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머감각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학령기아동의 음악적 성향과 유머감각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Resilience in school-age children related to sense of music and humor)

  • 심인옥;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93-605
    • /
    • 2015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적 성향과 유머에 대한 감각 수준 파악 및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학령기 고학년 아동인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265명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음악적 성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출생순위가 빠를수록 자아탄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성향, 유머감각 및 자아탄력성은 학령기 아동에게서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악적 성향을 신장시키고 유머활동을 통해 유머감각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Correlation of Stress-coping, Humor Sense, and Adaptation to Colleg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 김건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01-31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2년 6월 B시 일 대학교 간호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대처는 평균 43.33점, 유머감각 72.18점, 대학생활적응 68.02점으로 중간이상의 수준이었다. 대학생활적응 점수는 성별, 학년, 가족구성, 가정형편, 대학생활 만족도, 교수와의 관계, 대학성적, 이성친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유의하나 약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해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nse of Humor and Stress Coping Styles on Adaptation to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 강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8호
    • /
    • pp.63-72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180명의 간호대학생으로,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4년 4월 15일부터 26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머감각은 3.52점,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3.40점, 임상실습적응은 3.4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적응은 전공만족도(F=29.80, p<.001), 임상실습 만족도(F=40.46, p<.001), 실습동료와의 관계(t=5.05, p<.001), 성격(t=-3.41,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적응은 유머감각(r=.31, p<.001), 스트레스 대처 방식(r=.4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적응에 대한 영향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β=.34, p<.001), 스트레스 대처 방식(β=.29, p<.001), 전공 만족도(β=.23, p<.05)로 총 변화량의 40%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전략이 필요하다.

학령 후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보호요인 :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as Moderating Factors for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 우소연;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could moderate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6th graders (468 boys, 412 gir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ildren reported their daily hassles,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on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less daily hassles, had higher self-control, and higher sense of humor were well-adjusted in their schools.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moderated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lthough the moderate effect was weak.

  • PDF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 및 유머감각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ense of Humor i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on their Aggressive Behavior)

  • 석주영;안옥희;박인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7-250
    • /
    • 2004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i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on their aggressive behavior by using a path mode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2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98 children reared at home, residing in an undisclosed city.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than children at home. Also,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a higher level of aggressive behavior than at-home children.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on the aggressiv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 PDF

임상치과위생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empowerment in clinical dental hygienist)

  • 김영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5-211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empowerment in clinical dental hygienist. Methods : Subjects were 374 clinical dental hygienist in Jeollabuk-do from April 20 to June 4,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for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Results : The mean score or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 of humor was 2.55 out of 4 each of the sub-dimensions including emotional expressiveness, message sensitivity and preference of humor. Empowerment was 3.50 out of 5 and each of the sub-dimensions including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e of humor and the empowerment.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mpowerment combined with humor sense in the curricula of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leadership management in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

간호대학생의 진로동기, 유머감각, 문제해결능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Humor Sens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 최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9-11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동기, 유머감각, 문제해결능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2.19±0.77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는 성별(F=2.219, p=.027), 학년(F=7.142, p<.001), 용돈(F=5.055, p=.007), 학교 성적(F=4.322, p=.014), 동료와의 관계(F=23.561, p<.001), 건강상태(F=21.55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진로동기(r=-.443, p<.001), 유머감각(r=-.400, p<.001), 문제해결능력(r=-.465, p<.001)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21, p=.033), 용돈(β=.123, p=.028), 동료와의 관계(β=.165, p=.004), 유머감각(β=-.168, p=.012), 문제해결능력(β=-.186, p=.006)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3.6%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 특성, 자신을 조절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 학습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유머감각, 자존감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Sense of Humor, Self-esteem, and Performance in Nurses)

  • 최진이;황인영;박영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17
    • /
    • 2012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relations among sense of humor, self-esteem, and performance in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98 nurs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easures were sense of humor, self-esteem, and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3.0 version.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performance of nurses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marriage, education level, income and clinical experience. The performance of nurse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sense of humor and self-esteem. The higher clinical experience, sense of humor, and self-esteem they have, the better performance they make. The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of nurses are clinical experience, sense of humor and self-esteem. The degree of explanation is 36.5%. Conclusion: Knowing that sense of humor and self-esteem of nurse are significant factors which can cause nurses' better performance, we suggest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help nurses to develop and manage their sense of humor.

