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이용량

Search Result 73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딥러닝 알고리즘 LSTM을 활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위 예측)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1-291
    • /
    • 2020
  • 제주도는 강수의 지표침투성이 좋은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정책 및 연구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하수의 보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의 변동성 증가로 인해 지하수위의 변동성 또한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지하수위의 급격한 하강에 대비하여 지하수위의 예측 및 지하수 취수량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지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의 수자원 이용 여건을 고려할 때, 지하수의 취수량 관리를 위한 지하수위의 실시간 예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예측방법에 의한 제주도 지하수위 예측기간은 충분히 길지 않으며 예측기간이 길어지면 예측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인 Long Short Term Memory(LSTM)를 활용하여 제주도 남동쪽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1개 지하수위 관측정에 대해 지하수위를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R 기반의 Keras 패키지에 있는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입력자료는 인근의 성판악 및 교래 강우관측소의 일단위 강수량자료와 인근 취수정의 지하수 취수량자료 및 연구대상 관측정의 지하수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자료의 기간은 2001년 2월 11일부터 2019년 10월 31일까지 이다. 2001년부터 13년의 보정 및 3년의 검증용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매개변수의 보정 및 과적합을 방지하였고, 3년의 예측용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LSTM 알고리즘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목표 예측일수는 1일, 10일, 20일, 30일로 설정하였으며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모의결과의 평가지수로는 Nash-Sutcliffe Efficiency(NSE)를 활용하였다. 모의결과,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1일 예측의 NSE는 각각 0.997, 0.997, 0.993 이었고, 10일 예측의 NSE는 각각 0.993, 0.912, 0.930 이었다. 20일 예측의 경우 NSE는 각각 0.809, 0.781, 0.809 이었으며 30일 예측의 경우 각각 0.677, 0.622, 0.633 이었다. 이것은 LSTM 알고리즘에 의한 10일 예측까지는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자료를 매우 적절히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20일 예측 또한 적절히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본 연구대상지점에 대한 2주일 또는 3주일의 안정적인 지하수위 예보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LSTM 알고리즘을 통한 실시간 지하수위 예측은 지하수 취수량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Water Quality Analysis on Climate Change and Dam construction (기후변화와 저수지 건설에 따른 수질분석)

  • Kim, Dong-Il;Choi, Hyun-Gu;Park, Tae-Wo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3-193
    • /
    • 2011
  • 국제기구인 정부간 기후변화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에서는 기후변화가 기온 상승에 따른 증발산량의 증가, 강수량 및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의 변동 등을 초래하여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을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IPCC 4차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현재보다 최대 $6.3^{\circ}C$정도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구평균기온이 $3.0^{\circ}C$ 증가할 경우 아시아에서만 연간 700만 명이상이 홍수피해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온은 전구평균기온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1.5^{\circ}C$ 정도 상승하였으며, 최근 50년간의 강우일수는 감소한 반면 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 호우일수의 발생빈도는 증가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의 물수지 해석과 관련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온 및 강수량 증가에 따른 물순환 과정을 모의하고, 농업용수, 댐건설, 도시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 인위적인 환경 변화 및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를 정량화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한국건설기술원, 2007). 이를 위하여 단기적이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유출분석을 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실측 자료의 한계 및 이러한 조사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의 한계 때문에, 유출해석 모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 건설예정인 미계측 호소의 유량과 수질을 모의하기 위하여 하천, 하구, 호소 및 해역에 고루 적용할 수 있는 3차원 수리 동력학적인 모델인 EFDC 모형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수질을 모의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하는 WASP 모형을 도입하였다. 향후, 내성천의 영주댐 건설과 같은 큰 변화가 발생하였을 기후 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EFDC와 WASP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수온의 변화를 통하여 A2, B1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2020년, 2050년, 2080년의 수질(BOD, TN, TP)변화를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EFDC 및 WASP 모형의 연계를 통한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의 저수지 수질예측 모의를 수행한 결과, BOD, TN, TP 등 수질농도 변화는 2020년에서 2080년도로 갈수록 BOD, TN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TP농도는 감소하였다. 시나리오별 변화 특성은 TN, TP 농도는 A2 시나리오가 다소 높고, BOD 농도는 B1 시나리오가 A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FDC와 WASP을 이용하여 미계측 호소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적용하여 수질변화를 예측하여 보았는데,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유량변화와 수질 항목간의 상간관계 정립 및 수질 모의의 불확실성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ptimum Physical Property of Media for the Production of Small Potted Ardisia in Capillary Mat Irrigation System (매트재배에서 Ardisia 소형분화 생산에 적합한 배지의 물리성)

