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월경 불편감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Health Zone_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여자라면 한 달에 한번 월경전증후군

  • 조병구
    • 건강소식
    • /
    • 제36권6호
    • /
    • pp.24-25
    • /
    • 2012
  • 월경전증후군은 여성만이 경험할 수 있는 생리 전 불편감을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하게 느끼는 병을 말한다. 여성의 65%가 가벼운 우울감과 같은 생리 전 불편 증상을 호소하고, 20~40%는 월경 때마다 반복되는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다양한 증상으로 월경전증후군을 앓고 있다. 또한, 이들 중 2~9%는 사회적, 직업적으로 더욱 심각한 증상 때문에 치료를 받게 되는데 이를 월경 전 불쾌장애라고 부른다.

  • PDF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Female worker′s 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focus on hospital workers-)

  • 임윤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59-266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의 양상과 대처방법 및 그에 따른 완화정도를 파악하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394명이다. 2010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SAS 9.2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월경시 불편감은 연령, 결혼유무, 임신경험, 출산경험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로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월경시 불편감의 정도는 최대 5점 중 평균 $2.46{\pm}0.68$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양상은 통증, 수분 축적, 행동변화 순이었다.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는 행동적 대처가 $3.55{\pm}0.58$로 가장 효과적이었고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행동 간에는 회피적 대처에서만 상관관계가 있어 불편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회피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r=.178,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을 완화하기 위하여 회피적 대처방법보다는 스스로 극복하도록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모색해야하며 앞으로 월경시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Distress and Coping Method in Nursing Students)

  • 노윤구;이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18-1128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11월 19일부터 12월 5일까지 K시 소재 K대학 재학 중인 여자 간호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월경불편감은 2.7점으로 78.2%가 호소하였다. 생활습관은 집중저하(r=-.17, p<.05), 행동변화(r=-.14, p<.05)와 음의 상관관계를, 휴식은 집중저하 (r=-.18, p<.05)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주는 월경불편감(r=-.19, p<.05), 집중저하(r=-.20, p<.05), 행동변화(r=-.18, p<.05), 부정적 정서(r=-.24, p<.05)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월경불편감과 대처방법(r=.54,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으로 월경불편감 완화를 위한 교육과 월경불편감을 완화시키는 대처방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월경곤란증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adolescent)

  • 정은자;이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81-86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월경곤란과 월경 불편 시 대처유형을 조사하고,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들의 건강통제위는 내적통제위, 타인의존통제위, 우연통제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처유형으로는 적극적 행위대처, 적극적 인지 대처, 회피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월경곤란시 대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내적통제위, 월경불편감, 병원 방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11.7%이며, 회피적 대처에 대한 모형설명력은 9.6%로 월경불편감, 병원 방문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학생들의 생활 양식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청소년에서의 월경주기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화양상 - 매일평가서에 의한 증상변화양상을 중심으로 - (PATTERN OF PHYSICAL, PSYCHOLOGICAL SYMPTOMS IN THE MENSTRUAL CYCLE OF ADOLESCENTS - FOCUSED ON THE MEAN DAILY PATTERN OF SYMPTOM CHANGES BY DAILY RATING FORM -)

  • 조숙행;남민;이현수;송수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52-60
    • /
    • 1996
  • 본 연구는 월경전기에 불편감이 있다고 응답한 230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매일 평가서를 사용하여 월경주기에 따른 신체적, 기분, 행동변화의 양상을 보고자 하였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로 확인된 군과 전체대상군 모두에서 후기황체기에 신체적 , 심리적 증상들이 뚜렷한 악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월경이 시작되면서 증상의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월경시작4일째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월경주기중에서 특히 월경기때에 보다많이 신체적인 불편감을 경험하고 있고, 이때 월경기간이 길수록 불편감이 큰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양상들은 젊은 여성의 월경전기 변화 양상을 대표할 수는 없으나, 본 대상군이 여고생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청소년의 월경주기에 따른 고유한 증상의 변화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이압 요법이 여대생의 월경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ar Acupressure Therap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on Female college Students)

  • 정혜명;송주승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7-94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여대생들의 월경 불편감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는 27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4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는 G시의 K 대학의 유아교육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3개월에 거쳐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Keele's VAS(시각분석 등급)을 이용하여 월경 곤란 증상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60일 동안 3회의 이압 요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이압 요법을 실시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비율, 편차, $x^2$-test, t-test Cronbach's ${\alpha}$로 분석 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실시한 VAS 값은 이압 요법 이전에는 실험군이 7.3, 대조군이 7.46이었으나 이압 실시 후 실험군은 3.36, 제어군은 7.17의 값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 의하면 이압 요법은 월경 불편감을 가진 여대생의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과 월경 전 대처와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enstrual Attitude, Premenstrual Distress, and Premenstrual Coping in Korean College Women)

