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부하량

Search Result 40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eduction of NPS pollution in the No-till field (무경운을 적용한 밭에서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 Lee, Su In;Won, Chul Hee;Shin, Min Hwan;Jeon, Je ho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6-426
    • /
    • 2015
  • 무경운 농법은 경작지의 토양을 교란시키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과 토양 침식 예방, 생산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농업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경운의 재배 지속 기간 등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내 환경조건에 맞는 실험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적관리기법의 하나인 무경운(No-till)을 적용한 밭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장기적으로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무경운 농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동계피복작물(밀, 보리)을 재배작물 정식하기 전해 겨울에 파종하여 이듬해 6월 말 수확하였다. 이후 7월에서 8월 사이 재배작물(들깨, 무)을 정식하였다. 시비는 2011년에는 축산퇴비, 2012년에는 축산액비 그리고 2013년과 2014년에는 화학비료를 시비하였으며, 매년 경운과 무경운의 시비량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유출 시험포의 면적은 $150m^2$(폭 5 m, 경사장 30 m)이며, 8개(경사도 3% 4개, 경사도 8% 4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각각 2개씩 경운(관행)과 무경운을 적용하였다. 모니터링은 재배작물(들깨, 무) 정식 이후부터 작물 수확 전까지 강우사상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기간동안 총 13회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운대비 무경운 시험포의 평균 오염부하 삭감율을 분석한 결과 경사도 3% 시험포의 경우 BOD는 35.1%, $COD_{Cr}$은 37.4% 그리고 영양염류인 TN과 TP는 각각 36.9%와 33.5%가 삭감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경사도 8% 시험포의 경우 BOD가 36.4%, $COD_{Cr}$은 45.8%, TN과 TP는 각각 45.5%와 40.6%가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운(관행) 농법이 영농관리 차원에서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할 때 무경운 농법으로 영농할 경우 강우유출수 및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부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SWAT Generated Streamflow and Stream Water Quality Using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Data (SWAT모형에서 다양한 해상도에 따른 수문-수질 모의결과의 비교분석)

  • Park, Jong-Yoon;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2-106
    • /
    • 2008
  • This study is to evaluated the impact of varying spatial resolutions of DEM (2 m, 10 m, and 30 m), land use (QuickBird, 1/25,000 and Landsat), and soil data (1/25,000 and 1/50,000) on the uncertainty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predicted streamflow, sediment, T-N, and T-P transport in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1.21\;km^2$). SWAT model was adopted and the model was calibrated for a $255.4\;km^2$ watershed using 30 m DEM, Landsat land use, and 1/25,000 soil data. The model was run with the combination of three DEM, land use, and soil map respectively. The SWAT model was calibrated for 2 years (1999-2000) using daily streamflow and monthly water quality (SS, T-N, T-P) records from 1999 to 2000, and verified for another 2 years (2001-2002). The average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 was 0.59 for streamflow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were 2.08, 4.30 and 0.70 tons/yr for sediment, T-N and T-P respectively. The hydrological results showed that output uncertainty was biggest by spatial resolution of land use. Streamflow increase the watershed average CN value of QucikBird land use was 0.4 and 1.8 higher than those of 1/25,000 and Landsat land use caused increase of streamflow.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on Distributed Watershed using Topographic Data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 유역 수질 모의)

  • Ryu, Byong-Ro;Jung, Seung-Kwon;Jun, Ky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1
    • /
    • pp.897-913
    • /
    • 2004
  • There has been continuous efforts to manage the water resources for the required water quality criterion at river channel in Korea. However, we could not obtain the partial improvement only for the point source pollutant such as, wastewater from urban and industrial site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Therefore, it is strongly needed that the Best Management Practice(BMP) throughout the river basi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clud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This problem should be resolved by recognizing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upstream river basin to the outlet depends on the land use and soil type characteristic of the river basin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by distributed parameter model based on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sed in this study, Annualized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nnAGNPS) model is a tool suitable for long term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BMPs and can be used for un gauged watershed simulati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Now applications of model are in progress. So we just describe the limited result. However If well have done modeling and have investigated of propriety of model, well achieve our final goal of this study.

Analysis of Nonpoint source Reduction at Andong Area Considering Changes in CN (CN의 변화에 따른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계획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 Kwon, Heongak;Jung, Kangyoung;Kim, Shin;Shin, Sukho;Ahn, Jungmin;Kim, Gyeongh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4
    • /
    • pp.342-349
    • /
    • 2016
  • Andong belongs to the Nakdong River Basin, Nakdong River is flowing through the city, including Andong dam and Imha dam. The runoff due to provincial transfer and impervious area has been increasing by urbanization increases and nonpoint source load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load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targeted at selected urban water cycle leading to Andong city. Andong city leading to the water cycle plan to evaluate the directly runoff and BOD, T-N and T-P nonpoint pollutant loads using the CN into accoun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Evaluation, direct runoff per year is 10.41 % if the green roof and a water permeable pavement replacement, water cycle parks and streets compositions, City impermeable layer improvements to be business including four kinds of scenario is applied to both the development and the BOD non-point pollutant loads 20.56%, T-N 9.55% and T-P pollution and nonpoint loads was investigated to be reduced 14.29%. Four kinds of low lapse rate of the development scenario of the highest thing urban impervious surface was investigated by improving business development prior year annual direct runoff is 6.25 %, BOD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11.84%, T-N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4.46 % and T-P was investigated by reducing pollutant loads to be 10.20%.