  • Lee, Dong-Soo;Kwon, Oh-Keun;Lee, Young-Ran;Lee, Yong-Beom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8 no.4
    • /
    • pp.316-325
    • /
    • 2009
  • Adequate conditions of water content and aeration of container media ar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oduction of pot plan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optimum physical property of media for the production of small potted Ardisia in capillary mat irrigation system. The plant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Ardisia pusilla and Ardisia japonica. Seven substrates were formulated by blending perlite or fresh rice hulls at 20%, 40%, 60% (v/v) with sphagnum peat. Total pore space (TPS) increased by blending sphagnum peat with fresh rice hulls, but decreased by blending sphagnum peat with perlite. As fresh rice hull (FRH) and perlite content increased, air filled pore space (AFP) of substrate increased but container capacity (CC) decreased. Substrate blended with fresh rice hull was higher AFP than blended with perlite and the rate of increase was higher for FRH-containing substrate. As AFP increased, the $CO_2$ concentration in the pot decreased and the $CO_2$ concentration of substrate blended with FRH was higher than blended with perlite. The fresh and dry weight of Ardisia pusilla and A. japonica was the highest in the substrate contained 60% FRH, but the ratio of shoot dry weight to root dry weight was the lowest. The optimum total pore space, air-filled pore space, water holding capacity of substrate for the growth of Ardisia pusilla and A. japonica in the capillary mat irrigation system were 82.8%, 25.6%, and 57.2% respectivel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ice Structure of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in Korea (국내 광역상수도 요금제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Kim, Yeon-Bae;Heo, Eun-Nyeong;Kim, Tae-Yu;Kim, Wan-G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5
    • /
    • pp.537-545
    • /
    • 1999
  • This study examines three counterplans for the improvement in price structure of Korean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First, price differentiation between industrial and residential water uses is analyzed using several pricing method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industrial water price by the Ramsey pricing method is needed to be two to two and half times higher than the price of residential water to achieve maximum social welfare. Second, peak-load pricing is then studied to seek for the effectiveness of seasonal differentiation in water price. It has been found that consideration of dam facilities and their functions is the key factor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seasonal differentiation in water price. Finally, the discuss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contract pricing system to the multi regional water supply system to achieve optimal investment plan for the future water demand is presented. We h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contract pricing system will greatly increase the efficiency in future investment plan of the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 PDF

Evaluation of Virtual Water Calculation Method in Korea (우리나라 가상수량 산정방법의 적용성 평가)

  • Ahn, Jae-Hyun;Lee, Jae-Geun;Lee, Seung-Ho;Hong, Il-P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6
    • /
    • pp.583-595
    • /
    • 2010
  • Virtual water is defined as the volume of water to produce commodities and provide service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ony Allan since the early 1990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a volume of virtual water trade in Korea from 1998 to 2007 by applying the evaluation method of unit virtual water volume to agricultural, live stock and industrial products, which is developed by Chapagain and Hoekstra (2004). Also, the concept of water footprint is deployed to quantify the volume of virtual water trade between countries. The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 of unit virtual water volume by employing the method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nd comparing this with the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the Korea Water Vision 2006. The research outcome shows that Korea has a net virtual water import of 32 billion $m^3$ on average in the form of agricultural, live stock and industrial commodities whose volume gradually increases. The gap between the volume of virtual water import of agricultural and live stock commodities and the total volume of agricultural water use reaches approximately 600 million $m^3$. This figure can be negligible considering the total volume of water demand in Korea, around 16 billion $m^3$, which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method in terms of analyzing water balance.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Loss from Direct Seeded Rice Field at Early Stage (건답(乾畓) 직파(直播) 논에서 초기(初期)의 암모니아 휘산(揮散) 경감(輕減)을 위한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의 효과(效果))

