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융 역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Numerical Analysis of Chromium Distributions in Laser-Arc Hybrid Welding of Structural Steel Using Stainless Steel Solid Wire (스테인리스강 솔리드와이어를 이용한 구조용 강재의 레이저-GMA 하이브리드 용접에서 크롬 분포의 해석적 분석)

  • Cho, Won-Ik;Na, Suck-Joo;Cho, Min-Hyun;Lee, Jong-Sub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0-11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저-GMA 하이브리드 용접에서 용융풀 거동에 대한 3차원 과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철강재의 주요 합금원소 중 하나인 크롬의 용융풀에서의 거동을 구현하기 위해 크롬에 대해 추가적인 보전 방정식을 도입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합금원소 분포에 대한 용접 변수별 영향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zer)를 통해 분석한 시험결과와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용접변수 중 선행 조건이 합금원소 분포에 구별할만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용융풀의 거동을 지배하는 주요 유동 패턴의 상이함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

Characteristics of a 2-2 Composite Transmitting/P(VDF-TrFE) Receiving Wideband Focusing Ultrasonic Transducer (2-2 Composite 송신/P(VDF-TrFE) 수신 광대역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특성)

  • Ha Kang-Lyeol;Kim Dong-Hyun;Kim Moo-Joon;Kim Jung-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57-358
    • /
    • 2004
  • 생체 피부하 약 5mm이내 영역에 대한 고분해능의 B-모드 영상을 얻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축 방향 분해능 $30{\mu}m$ 이하인 VHF 대역 초음파 트랜스듀서로서 용융석영을 음향버퍼의 하여 그 양단에 송신용 2-2 composite와 수신용 P(VDF-TrFE)를 설치한 송수신 분리형의 집속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새로이 제안하고, 그 전기적 음향적 특성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2-2 composite 투께 $18{\mu}m$와 P(VDF-TrFE) 두께 $12{\mu}m$의 트랜스듀서는 중심주파수 43.0MHz, 비대역 $74\%$이며, 삽입손실이 25dB인 비교적 우수한 트랜스듀서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Generation of sub-10-fs Pulses from a kerr-Iens mode-locked Ri:sapphire Iaser (Kerr 렌즈 모드록킹된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에서 10fs 이하 펄스의 발생)

  • 홍경한;차용호;강영일;남창희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1 no.1
    • /
    • pp.43-46
    • /
    • 2000
  • We generated 9-fs pulses from a Kerr-lens mode-locked Ti:sapphire laser only using commercial optical components. Two sets of prisms pair made of fused silica were used to compensate group delay dispersion inside and outside the laser oscillator respectively, and broadband mirrors were used to obtain a broad spectrum. By comparison between reflectance curves of the broadband mirrors and those of previous ones, broadband mirrors which have high reflectance bandwidth of over 180 nm were found to be essential to produce sub-IO-fs pulses. ulses.

  • PDF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분리판 재료의 부식거동

  • 이충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5a
    • /
    • pp.21-21
    • /
    • 1998
  •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는 우주선 동력윈으로서의 이용이래, 보다 실용적인 발전 시스템을 목적으로 많은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저온형($<300^{\circ}C$) 과 고온형($500^{\circ}C<$)으로 구분된 수 있는데, 저온형 연료전지의 경우는 전극반응 특성상 귀금속 촉매가 필요한 데 비해, 고온형 연료전지는 이러한 귀금속 촉매가 필요없다는 점등에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저온형에 비해 다양한 연료가 가능하고, 대형화에 유리함며, 고온 페열을 이용할 수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FCFC)는 이러한 고온형 연료진지의 장점을 배경으로 현재 대규모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는 Li-K, Li-Na와 같은 용융탄신엽은 고부식성 전해질로서 대부분의 금속이 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CFC의 분리판은 셀간을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역할, 가스의 유로제공 및 가스 Sealing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분리판의 부식은 이러한 특성의 저하 및 전해질의 소모를 유발시켜 MCFC의 내구성에 커다란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Uchida 그룹은 MCFC의 분라판 재료 의 부식거동을 계동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Fe에 Ni 과 Cr을 첨가한 재료를 산화성가스 분위기하에서 $(Li+K)CO_3$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Ni과 Cr 둘다 20wt%이상 첨가시, 내식성융 가지는 결 과를 보고하였다2) 이 경우 보호피막으로서 NiO 와 $LiCrO_2$가 작용하는데, $LiCrO_2$가 용융탄산염 중에서 보다 안정한 것으로 부터, Cr의 첨가가 내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 단계 로서 Fe/Cr재료에 용-융탄산염 중에서 안정한 산화물을 형성하는 Al의 첨가효과를 검토하였다. Al의 첨가는 더욱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발견되었고, 약 4wt%의 첨가로 충분한 내식성을 가지 는 것을 보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한 산화물에 의한 내식성 향상은 전기진도도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다읍 단계로서 Ti산화물의 반도체적인 특성을 이용하고자 제 4의 원소로서 Ti첨가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Fe/Cr/AVTi재료가 뛰어난 내식성을 가지는 것은 관찰되었으나, 전도도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현재 MCFC는 실용화를 위한 고성능화의 하나로서 가압하에서의 운전을 시도하고 있다. 이 러한 가압하에서의 운전은 기전력의 향상 및 전극반응의 촉진 등으로 출력의 향상을 가져오나. 현재 문제로 되고 있는 Cathode극인 NiO의 용해/석출 현상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해, 이에대 한 대책으로서 Li-K보다 NiO의 용해가 적은 Li-Na탄산염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Uchida그룹에서 개발한 FeiCr/AVTi재료와 현재 분리판 재료로 사용증인 SUS 310, S SUS 316재료에 대해. 산화성 분위기의 5기압까지의 가압하에서, Li-K, Li-Na탄산염에 대하여 부 식거동을 검토한 결과, 가압하에서 내식성이 향상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유로서는 가압하에서 용융탄산엽의 증가된 산화력으로 보다 치밀한 내식성 산화물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Li-K, Li-Na탄산염에서의 부식의 정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SUS 316의 경우 탄산염에 젖은 부분에서 내식성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이상부식현상이 관찰되었다. 재료간의 내식성 정도에서는 Fe/Cr/Al/Ti이 가장 내식성이 뛰어났으며, SUS 310 또한 뛰어난 내식성을 보였다.