Evaluation of Management Plan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Hoengseong Dam (횡성댐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방안 평가)

  • Choi, Yujin;Lee, Seoro;Yang, Dong Seok;Hong, Jiyeong;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1-251
    • /
    • 2020
  • 원주시를 비롯한 남한강 지류인 섬강의 중·하류 지역에서의 물 부족 및 수해를 방지를 위하여 남한강 지류인 섬강 유역에 횡성댐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타 댐에 비해 횡성댐의 최근 5년간 TOC와 BOD5의 평균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횡성댐 유역의 수질 오염은 원주시와 횡성군의 식수원인 횡성호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횡성댐 유역의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오염원 현황을 파악하고 홍수기 유량·수질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원 특성 및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WAT 모형을 구축한 후 횡성댐 유역 내 주요 우심하천인 구사천과 횡성댐 말단 지역에 대해 적용 가능한 총 5가지의 수질개선 대책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유역 모델링을 통한 전체유황, 홍·풍·평수기, 저·갈수기 수질 오염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인 수질개선 대책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오염원별 다양한 관리대책을 제시하였다. 우심하천인 구사천의 경우 마을하수도 설치에 대한 오염부하 저감 효과와 벌목에 대한 오염부하 영향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 내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횡성댐 유역 말단에 대해 비가림시설 및 유출방지턱 설치에 따른 오염부하 저감 효과, 표준시비량 적용 및 농업BMPs(물꼬관리, 완효성비료, 볏짚피복, 초생대)에 따른 오염부하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별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한 결과, BOD5는 최소 0.1 ~ 11.6%의 수질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T-N은 0.1 ~ 22.3%, T-P는 0.1 ~ 31.8%, TOC는 0.1 ~ 3.8%의 수질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질항목별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비가림시설 및 유출방지턱과 축산분뇨 위탁처리 시나리오, 경작지 표준 시비량 시비 및 농업 최적관리 적용 시나리오의 오염원 저감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오염저감 시나리오와 수질개선 대책 등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횡성댐 유역의 수질 개선을 위한 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나, 횡성호 상류유역의 수질개선만 고려했기 때문에 호소 내 수질관리에 대한 후속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 in Jinhae-Masan Basin (진해-마산만 유역에서 비점오염물의 유출양상 분석)

  • Lee, Beum-H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1
    • /
    • pp.107-118
    • /
    • 2006
  • The difficulties to build a 3-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for the coastal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environmental recovery estimation are the lack of periodic observed data and the many problems to observe continuously. I observed the rainfall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in Jinhae-Masan basin as mid-step researches for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and management method development in a coastal area. I applied Landsat image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analyz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SWMM) applied to Jinhae-Masan basin with results of the land use distribution, non-point pollution loads, and watershed informations from GIS(IDRISI used). I proposed some improved survey and GIS application methods reflect upon the pollutant characteristics from the observed non-point pollutant outflow patterns.

  • PDF

Proposal of Soil Parameter Range of HSPF Considering Available Water Capacity According to Soil Layer (토양층에 따른 유효수분량을 고려한 HSPF의 토양 별 매개변수 범위 제안)

  • Kim, SooHong;Lee, Dongjun;Han, JeongHo;Yang, DongSeok;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3-113
    • /
    • 2019
  • 하천 오염 부하의 양적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는 유역 내 목표 수질을 설정하고 목표 수질한도 내에서 오염물질 배출 총량을 할당하는 수질오염총량제를 도입하였다.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에 있어 시계열로 발생하는 유출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장기유출모형의 적용이 가능한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HSPF)을 수질관리 및 평가 모델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HSPF 모델은 실제 다양한 특성을 가진 토양층을 Upper zone과 Lower zone 내에 통합적인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유량을 모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토양 내부에서의 유출에 대한 정확한 모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양층에 따른 Available Water Capacity(AWC)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기존보다 세분화된 토양 관련 매개변수 범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양 관련 매개변수 범위를 반영할 경우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에 있어 HSPF 모델 모의 시 유역 내의 토양도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중간유출과 기저유출분석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Impacts Assessments of River Linked with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by CSOs in Urban Area (도시지역 월류수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과 연계한 하천 영향 평가)

