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출경향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3초

우분퇴비 처리에 따른 다층구조 토양내 음이온의 용출특성 변화 (Elution Patterns of Anions in Multi-layered Soils amended with Cow Manure Compost)

  • 김필주;정덕영;이병열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3
    • /
    • 1997
  • 비점오염원으로 토양과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우분퇴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에 연결한 다층토양칼럼을 가지고 음이온의 토양으로부터 용출경향을 조사하였다. 상부 칼럼은 건조 우분 퇴비를 0, 2,4, 6%의 비율로 Ap토양에 처리한후 균일하게 채웠고 하부칼럼은 15, 30, 45cm의 길이의 아크릴칼럼에 B층 토양을 용적비중 1.3g/$\textrm{cm}^3$으로 채운 후 결합하였다. 이렇게 조합된 칼럼을 충분히 포화시킨 후 증류수를 칼럼의 상부에서 일정 수두높이를 유지하면서 칼럼의 하부에서 수집되는 용출수의 수리전도도와 용출된 음이온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상부와 하부의 각각의 수리전도도는 3$\times$$10^{-4}$cm/sec 와 1.6$\times$$10^{-3}$cm/sec 이었고 비특정흡착특성을 지니는 대부분의 수용성 염소와 황산이온은 90%가 0.2 공극수량에서 그리고 대부분의 음이온은 1 공극수량이내에 용출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들 이온이 토양에 가해진 유기물에 의해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 음이온이 통과하는 토양의 깊이도 이들 음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특정과 특정 모두의 흡착특성을 가지는 황산이온의 경우 용출곡선이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용출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인산이온의 경우 조사된 5 공극수량 이내에서 전혀 용출되지 않았다.

  • PDF

$K_2O$-CaO-$P_2O_5$계 유리의 Fe, Cu, Zn 첨가에 따른 용출 특성 (Dissolution Properties of $K_2O$-CaO-$P_2O_5$ Glasses With Fe, Cu, Zn)

  • 김기민;강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59-46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10K_2O$-30CaO-$60P_2O_5$ mol%를 기본조성으로 하여 Fe, Cu, Zn의 미량성분을 첨가하여 유리를 제조하고 용출 특성을 평가 하였다. 제조된 유리는 미량성분의 첨가량에 따라 유리의 투명도가 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용출특성은 측정 4시간 뒤 pH값 증가되는 것으로 16시간 후 pH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여기서 pH의 증가는 염기성산화물이 용출되는 것으로, 감소는 $P_2O_5$구조인 망목형성구조가 붕괴되어지면서 산성이온이 용출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ICP관찰시에는 함량이 증가하면서 K, Ca, P이온의 용출량이 감소되었고, Zn, Cu, Fe이온의 용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PDF

유기산 첨가가 생선뼈 스프에 용출되는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cids on Mineral Contents and Composition of Fish Bone Extracts)

  • 이승언;남출륭구;대곡규자;부전규자;이미희;한재숙;서봉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5
    • /
    • pp.566-573
    • /
    • 2005
  • 본 연구는 작은 생선은 뼈째로 먹을 수 있지만 큰 생선은 생선뼈를 거의 이용하지 못하여 생선의 맥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질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유기산을 첨가해서 생선뼈 스프를 만들었을 때, 유기산의 종류와 가열시간이 뼈로부터 용출되는 칼슘, 인 함량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선뼈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무기질 함량은 생선뼈의 종류에 따라 달랐고, 큰 생선의 맥일수록 수분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유기산을 첨가하여 12시간 가열했을 때 스프에 용출된 칼슘은 잿방어뼈에 구연산, 사과산을 첨가하였을 때가 $61.34\%$$60.50\%$로 가장 많았고, 인의 용출도 칼슘과 같은 경향이었다. 칼슘과 인의 용출량은 참치뼈에 $4\%$의 사과산을 첨가하여 12시간 가열했을 때에 573mg, 78mg으로 가장 높았다. 참치뼈 스프의 칼슘과 인의 비율은 대조군에서는 칼슘보다 인의 용출$(0.21\~0.35)$이 많았으나, 유기산을 첨가하였을 때는 칼슘의 용출$(0.98\~10.86)$이 많았다. 단백질과 총 유리아미노산의 용출은 대조군보다 유기산을 첨가하였을 때가 증가하였다.

