 교육목표에 따라 두개의 트랙(기술특화, 융합확장)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각 트랙은 학생수준에 적합한 수준별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은 전문적인 인공지능지식, 기술, 태도 습득을 위한 정교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하고, 학문적 전문성이 있는 우수한 교수진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개별화지도 체계를 구성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에너지시스템 분석 모형을 통한 국내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시나리오 분석 (GHG Mitigation Scenario Analysis in Building Sector using Energy System Model)

  • 윤성권;정영선;조철흥;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3-163
    • /
    • 2014
  • 본 연구는 건물부문 에너지기기(조명, 가전기기, 냉난방, 공조, 취사 등) 효율개선 정책방향과 탄소세정책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장기 에너지 계획 및 비용최적화 분석이 가능한 MESSAGE 모형을 통해 에너지 소비량과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총 비용을 분석하였다. 효율개선 시나리오는 2010년부터 2030년까지 기준시나리오 대비 약 5,600천 TOE(전력 2,303 천TOE)의 에너지 저감 효과가 발생하였고, $104MtCO_2eq$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른 총 비용은 2,706,993백 만원으로 전망된다. 탄소세적용 시나리오는 $74MtCO_2eq$의 누적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발생하였고, 총 비용은 2,776,473백 만원으로 전망된다. 시나리오별 톤당 온실가스 감축비용 범위는 -475~272원/$tCO_2eq$ 사이로 나타나고, 효율개선 축시나리오가 온실가스 감축정책방향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정책은 에너지 효율개선 정책을 우선적으로 펼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묘지 발전방안을 위한 추모 서비스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memorial service for national cemetery development plan)

  • 이정선
    • 서비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34-143
    • /
    • 2022
  • 국립묘지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뜻을 기리고 충의와 위훈을 영구히 추앙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보훈을 실현하기 위한 공간이다. 국립묘지 설립의 목적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한 호국정신을 본받자는 것이다. 국가는 사적(私的)인 죽음과 국가를 위한 희생으로서의 공적(公的)인 죽음을 구분한다. 나아가 공적인 것으로 분류된 죽음을 세심하게 관리한다. 국립묘지는 바로 그러한 공적인 죽음을 관리하는 제도적 공간이다. 헌신과 훈격에 따른 예우로 안장 및 추모를 위한 기준이 신분 또는 계급 중심에서 벗어나야 한다. 국립묘지는 예우의 정도와 우선순위를 헌신 및 훈격 중심(重心)으로 전환하는 것이 민주 사회에서의 진정한 보훈 시스템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전사자와 더불어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들을 최고, 최우선 예우로 모실 때가 되었다. 이는 우리 국립묘지가 겪고 있는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의 공감을 얻는 첩경이다. 본 연구는 국립묘지가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열린 추모 공간 및 역사 공간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음을 전제로 출발하고 있으며, 국립묘지가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열린 공간으로 거듭나도록 서비스 개선 중심으로 종합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우수 사례와 고품격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선진국 국립묘지 조성사례를 통해 시사점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