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물 특성

Search Result 2,15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haracteristics of a Forest Soil on Pine Mushroom Habitat Located in Ponghwa, Kyungbuk and Gansung, Kangwon. 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 Horizon and Surface Soil (경북 봉화와 강원도 간성 지역의 송이자생지 산림토양의 특성 - 1. O층과 토양지표층의 이화학적 특성)

  • Chung, Doug-Young;Lee, Kyo-S.;Lee, Jong-Shin;Youn, Young-Na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3
    • /
    • pp.206-213
    • /
    • 2008
  • We observ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soil on pine mushroom picking areas where were located in the most upper and lower parts showing a comparative climatic characteristics in Korea. The slope gradients within the investigation areas which were divided into 100 quadrates of $1m^2$ ranged from $5.7{\sim}8.6{\beta}$ to $24{\sim}22.7{\beta}$ (left to right) and $4.5{\sim}6.8{\beta}$ to $13.5{\sim}17.8{\beta}$ (top to bottom) for Ponghwa and Gansung, respectively. The amount of clay and thickness of organic matt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lope gradient, resulting in decrease of the soil moisture content around a fairly ring-colony of Tricholoma matsutake which was observed under the relatively thicker organic matter layer beyond 3 cm depth. Soil pHswere weak acid and average EC was $0.44dS\;m^{-1}$ in both areas. The cations were in the order of Fe K > Na > Mg > Ca and Fe > K > Na > Ca > Mg for the upper(Gansung) and the lower (Ponghwa) part. And the amount of Fe was approximately $80dS\;m^{-1}$ or greater in the pine mushroom picking soil. From this, we could assume that the growth of the pine mushroom was closely related not only with iron but also soil moisture content.

Floc Property of Yeongsan Cohesive Bed Sediment with Respect to Salinity and Sediment Concentration (점착성 퇴적물의 염분과 퇴적물농도에 따른 플럭 특성: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실험연구)

  • Shin, Hyun-Jung;Smith, S. Jarrell;Lee, Guan-Ho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8 no.3
    • /
    • pp.122-130
    • /
    • 2013
  • To examine floc characteristics of cohesive bed sedi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a floc camera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o observe flocs under varying condit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floc camera system, sand particles were passed through 88-125 and $63-88{\mu}m$ sieves and observed within the laboratory.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102 and $56.2{\mu}m$ and 6.7 and 5.9 mm/s, respectively. Artifacts of particles estimated outside of the sieve range are attributed to being imaged out of the depth of focus. However, as mean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y of each size class were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the floc camera system was confidently used to examine cohesive bed sediments of Yeongsan River estuary. The bed sediment sample was prepared with a concentration of 0.1 g/L in 0 psu deionized water. The mean grain size,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of flocs were $40.6{\pm}0.66{\mu}m$, 14 mm/s, and 2.86, respectively.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using different salinities (10 and 34 psu) and sediment concentrations (0.1 and 0.3 g/L). Despite changing these parameters, the mean observed grain size and settling velocities were found to be the same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system. The relatively higher values of settling velocity and fractal dimension are considered a result of the sediment containing relatively small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Moreover, consistent floc size over various grain sizes and concentrations may be the result of insufficient turbulence to aggregate flocs.

