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Water Quality on Distributed Watershed using Topographic Data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 유역 수질 모의

  • 유병로 (한밭대학교 환경공학과) ;
  • 정승권 ((주)웹솔루스 수자원사업부) ;
  • 전계원 (삼척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There has been continuous efforts to manage the water resources for the required water quality criterion at river channel in Korea. However, we could not obtain the partial improvement only for the point source pollutant such as, wastewater from urban and industrial site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Therefore, it is strongly needed that the Best Management Practice(BMP) throughout the river basi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clud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This problem should be resolved by recognizing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upstream river basin to the outlet depends on the land use and soil type characteristic of the river basin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by distributed parameter model based on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sed in this study, Annualized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nnAGNPS) model is a tool suitable for long term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BMPs and can be used for un gauged watershed simulati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Now applications of model are in progress. So we just describe the limited result. However If well have done modeling and have investigated of propriety of model, well achieve our final goal of this study.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도시하수, 공장폐수 등의 점오염원에 국한하여 수질관리를 시행하여 부분적으로 밖에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오염원에 대한 최적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의 토지특성 및 토양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특성별로 발생하는 오염원을 산정하기 위해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상세한 유역특성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GIS 기법을 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질관리모형으로 연속 강우 사상에 대해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량 및 첨두유량, 유사량, 비점오염 부하량 등을 산정할 수 있는 AnnAGNPS 모형을 적용하였고, 모형내의 부모듈을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생성 및 가공하여 적용하였다. 대상유역은 팔당호 유역권에 포함되는 복하천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1999년과 2000년 호우기의 각각 2개의 강우 사상을 적용하였다. 우선 강우시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량을 모의하고, 이를 복하교 지점의 실측유량자료와 비교, 보정하여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를 조정하였으며, 이후 토사발생량과 오염부하량을 모의하였다 토사발생량의 경우는 실측값이 미비하여 비교분석은 못하였으나, 오염부하량의 경우 환경부에서 측정한 수질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값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l999). 한국수문조사연보
  2. 건설교통부 (2000). 한국수문조사연보
  3. 건설교통부 (2000). 남한강 유역 유량 측정 보고서
  4. 기상청 (2002). 복하천유역 기후자료 - 기상청 홈페이지 (www.kma.go.kr)
  5. 정승권 (2000). 'GIS를 이용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 오염부하량 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환경부 (2002). 한강수계 수질관측자료 -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7. Bingner, R. L., F.D. Theurer, R.G.Cronshey, R.W. Darden. (2001). 'AGNPS 2001 Web Site. Internet at www.sedlab.olemiss.edu/AGNPS.html
  8. Cronshey, R. G. and F. G. Theurer. (1998). 'AnnAGNPS-Non Point Pollutant Loading Model. In Proceedings First Federal Interagency Hydrologic Modeling Conference'. 19-23 April 1998, LasVegas, NV
  9. Costa-Cabral, M. C., and S. J. Burges. (1994). 'Digital Elevation Model Networks (DEMON): A Model of Flow Over Hillslopes for Computations of Contributing and Dispersal Areas'. Water Resources Research, 30(6):1681-1692 https://doi.org/10.1029/93WR03512
  10. He, G.; Riggs, J.F.; Kang, Y.T. (1994). 'Integ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a Computer Model to Evaluate Impacts of Agricultural Runoff on 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Bulletin WARBAQ; Vol. 29, No. 6, pp 891-900
  11. Jurgen Garbrecht, Lawrence W. Martz, Ronald L. Binger (2000). 'TOPAGNPS USER MANUAL'
  12. Wu, T.H.; Hall, J.A; Bonta, J.V. (1993). 'Evaluation of Runoff and Erosion Model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JIDEDH ; Vol. 119, No. 2, p 364-382 https://doi.org/10.1061/(ASCE)0733-9437(1993)119:2(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