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ory Research into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based on Relationship -Centering on the case in Korea and Japan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 탐색 연구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미량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3.09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inquiring into the role characteristics of a early childhood teacher, who can put an act of tending & examining into practice, and organizing a role by analyzing the concrete reality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such as relation with conversation, relation through sensation and body, relation with familiarity, and relation by living through the cases in Korea. As for the cases in Japan, there appear the characteristics, such as relation through natural things, relation as an equal participant, relation with bodily movement, and relation with daily life.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organized a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s relationship through object-oriented language, relationship based on sensation, relationship based on fellowship, and ecological relationship.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역할을 관계성에 관련하여 구체적 현장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돌봄과 살핌의 실천이 가능한 유아교사의 역할 특성을 탐색하고 역할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관계라는 특성의 차원에서 나타나는 교사 역할의 구체적 실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선정하여 국내외 다각적 현장에서의 실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유아교육기관으로 M유치원과 P어린이집을 선정하고, 일본의 S유치원과 H보육원을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통해 심층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례를 통해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로 나누는 대화로 여는 관계, 감각과 신체를 통한 관계, 알아가는 과정 속의 관계, 의식주 생활에서의 관계라는 4가지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는 자연물을 통해 맺는 관계, 동등한 참여자로서의 관계, 몸의 움직임으로 갖는 관계, 일상으로 가지는 관계라는 4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관계성 차원에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대상 지향적 언어를 통한 관계성, 감각에 기초한 관계성, 생활에 기초한 관계성, 유대감에 기초한 관계성, 생태적 관계성으로 구성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권미량․최애경(2005). 보육시설에서 부모의 갈등과 적응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21.
  2. 김아영.이명희.전혜원.이다솜.임인혜(2007). 청소년이 지각하는 유능감 및 관계성과 비행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유아심리연구, 21(4), 945-967.
  3. 김은영(2007). 남녀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9(4), 1079-1100.
  4. 김은주(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5. 김은주, 권미량 (2008). 유아교사교육-생태적 접근. 경기: 공동체.
  6. 김정신(2004). 영성지향 유아교육의 목적 설정을 위한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107-133.
  7. 김희봉(2009). 잘삶의 통합적 이해와 교육적 함의. 교육철학, 44. 23-43.
  8. 문미옥, 이용주(2000).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 분석 연구. 유아교육연구, 20(2), 223-242.
  9. 민중서림편집국(1997). 엣센스 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10. 박세원(2004). 도덕적 삶과 성찰의 관계적 의미에 관한 담론적 탐구. 초등도덕교육, 14, 139-169.
  11. 박은미(2007). 저출산 실태분석과 정책과제, 복지행정연구, 23, 317-335.
  12. 박은혜(2002).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교수방법에 대한 고찰. 유아교사교육의 최근 연구동향.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174-203.
  13. 배소연(1993).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교육학연구, 31(5), 153-170.
  14. 서순태(2005). 쿠라하시의 자연주의 교육원리에 기초한 학습자 활동의 유도방안. 한국 영유아보육학. 42(9), 305-328.
  15. 서영희(2008). 표준보육과정과 생태보육과정의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교사와 유아의 일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서유헌(2003). 유아-행복한 아이/불행한 아이.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년 연차학술 대회 자료집, pp.29-48.
  17. 송순재(2002). 자연의 존성을 지닌 아이들.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 대회 자료집, pp. 35-55.
  18. 신유림.윤수정(2009).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유아교육기고나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 지각의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19.
  19. 양옥승(2006). 삶의 맥락에서의 영유아 보․교육과정 탐구. 유아교육연구, 26(6), 253-267.
  20. 오선영, 강병제(2002). 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역할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 수행간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2), 155-184.
  21. 이기숙․정미라․김현정(2006). 한국, 중국, 일본 유아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5), 81-98.
  22. 이민정(2001). 관찰을 통해 이해한 유아의 음악활동과 교사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11(2), 273-282.
  23. 이상우(2010). 영성의 통합적 의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월례회 자료집, 3, 1-23.
  24. 이원영.송경섭(2005).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 연구, 10(3), 215-233.
  25. 이헌욱(1997). 유아과학교육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 아동교육, 6(1), 142-149.
  26. 이희경, 김성수(2007).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신념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영유아교육연구, 10, 169-186.
  27. 이원영, 송경섭(2005).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 연구, 10(3), 215-233.
  28. 임재택(2008). 생태유아교육개론-제3판. 경기: 양서원.
  29. 장영숙(2007). 유아교사의 총체적 언어교수법과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과의 관계. 아동교육, 16(3), 265-277.
  30. 정금자(1998). 일본에서의 유아교육이념의 구현방향에 대한 분석적 연구. 아동교육, 7(2), 163-181.
  31. 정은이, 박용한(2006). 일상적 창의성의 성격 요인과 개별성-관계성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25(1), 89-104.
  32. 조용태(2004) 정(情)의 유무에 따른 유아의 특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09-332.
  33. 조채영(2006).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하정연(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을 사례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한기연(2003). 개별성-관계성과 자기위로능력관계에서 자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1), 75-89.
  36. 허영주(2010). 교사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연구, 28(10), 261-290.
  37. 황윤옥(2005). 자식 이기는 부모 없고, 부모 이기는 교사 없다. 서남재단 국제 유아 교육 심포지엄, 늦게 피어도 아름다운 꽃, pp. 51-60. 10월 27일 서울: 이화여대 국제교육관 LG컨벤션홀.
  38. 倉橋惣三(1966). 選集1卷. フレ-ベル館.
  39. 莊司泰弘(2003). 自由保育は心を育でゐ. 서남재단 국제유아교육 심포지엄자료집, pp.211-217.
  40. Buber, M.(1977). 현대철학의 근본조류[Landgerbe philosophic de gegenwart]. (최동희 역). 서울: 법문사. (원문은 1961에 출판).
  41. Cannella, G. S.(2002).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유혜령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1997에 출판)
  42. Comenius, J. A.(1910). 대교수학[The great didactic]. (정확실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1987에 출판).
  43. Fetterman, D. M.(1989). Ethnography: Step by step.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44. Gilligan, C.(1982). In a different vo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Goldstein, L. S.(2002). Reclaiming caring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
  46. Guisinger, S. & Blatt, S. J.(1994).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Evolution of a fundamental dialectic. American Psychologist, 49, 104-111. https://doi.org/10.1037/0003-066X.49.2.104
  47. Kessler, S. A.(1991). Alternative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 183-197. https://doi.org/10.1016/0885-2006(91)90006-7
  48. Mara, S.(2000).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Reconceptualiz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신옥순, 염지숙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1992에 출판).
  49. Noddings, N.(1984).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0. Pianta, R. C.(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51. Rogers, D. L., & Webb, J.(1991). The ethic of caring in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2(3), 173-181. https://doi.org/10.1177/002248719104200303
  52. Sampson, E. E.(1988). The debate on individualism: Indigenous psychologies and their role in personal and social functioning. American Psychologist, 43, 15-22. https://doi.org/10.1037/0003-066X.43.1.15
  53. Spradley, J. P.(1979). Ethnography interview. New Nork, NY: Holt.
  54. Stake, R. E.(2000). 질적 사례연구[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1995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