Photovoltaic Characteristic of Thin Films Based on MEH-PPV/DFPP Blends

  • Mun, Ji-Seon;Kim, Su-Hyeon;Lee, Jae-U;Lee, Seok;Kim, Seon-Ho;Kim, Dong-Yeong;Choe, Hye-Yeong;Yun, Seong-Cheol;Lee, Chang-Jin;Kim, Yu-Jin;Lee, Geung-Won;Byeon, Yeong-Tae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5.07a
    • /
    • pp.28-2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MEH-PPV와 DFPP의 폴리머 물질을 이용하여 photovoltaic device가 제작되었고, 그림 1에 두 물질의 분자 구조가 보여진다. Photovoltaic cell의 전기-광학적 특성은 활성층의 폴리머 물질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홉수 스펙트럼이 측정되었다. DFPP는 chloroform, chlorobenzen, THF, acetone에 잘 녹았으며, 본 논문에서는 chloroform이 용매로 사용되었다. 제작 공정은 다음과 같다. 인듐 주석 산화물 (ITO)이 증착된 유리기판은 photolithography 공정을 거친 후, 왕수(HNO$_{3}$ + HCL)로 식각됨으로서 전극의 패턴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ITO 전극 패턴 된 유리기판 위에 PEDOT (CH8000, Baytron)이 코팅된 후 Ar이 주입되는 Convection Oven을 이용하여 120$^{\circ}$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되어 수분이 제거되었다. 활성층에는 MEH-PPV와 DFPP가 9:1과 2.33:1로 혼합된 폴리머가 사용되었고, 이것은 0.3 %w.t.가 되도록 chloroform에 넣어 5시간 동안 스핀바를 돌려서 용해되었다. 이 용액은 ITO 전극 패턴이 형성된 글라스 위에 3000 rpm으로 45 초간 스핀코팅 되었다. 이 때 얻어진 유기물 박막층은 80$^{\circ}$C의 Ar이 주입되는 convection oven에서 3시간 동안 경화되었다. 경화된 단층 유기물 박막층 위에 Li-Al이 1000 ${\AA}$의 두께로 증착되어 전극이 형성되었고, 이후 질소가 채워진 globe box에서 소자는 encapsulation되어 산소와 수분에 대한 영향으로부터 차단되었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작된 소자의 박막구조는 그림 2에서 보여진다. 그림 3은 MEH-PPV와 DFPP를 혼합했을 때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최대 흡수 파장은 511 nm였다. 그리고 photovoltaic cell의 V-I 특성 결과가 그림 4와 같이 측정되었다. 측정에서는 300${\sim}$700 nm의 파장대를 갖는 태양광 모사계가 사용되었고, 셀의 면적은 10 mm$^{2}$였다. 그림 5의 I-V 특성으로부터 MEH-PPV와 DFPP가 9:1 로 혼합했을 때보다 2.33:1 로 혼합했을 때, photovoltaic device의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빛이 75 mW/cm$^{2}$ 의 세기로 조사될 때 9:1과 2.33:1로 혼합된 소자의 open circuit voltage (V$_{oc}$)는 비슷하지만,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는 각각 -1.39 ${\mu}$A/cm$^{2}$ 와 -3.72${\mu}$A/cm$^{2}$ 로 약 2.7배 정도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lectron acceptor인 DFPP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photovoltaic cell의 conversion efficiency가 더 크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효율이 최대가 되는 두 폴리머의 혼합 비율이 최적화되는 조건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Active Compounds of Angelica gigas Nakai Population in Mt. Jeombong (점봉산 참당귀 자생지의 생장 및 유용성분 특성)

  • Park, Yunmi;Jeong, Daehee;Sim, Sujin;Kim, Nahyeon;Park, Hongwoo;Jeon, Gwonseok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2 no.1
    • /
    • pp.9-18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active compounds of Angelica gigas population distributed in Mt. Jeombong. Quadrates were established in native area to harvest root part of Angelica gigas and analyze soil properties in September and October 2017. It was found that Angelica gigas populations were collected above the altitude 758 m near the valley covered with Fraxinus mandshurica and Acer pictum, and so on. In case of soil nutrient, soil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and total nitrogen ranged 5.8-25.2%, 23.0-67.9 mg/kg and 0.3-1.3% respectively. Also, the Fresh weight of root ranged 28.8-65.3 g in September and 22.3-75.6 g in October. The content of active compounds ranged 2.7-4.7% in decursin and 2.9-4.5% decursinol angelate in October that was increased by 1% and 2.4%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September. In the final analysi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resh weight of root and exchangeable cation (natrium, calcium, magnesium). Also,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ive compounds and the content of water in root part of Angelica gigas.

Analysis of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Interception Facilities according to Rainfall Conditions (강우조건에 따른 차집시설에서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분석)

  • Lin, Zi-Yu;Eun, Beomjin;Heo, Jeong Sook;Choi, I Song;Oh, Jong-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1
    • /
    • pp.1-10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stormwater runoff and the origin of soluble pollutants according to various rainfall conditions from a non-point source reducing facility. The water sample from this study was collected among 10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G-drainage area. Specifically, five of the collection points including #1, #5, #8, #9, and #10 were reported with unknown water inflow even during non-rain conditions. The leaka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collection facilities were then able to identify accordingly.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tormwater runoff from the collection facilities were strongly affected by the amounts of rainfall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EC, BOD, TOC, and TN during non-rai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ir concentrations during rain;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DO were found to be lower than its concentrations during rain.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components existing in the effluent of collection facilit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dissolved organic matter analysis. In summary, the stormwater runoff was highly affected by pollutants flowing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mounts of hard-to-decompose humic substances were greatly increased in the collection facilities due to rain.

