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분류

Search Result 1,30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atching-Table-Construction of Hazardous Meterial and Coding Development (위험물 매칭테이블 구축 및 코드화 방안)

  • An, Chan-Gi;Jeong, Seong-Bong;Park, Jong-Seo;Ja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435-446
    • /
    • 2012
  • 생활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해 화학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 되고 있고, 또한 국내에는 38,000여종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물질은 그 이점에도 불구하고 사람이나 환경에 유해 영향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어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3,000여종을 위험물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 위험물에 관련하여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총포 도검 화약류단속법, 원자력 진흥법, 농약관리법 등에서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분류하고 있어 위험물질에 대한 표지사항이 해당 부처에 따라 상이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있고, 위험물에 대한 품목 및 품명의 고정으로 인하여 새롭게 생성된 위험물질에 대해 적용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위험물질을 개별법에 따라 관리함으로써 중복된 위험물질 분류 및 관리의 문제가 있으며, 위험물질 분류에 있어서 위험물질에 따라 수송수단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수송수단별(도로, 철도, 해운, 항공) 위험물질에 대한 세분화된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수송관점에서 표준화된 위험물 물질정보의 분류와 코드화 방안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외 문헌 검토 및 위험물에 관련된 법제도 비교를 통하여 위험물 수송관리체계 정비방안과 위험물 수송사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기존의 위험물 분류체계에서 운송관점에서의 위험물 매칭테이블을 구축하고 신속한 사고대응을 위한 위험물질별 코드화 방안을 제안하도록 하겠다.

  • PDF

Incremental Early Text Classification system for Early Risk Detection (조기 위험 검출을 위한 점진적 조기 텍스트 분류 시스템)

  • Bae, Sohyeun;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91-96
    • /
    • 2021
  • 조기 위험 검출은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면서 해당 대화에 위험이 있는지 조기에 분류하는 작업으로, 정확도 저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가능한 한 빨리 대화를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조기 위험 검출은 온라인 그루밍 검출, 보이스 피싱 검출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기 위험 검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 셋과 Latency F1 평가 지표를 소개한다. 또한, 점진적 문장 분류 모듈과 위험 검출 결정 모듈로 구성된 점진적 조기 텍스트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점진적 문장 분류 모듈은 이전 문장들에 대한 메모리 벡터와 현재 문장 벡터를 통해 현재까지의 대화를 분류한다. 위험 검출 결정 모듈은 softmax 분류 점수와 강화학습을 기반으로 하여 Read 또는 Stop 판단을 내린다. 결정 모듈이 Stop 판단을 내리면, 현재까지의 대화에 대한 분류 결과를 전체 대화의 분류 결과로 간주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해당 시스템은 micro F1과 Latency F1 지표 각각에서 0.9684와 0.8918로 높은 검출 정확성 및 검출 신속성을 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GHS and the hazardous material testing method defined by national law of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 (GHS와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위험물 판정 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Sung-Eun;Oh, Kyu-Hyung;Kim, Hw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247-251
    • /
    • 2008
  • GHS는 위험물 분류와 운송부문에 관하여 물리 화학적 위험성과 급성독성의 분류와 표시사항을 기본으로 하여 기존의 UN시험방법과 큰 차이가 없으나 국내 기준인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위험물 판정 시험방법 및 분류체계와 달라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분류된 제2류 가연성고체 물질과 제3류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물질을 대상으로 각각의 위험물 판정시험을 실행하였다. 시험 결과 GHS를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판정 시험 결과를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위험물안전관리법의 분류기준과 GHS에 따른 대응 분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국제무역시 제도간의 규제 및 표지의 상이함을 통해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Project (건설사업 위험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한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 Chu Hae-Keum;Kim Seon-Gy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2 s.14
    • /
    • pp.109-117
    • /
    • 2003
  • The construction project is largely exposed to much more risk events over the project life cycle due to its complexity and size than the other industries. Therefore, the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process to identify and response the risk events is not only performing acutely but also proceeding systematically. The risk identification phase in the risk management process is to identify various risk events and define its characteristics. At this phase, the risk identification system is very useful tool to identify every possible risk events in the project. This study shows some problems of the existing risk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poses the modified risk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project phases and the contract bodies, and also suggests partial but more enough detailed risk checklists to be implemented in the actual risk identification phase than any other existing risk breakdown systems to be examined at this study.