  • PDF

호수 퇴적물의 호기 및 혐기조건에서의 용출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ease Characteristics of Lake Sediments under Oxic and Anoxic Conditions)

  • 윤미해;현준택;허남수;권성현;조대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1003-1012
    • /
    • 2007
  • 호수 퇴적물의 용출로 인한 수질오염을 예측하고 퇴적 위치에 따른 용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 조건에 따른 용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질소계열, 인계열, COD를 분석하였으며, 모든 시료의 분석 방법은 호수 내부수의 염도가$(Cl^-)$ 2,000 ppm 이상이므로 해수 수질공정 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COD는 혐기조일 경우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증가한 반면, 호기조일 경우 증 감의 경향성이 없었다. $NH_3$-N의 호기조일 경우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감소하였고, 반대로 질산화 작용으로 인해 $NO_3$-N과 T-N은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증가하였다. $NH_3$-N, $NO_3$-N의 혐기조는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증가하였으나 탈질화 작용으로 인하여 T-N의 용출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O_4$-P, T-P의 경우 호기조에서 B지점의 용출율이 가장 낮았으며, 이는 용존 산소의 함량이 많아 무기물이 산화되면서 인의 용출이 억제된 것으로 판단된다. $PO_4$-P의 혐기조일 경우 A지점부터 C지점의 용출율이 서로 유사하였다. COD와 $NO_3$-N의 경우 혐기조보다 호기조에서 용출율이 높았으며, 그 외의 항목에서는 호기조보다 혐기조에서 용출율이 높았다.

밤소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밤속껍질차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 함량 분석- (The Development of Function Beverage from the Inner Skin of the Chestnut, Castanea crenate(I)- Analysis of Monosaccharides, Amino Acids and Caffeine Contents in Castanea crenata Tea Extract-)

  • 전병관;이종률;지준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6-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밤차로부터 용출한 차액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을 시판중인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의 차액과 비교분석함을써 밤차의 기능성 건강음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녹차의 차액에는glucose와 galactose약 20:1 정도의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따른 당류의 변화는 적다. 2. 밤차의 차액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등이 약 100:1:10의 비율로 존재하여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의한 변화는 적다. 특히 mannoxe는 천연에서 유리상태로존재하기 어려운 희귀한 유리당이다. 3. 결명자차 차액에서는 당류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결명자차의 amino산 함량은 현미녹착나 밤속껍질차의 아미노산 함량에 의해 1.6~1/7에 지나지 않았다.4. 현미녹차의 차액 중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methionine, alanine 등의 순서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밤차의 차액 중에 아미노산은 alanine, asparagine, aspartic acid, proline, val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alanine, asparagine, proline등은 현미녹차에 비하여 함유량이 많으며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glutamine 등은 상대적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아미노산의 요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6. 현미녹차는 카페인을 126~162 mg/L 정도로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밤차나 결명자차는 함유하지 않았다.

  • PDF

광미-산용액 용출실험에서 용해된 중금속의 화학적 존재형태 연구

  • 강민주;이평구;최병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13-215
    • /
    • 2006
  • 반응용액의 pH와 반응시간에 따른 용출실험 결과를 PHREEQC를 이용하여 용출된 중금속이 어떠한 화학적 형태가 우세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출용액에 용해된 Zn, Cd, Cu, Mn 및 Fe의 주요 존재형태는 free ion 및 sulfate complexes($metal-SO_4$)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pH 5와 pH 3의 조건에서 각 원소의 화학적 존재형태는 서로 유사하고,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free ion 상태로 존재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sulfate complexes로 존재하는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1에서 용출된 용액에 존재하는 각 원소의 화학적 존재형태는 sulfate의 농도가 크게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free ion 상태로 존재하는 금속이온의 함량의 증가비율보다 sulfate complexes로 존재하는 함량의 증가비율이 더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시멘트 그라우트재에서 $Cr^{6+}$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r^{6+}$ in Cement Grout Materials)

  • 김동우;이재영;천병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62-69
    • /
    • 2003
  • 그동안 고분자계열 약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한 시멘트 계열 약액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경미하게 다루어졌으나 최근 일본에서 시멘트계열 약액을 사용한 공사현장에서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의 용출로 일본 건설성에서는 이에 대한 규정을 발효하고 시행하여 엄격히 관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현장조건에서의 시멘트계 그라우트재에서의 6가 크롬 용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 배합비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현장조건에 따른 용출실험을 통하여, 시멘트계 그라우트재의 6가 크롬 용출 특성을 파악하였다. 먼저 원재료인 시멘트의 6가 크롬 함유량 실험을 한 결과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에서 22.1 mg/kg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호모겔 그리고 샌드겔에서의 용출실험 결과 폐기물 공정시험법에 의할 경우 규제기준인 1.5 kg/L를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나, 토양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할 경우 특히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가 4.85 mg/kg으로 ‘가’ 지역의 우려기준인 4 mg/kg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모의 주입장치를 이용한 실험결과 물시멘트 비와 주입압이 증가함에 따라 몰드 밖으로 나오는 배출액 중의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주입압이 4 이상일 경우 수질오염보전법상의 규정인 0.5 mg/L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최근 pH4의 산성비 및 매립지의 산생성 단계에서 pH 5이하의 침출수에 의한 그라우트재에서의 6가 크롬의 용출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경향을 실험한 결과 강산성 및 강염기 상태에서 6가 크롬의 용출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그라우트재가 주입되는 환경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해안 또는 매립지에 적용될 경우 해수와 침출수에 의한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초순수 중에서 양생 시켰을 때 보다 강도발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시멘트 종에 따라서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마이크로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도의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누출 및 6가 크롬의 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라우트재의 종류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은 현재 규제치를 초과하여 용출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과압 또는 과량의 주입이 6가 크롬의 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현장과 다른 특수한 현장에서는 강도 및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량을 고려한 재료 선택 및 배합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새로운 오메프라졸염의 개발 및 제제화 연구