임상치과위생사의 유머감각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umor sens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전지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21-830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umor sens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77 dental hygienists in Chungnam from May to June, 2014. The instrument for humor sense was adapted from Thorson and Powell instrument by Lee and 20 questions. Each question included humor making and preference for humor and scored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in the study was 0.869. Job satisfaction was adapted from Smith Job Description Index and included task requirement, collaborate support, manager support, promotion, and wages and score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in the study was 0.827. Turnover intention was developed by Lee and 5 questions was score by Likert 5 scale. Crobach's alpha was 0.712 in the study. Results: The average of humor sense was 3.33, average of job satisfaction was 3.20, and average of turnover intention was 3.05. The sense of humor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This result will provide the high productivity and high quality of life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Humor sense is the important factor that support the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유머광고 표현유형과 수신자의 기질에 따른 유머광고의 차별적 효과 (Differential Effects of Humor Advertising by Expression Type and Receivers' Temperament)

  • 하태길;박명호;이희욱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9권1호
    • /
    • pp.23-41
    • /
    • 2007
  • 최근까지 유머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머광고와 비유머광고의 비교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유머광고 전체를 동일한 개념으로 일반화시킨 연구들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유머광고도 표현유형에 따라 광고효과의 차이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여 이의 유형별 측정도구를 제시하고 유머광고 표현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MBTI 성격기질에 따른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에 대한 관계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유머광고 표현유형을 각성형 유머광고, 부조화형 유머광고, 우월성형 유머광고의 세 종류로 범주화하여, 이러한 유형들이 소비자의 인지적(광고회상도), 정서적(광고호감도, 광고선호도, 제품선호도) 행동적 반응(구매의도)에 미치는 광고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 가지 광고는 유머의 표현유형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유머광고의 표현유형에 따라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반응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각성형 유머광고가 다른 두 유형의 유머광고보다 위의 세 가지 측면의 효과에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머광고의 부정적인 측면으로 지적되어 온 회상력의 문제점을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한 기법인, 각성이론형 유머광고로 보완하여 제작한다면 향후 소비자들에게 광고효과를 보다 더 강화하는 전략적인 측면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또한 심리학 유형이론으로부터 만들어진 SP(감각인식형), SJ(감각판단형), NT(직관사고형), NF(직관감정형)로 분류되는 MBTI 성격기질을 조절변수로 사용한 결과, 유머광고의 표현유형과 조절변수 사이에서 광고호감도와 광고선호도의 효과 측면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회상도, 제품선호도, 구매의도 등에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격기질에 대한 주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의한 광고효과의 분명한 차이를 밝힘에 따라, 향후 유머광고 효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기존 실험실 연구의 대부분은 스토리구성 없는 장면위주로 실험 설계된 인쇄 유머광고를 사용하거나, 예전에 방영된 TV 광고물을 그대로 실험연구에 적용시켜 각종 외생변수들의 통제가 미흡하여 타당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근거가 되는 각성 이론, 부조화 이론, 우월성 이론에 따라 이야기를 구성하고,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실험광고를 제작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미래연구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광고제작자들이 이 척도를 이용함으로써 유머광고를 제작하는데 직감이나 영감보다는 이론적인 가이드라인에 의존할 수 있게 되어 유머광고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작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특성을 반영하는 성격변수인 개인의 MBTI 성격기질을 파악한다고 할지라도 이를 직접적으로 마케팅 상황에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로 인하여 성격기질을 이용하는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는 성격기질이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를 조절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격기질에 따른 광고호감도나 광고선호도 차이 등을 설명할 수 있게 되어 유머광고에 노출된 소비자 반응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