  • 한지희;김수;김상희;이선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20
    • /
    • 2017
  •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a descriptive study which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nstrual attitude, premenstrual distress and premenstrual coping in Korean college women and to propos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remenstrual distres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1 college women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 of premenstrual coping was $3.25{\pm}0.60$ out of 5 points. Th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Premenstrual Change' score was highest and the 'Avoiding Harm' score was lowest. Menstrual attitud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remenstrual distress (r=.37 p<.001) and the awareness and acceptance style of premenstrual coping (r=-.21. p=.021). And premenstru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elf-care coping style of premenstrual coping (r=.30, p=.001), the adjusting energy coping style of premenstrual coping (r=.45, p<.001) and the avoiding harm coping style of premenstrual coping (r=.48, p<.001).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positive attitude about menstruation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remenstrual distress. Also, premenstrual coping programs that consider the level of premenstrual distress will be needed for college women.

지역사회 가임기 여성의 생리대 사용 조사 (Use of Menstrual Sanitary Products in Community Women of Childbearing Age )

  • 단현주;정희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01-407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가임기 여성의 생리대 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의 만 19-40세의 가임기 여성 1,571명으로, 자료수집은 2020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88.9%(1,396명)가 일반 패드형 생리대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탐폰 5.6%(88명), 면 생리대 3.1%(49명), 생리 컵을 포함한 기타가 2.4%(38명) 순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용하는 생리대 종류의 차이는 나이(p=.006), 결혼상태(p=.005), 교육정도(p=.002), 연 소득(p=.018), 임신경험(p=.036), 및 월경규칙성(p=.022)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참여자들의 절반 이상(53.8%)이 면 생리대는 '아주 안전' 혹은 '안전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일반 패드형 생리대와 탐폰은 각각 27.9%, 20.1%가 '안전하다'고 응답하였다. 생리대 종류에 따른 월경불편감의 차이는 탐폰 사용자가 일반 패드형 생리대나 면 생리대 사용자보다 '가장 최근 월경'의 월경불편감 점수(F=4.092, p=.017) 및 '월경 전 4일'의 월경불편감 점수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178, p=.016). 따라서 가임기 여성의 생리대의 사용실태 및 생식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정상 여성의 월경 전후기 불편감과 식이섭취 수준에 대한 조사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Dietary Intake Level of Normal Women)

  • 김혜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3-495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dietary intake levels among normal women. Method: A prospective and descriptive study examined 38 women aged 23 46years of age. The data collection period lasted from April 1 to June 30, 2003.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keep a diary recording perimenstrual symptoms and food intake for 50 day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ymptoms of perimenstrual discomforts (F=6.95.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intake level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hases of a menstrual cycle. The significant dietary intake variables correlated to PMS included energy, protein, Vitamin E, Vitamin $B_2$, niacin, Vitamin $B_6$, folic acid, phosphorus, iron, and zinc. They were negatively related to perimenstrual discomforts. Conclusion: Balanced diet intake will be necessary for not only the perimenstrual discomforts but also the general health promotion of the entire population. The dietary and nutritional assessment should be done prior to nursing interventions, and nutritional counseling and education should be given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a further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composition on specific symptoms will be replicated with a large sample, and development of a diet intervention program for perimenstrual discomforts is recommended.

  • PDF

매일의 불편감 증상점수의 분석: 불편감 증후군의 탐색과 증상 변화추세의 검정 (Analysis of Daily Distress Symptoms: Threshold Estimation after Isolating the Distress Group)

  • 이원녕;송혜향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3-138
    • /
    • 2010
  • 총 28일에 걸친 매일의 불편감 증상점수에 근거하여 월경 전 증후군을 가린 후, 임상에서 의료인의 진단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월경 전 증후패턴의 시작점을 추정한다. 이러한 추정에 앞서 불편감 증상점수가 과연 변화 추세를 보이는가의 검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모수적 단순회귀식에 의한 검정법과 비모수적 검정법을 적용한다. 실제 여성에게서 수집된 자료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증상점수의 직선적인 변화시점을 알아내는 단순회귀 방법과 직선 형태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검정법은 최적이 되는 상황이 서로 다를 것이며, 이를 모의실험으로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