  • Kim, You-Seong;Ko, Hyuk-Bae;Ahn, Sang-Dae;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96
    • /
    • 2008
  • 최근에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는 단시간의 높은 강우 강도의 발생을 증가시켜 재해 유발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유역 내 비점오염원이 합류식 관거의 월류수인 CSOs(Combined Sewer Overflows)의 형태로 강우와 함께 유입되어 수질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월류수의 유출특성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유량 및 수질 등의 오염부하량에 대한 적절한 저감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도시유역에 강우로 인한 월류수의 유출 특성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월류수가 하천에 방류되었을 때의 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효율적인 수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기도 구리시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도시 강우-유출 모델인 SWMM을 사용하여 유역의 유출량 및 월류수의 수질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유역의 최종 방류구에 비점오염 저감을 위해 설치된 저류지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유출수와의 연계는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된 WASP 모델을 적용하여 왕숙천 본류에 대한 월류수 변화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저류지 설치 전 후의 하천에 월류수가 미치는 영향을 BOD 농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류지 설치 후 BOD 농도의 저감율은 설치 전 보다 최소 1.9%, 최대 81.2%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신뢰도 높은 수질모의를 위해서는 월류수 발생시 월류수와 하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 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입력변수의 도출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성강하물 피해예상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산성우에 의한 이들 토양의 화학성 변화

  • 김동호;임수길;이민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6.11a
    • /
    • pp.140-143
    • /
    • 1996
  • 산성강하물이 산림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오염이 우려되는 공단지역(울산, 여천)과 대도시지역(서울, 부산), 그리고 비오염지역인 대조지역(평창, 삼천포)을 대상으로 이들 지역의 산림토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지역 각각을 대표할 수 있는 산림토양에 인공산성비를 유출시켜 토양의 화학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조사지역별 토성분포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 조사지역 토성은 양토(29.0%), 식양토(22.9%), 사양토(18.3%) 3종류가 분포율이 높았고, 이들이 전체의 70.2%를 차지하였다. - 조사지역 전체 산림토양 표토의 pH($H_2O$)는 4.41~5.14 범위로 평균 4.49이고, 심토의 pH($H_2O$)는 4.54 ~ 5.22 범위로 평균 4.69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공단지역(4.44) < 대도시지역(4.57) < 대조지역(5.08) 순서로 토양 pH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 염기포화도는 3.07 ~ 21.83% 범위이고, 평균값은 7.71%이었다. 지역별 비교에서는 대조지역(19.14%) > 공단지역(6.54%) > 대도시지역(5.60%) 순서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 치환성 Al 함량은 2.13 ~ 5.59cmol(+)/kg 범위이고 평균 4.62cmol(+)/kg이었다. 지역별 비교에서는 대조지역(2.34) < 대도시지역(3.23) < 공단지역(5.20) 순서로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 4종의 인공산성우(pH 2.0, 3.0, 4.0 및 5.6)를 산림토양에 유출시킨 결과 인공산성우의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유출액의 pH 감소, 토양염기의 유실이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AL과 Mn의 용탈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pH 3.0 인공산성우 유출시에 시작되어 pH 2.0에서 뚜렸하였다. - 인공산성우 토양유출 실험결과 울산, 남산 및 평창토양은 H 부하량의 증가에 따른 치환성염기 및 Al과 Mn의 용탈양상은 Sigmoid curve인 y = a/{1+exp(-c+bx)} 모델식에 따랐다.

  • PDF

Evaluation of the pre treatment tank filter media layer in LID technologies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 특성 평가)

  • Choi, Hye Seon;Jeon, Min Su;Geronimo, Franz Kevin;Reyes, Nash Jett;Kim,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7-367
    • /
    • 2022
  •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라 비점오염원 부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LID 기법은 자연적 기작(mechanisms)과 공정(process)을 이용하여 생태계의 물질순환(물순환 포함)과 에너지 흐름이 원활하도록 조성하는 기법으로, 불투수층면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관리 가능하다. LID 시설에는 전처리 시설을 두어 초기 고농도의 입자상 물질을 저감시키고, 강우유출수 저류공간을 통한 유출저감, 첨두유량 등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전처리 시설에는 유기물질 및 영양소의 생물학적 제거를 위한 미생물 서식공간의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여재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물질 유입이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환경을 평가하였다. 3개 시설 모두 100%의 불투수층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LID 시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전처리 시설에는 자갈, 우드칩, 쇄석 등이 적용되어 있다. 퇴적물의 경우 가장 상부에 존재하는 층으로 퇴적물의 오염물질 농도는 2~10.7배 이상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드칩의 경우 다른 여재에 비해 높은 함수량과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우드칩의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과 거친 표면공극에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무기성 여재인 쇄석과 자갈의 경우 여재 크기의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군집구성과 함수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물의 함량이 낮은 강우유출수의 생물학적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성 여재가 필요하며, 다공성 무기 멀칭재를 적용하고 하부의 토양은 적정 유기물을 배합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 유도가 가능하도록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