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ages of Young Children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 이미지 변화 분석

  • 이춘자 (침례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change on the images about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department at a university. It was a longitudinal study conducted for four years. The data regarding the images that students had about young children were collected by having them answer a question. The question was "Young children are... Because of..." Subjects were asked to answer that question when they were freshmen and then, to answer the same question when they were seniors in order to see the change. A content analysis and frequency were conducted. The study of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ir first year to senior year, the images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such as, vibrant active beings and being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However, the images such as "being who wa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environments" had changed. And the new image which viewed a child as a being who should be respected emerged. Secondl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mage changes we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working as assistant teachers at an early childhood setting, and practicum. Therefore, a systematic work on assistant teachers should be done and a concept about child-center education should be buil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이미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31명으로 4년 동안 이루어진 장기연구이다. 연구대상자들에게 1학년 때와 4학년 때(동일인), '유아는 - - 이다'라는 질문과 이미지 변화의 요인을 질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학년 때는 활력소 같은 존재의 이미지, 외부환경에 반응하는 존재의 이미지, 개성이 다양한 존재의 이미지, 사랑과 정성이 필요한 존재의 이미지로 분석 되었다. 4학년 때는 1학년 때의 활력소 같은 존재의 이미지, 개성이 다양한 존재의 이미지 외에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존재의 이미지, 유아 자신이 목적인 존재의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둘째,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은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보조교사, 실습(교육/보육), 수업이었다. 따라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아동중심에 대한 합의된 개념과 보조교사 제도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6).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체제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 김경철, 채미영(2001).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아동관 분석. 열린교육연구, 6(3), 203-218.
  3. 김금희(1999). 영어로 편찬된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3(2), 175-195.
  4. 김정신(2012).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5. 김정원, 조혜선(2012). 보육실습 전, 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19.
  6. 김재환, 이미순(2010).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 후 자기평가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229-254.
  7. 김태오(2000). 소파의 아동관의 교육철학적 검토. 교육철학, 18집, 21-42.
  8. 김혜금(2012). 신문광고 내 아동의 이미지: 190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동아일보 광고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5-51.
  9.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0. 박은혜, 조운주(2007).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1(4), 225-246.
  11. 손상희(2001).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 형성이 아동들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연구, 3, 165-194.
  12. 성은영(2009).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특성 및 교수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유치원 교육실 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137-163.
  13. 성원경, 이춘자, 김현지(2009).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 36(2), 49-73.
  14.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2011).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15. 심상욱(2002). 현대미술에 나타난 아동화적 성향과 어린이 이미지에 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9(3), 119-142.
  16. 유솔아(2011). 은유 분석을 통해 본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초등교육연구, 24(3), 117-145.
  17. 윤종희(2007). 한국인의 이상적 아동관에 나타난 양육신념체계와 양육행동 탐색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14(1), 65-83.
  18. 이기숙(2006).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19. 이대균(2010). 예비유아교사의 장기간 교육실습 경험을 위해 대학과 유치원의 협력으로 시행되는 보조교사 제도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189-219.
  20. 이대균, 박지선(2008).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보조 교사 경험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15-143.
  21. 이원영, 주영희, 김경철(1994). 유치원의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서울: 창지사.
  22. 이진화, 유준호(2009). 교육실습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의 의미. 육아지원연구, 4(1), 47-68.
  23. 이춘자(2008). 사전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내용 및 정서 분석. 육아지원연구, 3(2), 75-97.
  24. 이춘자(2009). '가르치는 일'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몬테소리연구, 14(1), 58-72.
  25. 이춘자(2010).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교사에 대한 이미지 변화. 교원교육, 26(1), 1-19.
  26. 이효숙(2009).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개념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육아지원연구, 4(2), 141-158.
  27. 임승렬(1998). 발달에 적합한 교육실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신념연구. 교육연구(덕성여대 논문집), 6, 137-154.
  28. 전인옥(1997).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언어적, 비언어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9집, 203-237.
  29. 정진,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2007).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 아동교육, 16(4), 261-270.
  30. 제경숙(1996). 아동중심교육철학과 유아교육과정. 교육이론과 실천. 제6권, 57-69.
  31. 조문현, 박현주(2005). TV 광고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4, 21-39
  32. 조운주(2000).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조운주(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3), 315-335.
  34. 최양미(1994). 아동중심교육사상의 의미에 대한 검토. 대신대학교 논문집, 제14집, 3-19.
  35. Beijaard, D., Verloop, N., & Vermunt, J. D.(2000).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An exploratory study from a personal knowledge perspectiv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7), 749-764.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23-8
  36. Bullough, R. V., & Stokes, D.(1994). Analyzing personal teaching metaphor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means of encourag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1), 197-224. https://doi.org/10.3102/00028312031001197
  37. Caldehead, J., & Robson, M.(1991). Images of teaching:Student teachers' early conceptions of classroom practice. Teaching & Teacher Education, 7(1), 1-8. https://doi.org/10.1016/0742-051X(91)90053-R
  38. Lin, Y. W., & Spodek, B.(1994).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images of practice(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70 916)
  39. Marshall, H. H.(1990). Metaphor as an instructional tool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 reflection. Theory into Practice. 28(2), 128-132.
  40. Martinez, M. A., Sauleda, N., & Huber, G. L.(2001). Metaphors as blueprints of thinking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8), 965-977.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43-9
  41. Maxson. M., & Sindelar, R.(1998). Images revisited: Examing preservice teachers' ideas about teaching. Teacher Education Quarterly, 25(2), 5-26.
  42. www. NBPTS.org/UserFiles/File/What teacher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pdf. 출력 일 2009년 8월 27일.
  43. Strauss, S., Ravid, D., Magen, N., & Berliner, D. C.(1998). Relations between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teacher experience and their mental models of children's minds and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4(6), 579-595.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09-2
  44. Tobin, K.(1990). Changing metaphors and beliefs: A master switch for teaching? Theory into Practice, 28(2), 12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