  • PDF

Petrology of the Taeheung-ri Lava in Southeastern Jeju Island (제주도 남동부 태흥리 용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 윤성효;고정선;박정미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
    • /
    • pp.17-28
    • /
    • 2002
  •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elucidate the petrograph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eheung-ri lava in southeastern Jeju Island. The lava is divided into the alkaline basalt and tholeiitic basalt. More than 4 layers of tholeiitic basalt are overlain by layers of alkaline basalt. Compared with alkaline basalt, tholeiitic basalt has lower contents of $K_2O$, $P_2O_5$, Ba and Ta, but slight higher contents of $SiO_2$ and CaO. The contents of Ba and Rb of all basalts are enriched, but those of Ni and Cr are depleted compared with primitive mantle compositions. All basalts show inclined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with LREE enriched more than HREE and alkaline basalt has relatively higher. The basalts of this study area are plotted in the field of within plate basalt on the tectonomagmatic discrimination diagram. Tholeiitic basalt has higher ratios of Zr/Nb, Y/Nb, and $Al_2O_3/P_2O_5$ than alkaline basalt. Both tholeiitic and alkaline basalt are similar in their K/Ba ratios. The geochemical data suggest that the parental magma of both basalts might be produced by different degrees of partial melting of similar source mantle. The tholeiitic basalt formed by higher degree of partial melting than the alkaline basalt.

Determi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USGS Geological Materials by ICP/AES (ICP/AES에 의한 지질시료 중의 희토류원소 분석)

  • 김정석;최광순;박용준;지광용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28-81
    • /
    • 1995
  •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ll 14 rare earth elements (REE) in geological materials. Samples were decomposed by using acid digestion followed by alkaline fusion. Group separation of the REE was achieved by solvent extraction with TOPO (trioctylphosphine oxide) and back extraction into HCl. The results for standard rock sample, AGV-1,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by US Geological Survey as well as reported values in other articles.

  • PDF

Optimization of Arc-Start Performance by Digital Controlled Wire Feeding System (디지털 제어형 와이어 송급 시스템에서의 Arc-Start 성능 최적화)

