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교육기관 교사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48초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 이미지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ages of Young Children)

  • 이춘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19-23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이미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31명으로 4년 동안 이루어진 장기연구이다. 연구대상자들에게 1학년 때와 4학년 때(동일인), '유아는 - - 이다'라는 질문과 이미지 변화의 요인을 질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학년 때는 활력소 같은 존재의 이미지, 외부환경에 반응하는 존재의 이미지, 개성이 다양한 존재의 이미지, 사랑과 정성이 필요한 존재의 이미지로 분석 되었다. 4학년 때는 1학년 때의 활력소 같은 존재의 이미지, 개성이 다양한 존재의 이미지 외에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존재의 이미지, 유아 자신이 목적인 존재의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둘째,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은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보조교사, 실습(교육/보육), 수업이었다. 따라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아동중심에 대한 합의된 개념과 보조교사 제도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of the Teacher's Scales for Gifted Preschool Children)

  • 이채호;최인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483-49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5곳에서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57명과 이들의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그리고 부모였다.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수 및 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언어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 예술적 능력, 리더십)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문항은 20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결과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변별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영재와 일반유아 간의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영재가 일반유아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판별되었다. 넷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82~.91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유아 영재성을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것임을 보여준다.

개념도를 통한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n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 박진희;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91-20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Kane과 Trochim(2007)의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밝히고, 그 중요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총 196개의 아이디어 진술문이 수집되었으며, 추출된 아이디어 진술문을 통합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51개의 진술문으로 축약하였다. 최종 진술문은 다시 10명의 개념도 작성 참여자들에게 분류하도록 하고, 설문조사 참여자 294명에게 각 진술문의 중요도에 관해 평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분류 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2개 차원(환경/개인, 덕목/실행)과 5개 군집으로 이루어진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개념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을 평정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 관련 5개 범주 중 '성인의 역할 강조(M=4.45)'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Peer Play Interactions)

  • 김상림;박창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7-5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과 또래놀이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유아의 기질변인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교사변인이 또래놀이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활동성 기질 및 또래놀이상호작용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 기질이 높을수록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활동성 기질이 높을수록 놀이방해가 많이 나타나고 정서성 기질이 높을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상호작용은 또래놀이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의 정도에 있어서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기질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유아교사가 보육 교육기관에서 유아의 개인변인을 고려하여 또래놀이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구체적인 역할 및 추후연구에 대해 제안했다.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eacher's Perspectives on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백경숙;윤지영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9
    • /
    • 2006
  • Participants were 272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who responded to 2 survey questionnaires: translated and revised versions of Laub's (1999)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SOLA) and Jorde-Bloom's(1989)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ECJSS). Components of SOLA were values people, develops people, displays authenticity, builds community, provides leadership, and shares leadership; components of ECJSS were co-worker relationships, administrator relationship, job itself, working environment, possibility of rewards/promotions, feelings about the organization.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computer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ervant leadership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f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that predicted job satisfaction were 'develops people', 'displays authenticity', 'values people' and 'provides leadership.'

  • PDF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 실태와 활성화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Watching the Children's Music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오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41-4449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뮤지컬 관람에 대한 현장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 및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이 어떻게 실시되어지고 있는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뮤지컬 관람과 연계한 교육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뮤지컬의 관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대부분의 유아들은 뮤지컬 관람을 매우 흥미로워하며 새롭고 다양한 경험의 제공과 새로운 문화를 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뮤지컬 관람 시 사전교육 활동으로는 홍보지, 미디어 홍보영상 등을 활용한다고 답하였으며, 사후활동으로는 뮤지컬관람의 내용과 관련하여 그리기미술활동, 이야기 꾸미기활동, 동극활동으로 전개했을 때 교육적으로 효과적 이였다고 하였다. 셋째, 뮤지컬관람을 실시할 때 문제점으로는 단체유아들의 이동에 있어 통제의 어려움이 많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뮤지컬관람의 교육적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교육접근 방법의 뮤지컬관람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유아학교 교사 자격 연수의 과목과 운영 모듈 (Subjects and Operational Modules of Young Children School's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 김대욱;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43-452
    • /
    • 2023
  • 유보통합 이후에 현직교사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자격전환연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자격연수의 과목과 운영모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보육교사 자격이 없는 유치원교사에게는 4과목 12학점이 필요하고, 보육교사 자격만 갖고 있는 교사에게는 14과목 30학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연수기관으로 4년제 및 전문대 유아교육과와 방송통신대학교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를 소지하지 않은 유치원 교원의 경우 직무연수를 통하여 자격전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 Interaction and Self-leadership, Preschoo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 문병환;김세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7-113
    • /
    • 2011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15개소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253명과 그들의 아버지 253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 화합 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통제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반면에 통제 지향성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버지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5-45
    • /
    • 2014
  •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적 역할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5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반 9곳에 재원 중인 유아 200명(남아 97명, 여아 101명; 평균연령 6.24세)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 또래괴롭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남녀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 교사-유아 관계는 또래괴롭힘 피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아의 경우 수줍음 특성과 교사-유아 관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지만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 수준이 낮고,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남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는데 있어, 교사-남아 간 친밀관계는 보호요인으로, 교사-남아 간 갈등관계는 위험요인으로써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줍음 특성이 있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thics and Empathy on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 좌승화;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81-286
    • /
    • 2023
  • 우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7명을 대상으로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질 높은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인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와 공감능력 및 아동권리인식의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교직윤리, 아동권리인식, 공감능력 순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직윤리와 아동권리인식, 공감능력과 아동권리인식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직윤리 중 사회윤리가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우리의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바람직한 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