  • Jung, Yeong-Sang;Ha, Sang-Keun;Cho, Byung-Ok;Lee, Ho-Ji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9 no.1
    • /
    • pp.8-14
    • /
    • 1996
  •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from directly seeded paddy under dryland condition at early stage was tested. Effect on urea hydrolysis was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study comparing with use of thiourea, a urease inhibitor, under different water content. A field measurement of volitilized ammonia with phosphate-glycerol ammonia absorber was conducted for surface treated urea, phosphate coated urea, phosphate coated slow-release fertilizer and organic fertilizer. Through laboratory study, hydrolysis rate of phosphate coated urea at three days after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of urea, however, the rate after one week was same. Thiourea addition retarted urea hydrolysis. By field measurement, ammonia volatilization was effectively reduced by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iver water intake us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ing station (양수장의 가동시간을 이용한 하천수 취수량 산정방안 연구)

  • Baek, Jongseok;Kim, Chiyoung;Cha, Jun-Ho;Song,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2
    • /
    • pp.89-96
    • /
    • 2020
  • Water management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duce and accumulate qualified basic data for major rivers. Howeve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river water has been weak since the artificial water circulation process, such as the intaking and drainage of agricultural water,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basin, which includes many agricultural land.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the power usage method (operating time method) based on the running time can be applied and improved among indirect flow rate measurement methods used to investigate flow rates collected by the riverside for agricultural water purposes, and thus the resultant data of high reliability can be obtained at low cost. The operation time method is suitable for small-scale water pumping st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real-time power supply data.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actual flow rate, and it was found that the flow rat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time method reflecting the level of the stream to which the inlet of the pumping station is connected can be reasonably matched with the actual flow rat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vestment cost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was highly efficient by generating qualified flow data at low cost through comparison with direct flow rate measurement methods. If flow data is secured by applying the operation time method to large and small water farms located along the riverside, it is expected that more quantitative and integrated stream water management will be possible.

Granulation of Fine Zeolite Powder by Adding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첨가(添加)에 의한 Zeolite미분(微粉)의 입상화(粒狀化))

  • Choi, Jyung;Choi, Choong Ryeol;Lee, Dong Ho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8 no.2
    • /
    • pp.123-129
    • /
    • 1995
  • For the propose of increasing the value added, zeolite powder was granulated by adding Polyvinyl Alcohol (PVA) as cementing material.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PVA for granulat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granule were investigated. Four percent PVA stock solution was made by adding distilled water at $90^{\circ}C$ water bath and incorporated with zeolite. The contents of water stable granule above 2.0mm in diameter was 98.0% in the case of 0.3% PVA addition and almost 100% in the case of 0.6% PVA addition. Increasing PVA concentration of granules increased the hardness and decreased the infiltration rate and the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of granules, However, the drying method hardly affec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anules. With the increase in the mixing ratios of kaolinite or bentonite to zeolite, the hardness of granules increased but high water contents of granules resulted in rapid decrease in the hardness of granules. However, when smectite or perlite was mixed with zeolite, the increase in mixing ratios to zeolite resulted in the decrease in hardness, the increase in the infilteration rate and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of granules.

  • PDF

Water resources planning for the Sesan and Srepok river basin in Vietnam using DSS-2S based on MIKE Hydro Basin (MIKE Hydro Basin 기반 DSS-2S를 활용한 베트남 Sesan 및 Srepok 강 유역 수자원 계획 수립)