  • 이계주;이기명;이창현;우종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9-329
    • /
    • 1994
  • OMZ과 HP-$\beta$-CD 포접화합물의 유형은 $A_{L}$ type의 가용성 복합체이며, CD, UV, IR, DSC, XRD pattern 및 $^1$H-NMR 방법으로 측정한 포접화합물의 결함형태는 OMZ의 benzimidazole부분이 HP-$\beta$-CD 공동에 포접된 형태이었고, OMZ과 HP-$\beta$-CD의 결합조성몰비는 1:1, 안정도 상수는 약 34 M$^{-1}$이었다. 또한 cholestyramine 수지와 OMZ 복합체는 방출양상이 신속하였다. OMZ-cholestyramine 수지염은 안정성이 양호하고 용출율이 우수한복합체로 경구용 재제를 개발할 수 있었으며, 용출시험 및 산 저항성이 양호하고 pellet의 제조에 있어서 core의 제조는 정제수 : 에탄올(7: 3) 결합액을 이용하여 lactose를 주로 사용하고 기타 PEG 6000, sorbitol, Avicel PH101, sodium lauryl sulfate 및 무수 PVP K-30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하고, 장용코팅의 내산성은 90.5% 이었으며, 소장에서의 용출경향이 85%이상이 10분 이내에 용출되어 규정에 적합하였다.

  • PDF

추출조건(抽出條件)이 홍삼(紅蔘)엑기스의 무기성분(無機成分)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Mineral Conten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 성현순;조시형;박명한;양차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7-390
    • /
    • 1985
  • 홍미삼엑기스를 제조할 때 추출용매와 그 농도 및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등의 추출조건이 홍삼엑기스의 조회분 함량과 무기성분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무기성분의 용출량과 이행율은 추출용매에탄올의 농도가 증가 될수록 낮아 졌으며 특히 70% 이상 농도에서 현저하였다. 물 추출구(區)의 경우 용출량은 K의 1.55%로 가장 높았고 Cu가 11ppm으로 가장 낮았으며 원료함량대비로는 Ca의 91.41% 용출이행으로 가장 높았고 Mg이 30.14%로 가장 낮았다. 추출온도 상승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소량씩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초기용출이행이 커 $1{\sim}3$회 추출에 80%이상이 용출되었다. 조회분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었고 몰 추출구(區)의 경우 3회 추출에 92.38%이상의 용출되어 70% 에탄올추출구(區)에 비하여 훨씬 높았다.

  • PDF

Soil Venting이 오염토양중 가솔린 성분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 1. 실험적 고찰 (Effect of soil Venting on Dissolution Potential of Gasoline Components in Contaminated Soil: Experimental Observation)

  • 염익태;이상현;안규홍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3-60
    • /
    • 1998
  • 주요 토양 및 지하수 오염물질인 가솔린에 대해 순수한 액상으로 존재할 경우와 오염된 토양으로 존재할 경우 물에 대한 용해거동을 각각 살펴보았다. 특히 휘발에 의한 가솔린 성분조성의 변화가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솔린 오염토양을 공기흐름으로 통기시켰을 때 토양 중 용출거동의 변화는 공기 중 휘발농도의 변화양상과 비슷하게 나타나며 그 경향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총량으로서의 가솔린 농도(TPH-GRO)는 휘발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75%정도의 무게감소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가솔린 개별성분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분자량이 높을수록 상대적인 농도증가폭이 크고 최고농도에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휘발이 진행될수록 공기 중 가솔린 농도가 용출 농도보다 훨씬 빠르게 감소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휘발에 의해 상당량의 가솔린이 제거되었을 경우 잔류가솔린으로 인한 위해성의 초점은 인근 대기오염보다도 지하수 오염에 맞추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