  • Ryu, Gyeong-Su;Kim, Dong-Cheol;Kang, Mun-Jin;Rhee, Se-H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1-21
    • /
    • 2009
  • 현장의 GMA 용접기는 일반적으로 용접기 본체로부터 와이어 송급장치까지의 거리가 약 50m 정도 떨어져 있고 송급장치로부터 토치까지의 거리는 약 3~5m 정도이다. 특히 국산 GMA 용접기의 와이어 송급장치는 DC 모터의 일종인 프린트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어기는 오픈루프 제어를 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 송급속도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장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송급장치와 토치간 와이어를 안내하는 케이블 도관의 마찰 때문에 토치 끝단에서의 와이어 송급속도가 불규칙해질 수밖에 없다. 용접 시 와이어 송급속도의 순간적인 변동 때문에 용접부의 전류 파형이 매우 불규칙해지고 이 때문에 용융된 용적이 용융풀로 이행하지 못하고 스패터로 비산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국산 SCR 용접기 및 인버터 용접기와 호환 가능한 디지털 제어형 와이어 송급장치와 Push-Pull 용접 토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 역 방향 제어기술을 적용하였고 아크 발생 시의 스패터 최소화 공정을 제안하였다. 실험은 SM490A 강재를 사용하여 BOP(Bead On Plate) 용접을 실행하였다. 용접 중 LabVIEW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 초기 전류, 전압 그리고 와이어 송급속도를 측정하였고, 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용접현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크 발생 초기의 스패터를 최소화하는 공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용접공정 변수인 아크 발생 초기의 와이어 송급속도, 와이어의 역송급 진행거리 그리고 역송급 판단 시점의 용접 전류 값은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Petrology of the Volcanic Rocks in Geoje Island, South Korea (거제도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 윤성효;이준동;이상원;고정선;서윤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1
    • /
    • pp.1-18
    • /
    • 1997
  • Andesitic pyroclastics and lava flows are deposited as a part of composite volcanoes by Cretaceous volcanic activity in Geojae Island, off the coast of Korea. The andesitic pyroclastics are composed of tuff breccia and lapilli tuff minor intercalated tuff. Lava flows are divided into dense and porphyritic andesite containing phenocrysts of plagioclase, pyroxene, and/or hornblende. The andesitic rocks represent charactersitcs of carc-alkaline BAR association with basalt, basaltic andesite, andesite, and dacite to rhyolite. Major element variations of the volcanic rocks show that $Al_2O_3$, total FeO, CaO, MgO and $TiO_2$ decrease with increasing $SiO_2$ but $K_2O$ and total alkalis increase, and represent differntiation trend of calc-alkaline rock series. In spider diagram, contents of Sr, K, Rb, Ba, and Th are relatively high, but contents of Nb, P, Ti and Cr are low. These petrochemcia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ose of rocks from island arc or continental margein related to plate subduction.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of volcanic rocks are paralle to subparallel, with LREE enriched than HREE, and show gradual increase of negative Eu anomaly from basalt to dacite and rhyolite, suggesting comagmatic fractional crystallization with minor effects of assimilation and magma mixing. Andesitic rocks are assumed medium-K orogenic andesites that formed in the tectomagmatic environment of subduction zone under normal continental margin arc.

  • PDF

A Report on Gneiss Dome in the Hongseong Area, Sou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경기육괴 남서 연변부 홍성지역에 발달하는 편마암 돔에 대한 보고)

  • Park, Seung-Ik;Kim, Sung W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4
    • /
    • pp.315-323
    • /
    • 2016
  • This study reports a gneiss dome in the Hongseong area, sou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This gneiss dome, named here as 'Oseosan dome' because it is located around the Oseosan, the highest peak along the western coastal area, is composed mainly of the Neoproterozoic to Paleozoic ortho- and paragneiss, mafic metavolcanic rock, and metadolerite. Migmatization affected these rock units, in which leucocratic(granitic) materials derived from anatexis frequently occur as patch and vein parallel to or cutting through internal foliation. The Oseosan dome shows overall concentric geometry and outward-dipping internal foliation, but also partly complicatedly changeable or inward-dipping foliation. Taking available petrological and geochronological data into account, the Oseosan dome is interpreted to be exhumed quickly into the upper crustal level during the Late Triassic, accompanied in part with anatexis and granite intrusion. In addition, extensional shear zone intruded by the Late Triassic synkinematic granite and sedimentary basin have been reported around the Oseosan dome. These evidences possibly suggest that the Oseosan dome formed i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ate Triassic extensional movement and diapiric flow. Alternatively, 1) thrust- or reverse fault-related doming or 2) interference between independent folds during structural inversion of the Late Traissic to Middle Jurassic sedimentary basin can be also considered as dome-forming process. However, considering the northern limb of the Oseosan dome, cutting by the Late Traissic granite, and the southern limb, cutting by contractional fault reactivated after the Middle Jurassic, it is likely that the domal structure formed during or prior to the Late Triassic.

Miscibility of Melt-mixed PLLA/PMMA Blends for Optical Film Application (광학 필름 적용을 위한 용융혼합된 PLLA/PMMA 블렌드의 상용성 연구)

  • Park, Eun Ju;Kim, In Seok;Park, Sang Seok;Lee, Ho Sang;Lee, Moo Sung
    • Polymer(Korea)
    • /
    • v.37 no.6
    • /
    • pp.744-752
    • /
    • 2013
  • The miscibility between poly(L-lactide) (PLLA)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was investigated using thermal analys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birefringence-free material at oriented state. The effect of methyl acrylate (MA) units as comonomer of PMMA on the miscibility was also studied. All the blends prepared in this study show composition-dependent single $T_g$'s between those of blend components and high transparency over the visible region, indicating the miscibility at molecular level and no discernible effect of MA units on it. No phase separation was observed at elevated temperature of $280^{\circ}C$, higher than the degradation of PLLA and PMMA. The interaction energy density in PLLA/PMMA blends with 17 mol% of MA was measured to be $-0.74J/cm^3$ from the equilibrium melting temperature depression based on the Hoffman-Weeks method. The blends show zero-${\Delta}$n behavior at a specific mixing ratio and the drawing ratio of 3 due to compensation of intrinsic orientation birefringence. Birefringence dispersion of PLLA/PMMA5 blends was also measur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for quarter-wave plates or polarizer protective fi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