  • Choi, Byung Man;Ko, Ick Hwan;Kim, Jeongkon;Pi, Wan Seop;Oh, Yoon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43
    • /
    • 2021
  • Sesan강과 Srepok강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가 공유하는 3S강 유역 (Sesan강, Srepok강, Sekong강)의 일부로 국제 공유하천으로 관리되고 있다. 3S강 유역은 Mekong강의 중요한 지류이며 Mekong강 유역의 상당 부분을 구성한다(Mekong강 유역 면적의 10%, 연간 총 유출량의 20%). 베트남에 속해 있는 Sesan강 유역면적은 11,255km2, Srepok강 유역면적은 18,162km2이다. Sesan강과 Srepok강의 상류는 베트남 중부 고원의 긴 산맥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류는 캄보디아에 위치해 있어 상·하류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Sesan강과 Srepok강 유역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가뭄, 수력발전소 건설로 인한 유출량 변동에 따른 상·하류 분쟁, 사면침식 및 퇴적 등 많은 문제와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orld Bank의 "Viet Nam Mekong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M-IWRM) Project의 일환으로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구축한 수자원관리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DSS-2S"를 활용하여, Sesan-Srepok강 유역의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DSS-2S는 MIKE Hydro Basin을 기반으로 SWAT모델 등과 연계 하여 구축되었다. DSS-2S는 2S 유역의 모든 주요 하천과 지류를 반영하였으며. 여기에는 17개의 수력발전 댐과 주요 지류에서 용량이 3백만 m3 이상인 기타 저수지가 포함되었다. 이 보다 작은 용량의 저수지는 대표적인 저수지로 그룹화 되어 반영되었다. 기후변화 및 사회-경제적 발전계획 등을 반영하여, 2030년과 2050년을 목표연도로 생활, 공업, 농업, 관광, 유지용수 등 용수 수요를 추정하였다. 50% 및 85% 빈도의 공급 가능성을 고려하여 물 배분은 물 수요를 충족하고 지하수 개발 최소화를 기준으로 고려되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2S강 유역의 총 수자원은 32.2억 m3으로 그중 지표수자원은 29.2억 m3, 안정적으로 이용 가능한 지하수자원은 2.97억 m3으로 분석 되었으며, 지표수와 지하수 연계를 고려하면 전체 2S 강 유역에 물 부족하지는 않으나, 개별 공급 지점을 고려할 때 4월과 5월에 일부 지역에서 물 부족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 된다. 장래 물 부족 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으며, 본 성과는 베트남 중앙 정부의 장기수자원 종합계획 수립의 기본 자료로 활용 될 예정이다.

  • PDF

Monitoring of Groundwater quality according to groundwater use for agriculture (농업용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질 모니터링 평가)

  • Ha, Kyoochul;Ko, Kyung-Seok;Lee, Eunhee;Kim, Sunghyun;Park, Changhui;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3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에 농업용수(벼농사용)로서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시기별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남 홍성군 양곡리와 신곡리 일부를 포함하는 면적 2.83 ㎢(283.3 ha)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연구지역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분포 및 시간적 변화 특성 평가를 위하여 2019년 2회(7월, 10월)에 걸쳐 지하수 관정(21개소)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샘플은 현장에서 온도(T), pH, 용존산소(DO) 및 전기전도도(EC), 산화환원전위(Eh) 등을 측정하였고, 실험실에서 주요 양이온 및 미량원소(Ca, Mg, Na, K, Si, Sr), 음이온(F, Cl, Br, NO2, NO3, PO4, SO4), 알칼리도, 용존 유기탄소(DOC)와 용존 유기물(DOM) 등을 분석하였다. 지하수 수질조사 결과, 전체의 14~15개소(67~71%)가 Ca-HCO3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음으로는 Ca-Cl 유형이 4~5개소(19~24%)가 관찰되었다. 얕은 심도의 관정에서 상대적으로 심도가 깊은 관정보다 대부분 성분(TDS, Ca, Mg, Na, K, Cl, SO4, HCO3, DOC)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지하수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다변량통계분석법인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과 계층적 군집분석(HCA: Hierachical Cluster Anlaysis)를 수행한 결과, 초기 3개 주요 고유성분(eigenvalue)는 PC1 54.0%, PC2 14.2%, PC3 12.3%로 전체 분산의 88.3%를 설명할 수 있었다. PC1은 Ca, Mg, Na, K, Cl, SO4, DOC가 주요한 영향 인자였으며 PC2는 HCO3, NO3, DO에 영향 받음을 확인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연구지역 지하수는 Na-Cl 유형의 C-3 관정을 제외하고는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되어 졌다. 다변량통계분석의 결과에서도 수리지화학, 동위원소, 용존유기물 등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한 연구지역의 수질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지역은 차시기 동안 수질변화는 일부 관정을 제외하고는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관찰되지는 않았고,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위 회복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