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아교육기관 교사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7초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 탐색 연구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atory Research into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based on Relationship -Centering on the case in Korea and Japan)

  • 권미량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3-120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역할을 관계성에 관련하여 구체적 현장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돌봄과 살핌의 실천이 가능한 유아교사의 역할 특성을 탐색하고 역할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관계라는 특성의 차원에서 나타나는 교사 역할의 구체적 실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선정하여 국내외 다각적 현장에서의 실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유아교육기관으로 M유치원과 P어린이집을 선정하고, 일본의 S유치원과 H보육원을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통해 심층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례를 통해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로 나누는 대화로 여는 관계, 감각과 신체를 통한 관계, 알아가는 과정 속의 관계, 의식주 생활에서의 관계라는 4가지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는 자연물을 통해 맺는 관계, 동등한 참여자로서의 관계, 몸의 움직임으로 갖는 관계, 일상으로 가지는 관계라는 4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관계성 차원에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대상 지향적 언어를 통한 관계성, 감각에 기초한 관계성, 생활에 기초한 관계성, 유대감에 기초한 관계성, 생태적 관계성으로 구성하였다.

영유아교사의 급식 운영 실태와 급식 지도 분석 (An Analysis of Meal Guidance and Meal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87-449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급식 운영 실태와 급식 지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71명의 영유아교사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육현장의 급식 운영 실태와 급식 지도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x^2$, F검증,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급식 시간 운영과 급식 제공 분량, 급식 배분형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 원아의 연령에 따라 급식 시간 운영과 급식 제공 분량, 급식 배분 형태, 늦게 먹는 유아의 지도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유아교사는 급식 지도 내용 중에서 '식사 후 내용', '식사 전 내용', '식사 중 내용' 순으로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라 '식사 후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 원아의 연령에 따라서는 '식사 전 내용'과 '식사 중 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과 담당학급 원아의 연령은 급식 운영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유아교사가 영아교사보다 대체적으로 급식지도를 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척도 타당화 연구 (Validity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Scales for Young Korean Children)

  • 이채호;최인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49-463
    • /
    • 2011
  • 본 연구는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 척도의 타당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5곳에서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57명의 부모와 담임교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수 및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첫째,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은 $X^2$=365.712 (df=168, p=.000), RMSEA=.057, SRMR=.047, NNFI=.935, CFI=.948로 모두 권장 적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 척도가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교사용의 유아 간편 다중지능 척도의 모델 적합도 지수들은 $X^2$=436.765 (df=168, p=.000), RMSEA=.066, SRMR=.051, NNFI=.917, CFI=.934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 지수의 값들이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과 유아지능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 척도의 신뢰도는 .80~.8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5로 나타났다. 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 척도의 신뢰도는 .76~.91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유아 다중지능을 측정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유아 영어교사의 자질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 - 유아교육기관 방문 영어교사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toward Qualification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 Focused on Visiting English Teachers in Preschools -)

  • 기경화;안선희;이순응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25-1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toward qualific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their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samples consisted of 201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Seoul, Daejeon, Daegu, Gyeonggi area. A sample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F-test,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teachers were women between 30 to 40 years old, university graduate with job experience less than 3 years. In addition, half of teachers in this study majored on English studies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thought themselves to be qualified as a English teacher and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y rate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o relatively high. There were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qualific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major. And years of job exper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qualif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인식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through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 박소윤;서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0-381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모의수업은 교원양성교육에서 필요하며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수업 경험을 요구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원장의 지도성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Preschool Institutes and Management Styles on Job Satisfaction among Teachers)

  • 오미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25-2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tpreschool institutes and management styles on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teachers. For this study, 256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dealing with the following topics: the organization culture and the management styles of administrators at schools they work in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veral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management styles. Third,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innovativenes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lso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styles of administrators that influenced teachers'job satisfaction ratings included collegiality, supervisory support, physical settings, reward systemsand task-centered management styles.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장윤경;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7-161
    • /
    • 2023
  • 현대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족 구조와 형태가 다양해지고, 여성의 경제 활동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 대상 돌봄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기관 증설 및 운영 시간 연장 등으로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는 것에 반해, 유아 교육기관의 질과 영유아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이고, 무조건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긴 근무 시간, 저임금, 학부모의 지나친 요구, 부진한 복지제도 등의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여 유치원 교사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인 어려움을 예상해보고 그 요인을 찾아 분석함으로서 유치원 교사의 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지원 방안 및 유치원 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척도(MTOSFQ), 심치적 소진척도(MBI), 자기자비척도(K-SCS), 마음챙김척도(FFMQ)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v22,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선형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PDF

테크놀로지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Technology Leadership)

  • 정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82-90
    • /
    • 2019
  • 본 논문은 테크놀로지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함으로써 개선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05명(어린이집 교사 100명, 유치원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리더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리치(Borich) 공식을 사용하여 요구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원장의 리더십 및 비전영역에서 유아 교사들은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과 관련된 학회나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에 대한 개선 요구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교수-학습방법 영역에서는 활동 영역 및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에 대한 개선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 전문성 영역 중 요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자신감 고취와 교수 학습 우수 실천 사례 연구였다. 기관 지원 영역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에서 문제 발생 시 보조인력 지원에 대한 개선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영역에서는 다양한 평가도구 및 방식 개발이 가장 높은 요구도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관의 사회적 윤리적 법적 지원영역 중 가장 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테크놀로지 활용 시 건강을 위한 지침 마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도 조사 (Christian Preschool Curriculum in Korea :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iculum)

  • 조정아;조은진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5-324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hristian preschool curriculum in Korea. Participants were 119 teachers in Christian preschools(84 teachers in preschools attached to churches and 35 teachers in non-attached Christian preschools).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study. Most of the Christian preschools used appropriate educational aims clearly reflecting a Christian world view and the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edia were limited.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cademic background, and years of teaching in Christian institutions affected the results.

  • PDF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Support Conditions Based on Screening and Need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ed)

  • 이진경;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26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 중 또래들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유아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이들이 언어발달지연을 보인다고 선별한 유아 30명에 대한 언어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의 선별은 관련 검사 결과 정확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의뢰한 보육교사의 선별기준과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의 수용 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현 대처방안과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지역에 있는 보육시설 10개 기관 13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결손을 보이는 언어특성과 부적응 행동에 따라 언어발달이 지연된다고 의뢰하였고, 둘째,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에 대한 부모들의 태도는 무관심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서 교사에게 먼저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해 상담하는 등 다양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넷째,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위하여 전문가와 기관의 지원,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자료와 기준의 제시, 낮은 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지원 요구를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