Long-term Application Effects of Soil Amendments on Yield and Soil Properties in Paddy (논토양에서 토양개량제 장기연용에 따른 벼의 생육 및 토양특성 평가)

  • Kwon, Soon-Ik;Lee, Yun-Hae;Hwang, Hyun-Young;Kim, S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30 no.1
    • /
    • pp.5-11
    • /
    • 2022
  • This research evaluated the long-term application effects of different soil amendments on yield, dissolved organic carbon, nitrogen and soil organic carbon stock in rice paddy.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different fertilizations; Inorganic fertilization (NPK), NPK+Lime (NPKL), NPK+Silicate (NPKS), NPK+Compost (NPK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ice yiel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n 1995, but the rice yields in the NPKL and NPKC treatments in 2019 increased by 4.3% and 14.3% compared to NPK. In terms of soil properties, the pH of NPKS(6.7) and NPKL(6.4) in 2019 increased the most compared to the soil pH before experiment(5.2). The organic matter(OM) content from NPKC treatment increased upto 34 and 27 g kg-1 in year of 1995 and 2019, respectively, compared to before the test. In NPKS and NPKL treatment, labile carbon and nitrogen content, used as a soil quality indicator, increased by 1.1-1.9 times over the control. From thes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ype and application rate of soil amendmen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oil analysis before cultiva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productivity.

Evalu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effectiveness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size (유역특성 및 시설규모가 인공습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 평가)

  • Choe, Hye-Seon;Reyes, Jett;Jeon, Min-Su;Geronimo, Nash Franz Kevin;Kim, Le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7-457
    • /
    • 2021
  • 인공습지는 자연이 가진 정화기작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성한 자연기반해법에 해당한다. 인공습지는 습지 내 식물, 미생물, 토양 등의 상호기작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인공습지의 오염물질저감효율은 시설의 규모와 유량, 유입물질의 부하량 수리학적 부하량, 체류시간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공습지 적정 규모는 유역 및 기상인자의 특성과 조성목적에 고려하여 산정된다. 본 연구는 전국 35개 지역에 설치된 54개 인공습지를 선정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8년에 설치된 시설이다. 54개 시설 중 도심지역에 13개, 농업지역 25개, 공업지역 3개, 상업지역 3개, 축산 10개가 설치되어있다. 습지형태는 Cell형 자유수면형 인공습지(Free Water Surface, Cell-FWS), 유로형(Flow) 자유수면형 인공습지(Cell-FWS), Cell과 Flow형이 결합된 Hybrid-FWS, 수직흐름형 인공습지(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와 수평지하흐름형 인공습지(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가 결합된 HYBIRD 형 습지로 구분된다.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SA/CA 비율이 클수록 오염물질의 저감효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 물질별 인공습지 규모를 비교할 경우 저감효율 60%에서 인공습지의 규모는 유기물>영양염류>입자상물질 순으로 나타났다. 목표 제거효율 60%에서 SA/CA 비는 BOD에서 약 3.2%, COD에서 2.5%, SS에서 1.9%, TN 2.5%, TP 2.3%로 나타났다. 입자상물질인 SS는 유기물 및 영양염류에 비하여 유역면적 대비 시설면적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질 제거에 큰 시설규모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습지 설계시 유역 토지이용 및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질과 유량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목표 오염물질 선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지역의 최적화된 인공습지 위치는 임야가 20~30%, 밭이 20% 이하, 논이 10~50%를 포함하는 곳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시지역 인공습지는 도시면적이 증가할수록 효율이 크게 변하지 않기에 가용위치가 적정한 위치로 평가된다. 인공습지의 효율은 유역의 세부 토지이용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인공습지 설계시 농업지역에서는 임야, 밭 및 논의 적정면적을 고려하여 인공습지 위치가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Agents to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on Aster scaber in Continuous Cultivation (참취 다년재배지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한 개량제 처리 효과)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0-70
    • /
    • 2020
  • 참취(Aster scaber)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취나물로 분류되어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 성인병 예방 효과와 무공해 건강식품으로 연중 소비가 증대되고 있으며, 주로 시설재배 작형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취 시설재배지는 양분의 과다투입에 의한 염류집적과 잦은 관수로 물리성이 악화 되어 참취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여 통상 3년 마다 종묘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 물리화학성과 참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참취 시설재배 농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참취 시설재배를 대상으로 무처리, 볏짚, 왕겨숯, 야자섬유 등을 10a당 1,000kg 처리하여 시기별 토양 이화학성,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재 처리 후 토양물리성의 변화는 볏짚 시용에서 가장 낮은 용적밀도 1.35g/cm3와 가장 높은 공극률 49.04%을 보였다. 토양 삼상 중 고상은 왕겨숯에서 52.82%로, 액상은 왕겨숯에서 30.28%로, 기상은 볏짚에서 22.45%로 가장 높았다. 토양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토양유기물 함량은 증가하였고, 유효인산은 함량은 440~487mg/kg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칼륨은 0.77~0.88cmolc/kg로 낮아졌고, 칼슘과 11.56~14.09cmolc/kg, 마그네슘은 2.93~3.22cmolc/kg로 증가하였다. 생육특성은 볏짚 처리구에서 초장 26.4cm, 엽장 8.7cm, 엽폭 6.7cm, 줄기수 7.2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좋은 생육이 좋았으며, 수량 또한 볏짚 처리구에서 1,554.3kg/10a로 가장 높았다. 지하부 생육특성은 볏짚 처리구에서 근중 83.7g/주, 근장 28.2cm, 근직경mm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다. 참취 다년재배지 정신 전 볏짚을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함량 증가와 용적밀도 감소, 공극율 증가 등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하여 참취 수량성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저온 증착 Nano-Crystalline TCO