The Review of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위험물질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고찰)

  • Kwon, Kyung-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1 no.3
    • /
    • pp.84-90
    • /
    • 2007
  • The UN recommends to the member of OECD to implement the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that harmonized the flammable materials for classification, labelling, production, transport, storage, handling, usage and discar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 and GHS because GHS is based on physico-chemical hazard and acute toxity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UN regulation for the classification and transportation of flammable materials.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at the classification, labelling and test method of flammable materials for GHS and the national law of safety management of flammable materials.

Incremental Early Risk Detection using Dialogue State Tracking for Panic Disorder (대화 상태 추적 모델을 활용한 공황 장애 점진적 조기 위험 검출 시스템)

  • Chaebin Lee;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97-501
    • /
    • 2022
  • 대화 상태 추적(Dialogue State Tracking)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화 시스템인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의 핵심 부분으로, 대화에서 표현된 사용자의 목적을 추출한다. 조기 위험 검출 시스템은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 대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며, 정확도 저하를 피하면서 최대한 빠르게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 상태 추적 시스템에서 나온 은닉층을 입력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공황 장애 여부를 점진적으로 조기 분류하는 시스템과 조기 분류를 위한 새로운 손실 함수를 제안한다. 조기 위험 검출 시스템에 대화 상태인 belief state의 정보를 함께 사용했을 때, 큰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대화 상태가 조기 위험 검출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Real-time Stream Data Processing System and Classification of Risk Factor on Railway Bridges (철도 교량에서의 위험 요소 분류와 실시간 스트림 데이터 처리 시스템 구현)

  • You, Song-su;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23-12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철도 교량 운행 상황을 가정하는 모형 철도를 사용하여 실제 철도 교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진동등 위험 요소로 분류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위험 요소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들을 분류하고 적절한 조치들을 상황에 맞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Flammable liquids (인화성액체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 Lee, Bong-Woo;Park, Chul-Woo;Song, Haak;Kim, Ha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6-285
    • /
    • 2009
  •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의 국제표준화시스템(GHS)을 조기에 구축하고 국내에 사용하는 화학물질을 보다 안전하게 제조,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과 GHS시험 방법으로 다양한 인화성액체 시험을 실시하여 이들의 결과에 대한 연관성을 도출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국제표준화 시험방법을 선택가능방식(Building Block Approach)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위험물의 80%를 차지하는 인화성액체의 분류에 필요한 시험은 인화점이 가장 중요한 요소지만, 도료류와 같은 혼합물은 가연성액체량과 GHS-연소지속성에 따라 위험물/비위험물로 분류될 수 있다. 도료류는 두 시험의 분류결과가 대부분 비슷하게 나타나 GHS-연소지속성시험을 선택가능방식을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하게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Integrated Work-Risk Breakdown Structurebased on Fatal Incident Cases in Construction Industry (중대재해 사례에 기반한 건설업의 작업 및 위험분류체계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 Jeong, Jaemin;Jeong, Jae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3
    • /
    • pp.11-19
    • /
    • 2020
  • Since an accident i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higher than others for decades, the accident in construction industry should be decreased. To prevention this problem,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and risk breakdown structure (RBS) are presented. the WBS and RBS, are hierarchy structure which can find fatal incident considering type of building and type of work easily and quickly. So, this study aims to develop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WBS-RBS to prevent fatal incident on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earch process is conducted by following 3 steps: (I) collection of data; (II) classification of data; and (III)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WBS-RB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pose the most dangerous fatal incident aspect of type of building, type of work, and type of accident. Through the result, the decision maker can reduce or eliminate fatal incident considering type of building, type of work and type of accident in construction industry.

Risk Assessment for Disaster Reduction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소규모 건축현장 재해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 Choi, Hyun-J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2
    • /
    • pp.395-404
    • /
    • 2022
  • Purpose: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have insufficient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production structure is complex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risk of construction equipment is very high. We would like to propose a checklist method among practical risk assessment techniques that can derive risk factors for disaster prevention at small construction sites and reduce disasters. Method: Risk fac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literature research and disaster cases, and detailed work for a checklist of risk assessment suitable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as classified based on risk factor items. Result: Hazard factors were divided into 6 major categories, and 29 detailed types of work were classified based on actual work types, and 80 detailed 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ly. Conclusion: By arranging risk factors suitable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supplemented, and risk factors can be derived more easily and disaster reduction can be expected through establishment of safety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