  • Hong, Mun-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6-6
    • /
    • 2010
  • Indium Tin Oxide (ITO)를 포함한 Transparent Conduction Oxide (TCO)는 LCD, OLED와 같은 Display, 그리고 Solar Cell 등 광신호와 전기신호간 변환이 필요한 모든 Device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 물질로, 특히 고특성 Display의 투명전극에서 요청되는 95% 이상의 투과도와 $15\;{\Omega}/{\square}$ 이하의 면저항 특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은 현재까지 Plasma Sputtering 공정으로 $160^{\circ}C$ 이상에서 증착된 ITO 박막이 유일하다. 그러나, 최근 차세대 기술로서 Plastic Film을 기반으로 하는 Flexible Display 및 Flexible Solar Cell 구현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면서, Plastic Film 기판위에 Plasma Damage이 없이 상온에 가까운 저온 ($100^{\circ}C$ 이하)에서 특성이 우수한 ITO 투명전극을 형성 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가 중요한 현안이 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100^{\circ}C$이하 저온에서 고특성의 ITO 또는 TCO 박막을 얻기위한 다양한 연구와 구체적인 공정이 활발히 연구되어 왔으나, ITO의 결정화 온도 (통상 $150{\sim}180^{\circ}C$)이하에서 증착된 ITO박막은 비정질 상태의 물성적 특성을 보여 원하는 전기적, 광학적 특성확보가 어려웠다. 본 논문에선 기본적으로 절연체 특성을 가져야 하는 산화물인 TCO가 반도체 또는 도체의 물리적 특성을 보여주는 기본원리의 고찰을 토대로, 재료학적 특성상 Crystalline 구조를 보여야 하는 ITO (Complex Cubic Bixbyte Structure)가 Plasma Sputtering 공정으로 저온에서 증착될 때 비정질 구조를 갖게 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온에서 증착된 ITO가 Crystalline 구조를 유지 할 수 있게 하고, Stress Control에 유리한 Nano-Crystalline 박막을 형성하면서 Crystallinity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인 Magnetic Field Shielding Sputtering (MFSS) 공정과 최근 성과를 소개한다. 한편, 또 다른 새로운 저온 TCO 박막형성 기술로서, 유기반도체와 같은 Process Damage에 매우 취약한 유기물 위에 Plasma Damage 없이 TCO 박막을 직접 형성할 수 있는 Neutral Beam Assisted Sputtering (NBAS)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고, 본 공정을 적용한 Top Emission OLED 소자의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고온공정이 수반되는 Solar Cell용 투명전극의 경우, 통상의 TCO박막이 고온공정을 거치면서 전기적 특성이 열화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근본적 해결 방법으로 ITO 박막의 Dopant인 Tin (Sn) 원자의 활성화를 증가시킨 Inductively Coupled Plasma Assisted DC Magnetron Sputtering (ICPDMS)의 원리와 박막의 물성적 특성과 내열 특성을 소개한다.

  • PDF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을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

  • Seong, Si-Hyeo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67.1-367.1
    • /
    • 2016
  • 투명 전극은 유기 발광소자, 태양전지, 센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indium-tin-oxide(ITO)는 현재 다양한 소자의 투명 전극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가격과 유연성이 좋지 않은 ITO 소재를 대체하는 기술로 현재 금속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금속 나노 와이어 투명전극은 높은 전도성, 높은 광학적 투과율, 간단한 공정, 우수한 유연성 및 열 안정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플렉서블 소자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기판 제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 쌍안정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세척한 PET 기판 위에 금속 나노와이어를 스핀코팅 방법으로 분산하고, 그 위에 금속 나노와이어의 표면 거칠기와 전도성을 증진하기 위해 PEDOT:PSS 층을 스핀코팅하여 플렉서블 투명전극을 제작하였다. 플렉서블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기판을 하부 전극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유기물 층을 다시 한번 스핀코팅 방식으로 적층하였다.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상부 전극을 열 증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의 전류-전압 측정 결과는 높은 전도도와 낮은 전도도의 차이를 갖는 전기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