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 학습만족도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커뮤니티 보조의 팀 학습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공유된 정신모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Line Community Assisted Team Learning Activities o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on the Scores of Shared Mental Model Subscales)

  • 전명남;박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41-552
    • /
    • 2012
  •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커뮤니티 보조의 팀 학습(Online-Community Assisted Team Learning: OCATL)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공유된 정신모형(Shared Mental Model: SMM)'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내는데 있다. 각기 다른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학기 동안 두 개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우선, 연구1에서는 OCATL을 실시하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33명(남학생 80명, 여학생 53명)의 참가 대학생들의 OCATL 참여 전 후 학점에서의 평점평균(GP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OCATL 활동에는 '오리엔테이션', '협동학습 세미나', '온라인 학습커뮤니티 보조의 학기별 16시간 이상의 팀 학습', '최종보고서 제출'의 과정이 포함되었다. OCATL 활동 전후의 학점에서의 점수변화를 t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연구2에서는 OCATL을 실험집단(10팀)에 제공하고 통제집단(15팀)에는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보조를 제외한 팀학습을 하도록 하여 활동이 종료된 후에 SMM에서의 척도 점수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총 학생수는 74명이었다. SMM 측정은 Johnson(2011)이 개발한 SMM 척도의 단축문항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팀 학습 이후 측정한 SMM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변인분산분석(MANOVA) 결과,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환경을 지원된 팀학습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SMM의 하위 구성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집단을 독립변인으로 한 단변랑 분산분석(ANOVA) 결과, '일반과제와 팀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역동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팀만족도' 점수에서 실험처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방향 탐색 (Exploiting Directions i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 Using Zoom)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84-290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확장 가능성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교육학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줌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독해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주었고 만족하는 이유로는 체계적인 수업 진행 및 수업의 질, 학습의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의 확장 가능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세세한 내용 설명과 빠르면서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언택트시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 연구 -대학 수학 수업에서의 다양한 수업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Online Classes -Focused on Various Teaching Methods in College-)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63-73
    • /
    • 2021
  •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일반 대학에서 갑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 수업은 학력저하에 대한 많은 우려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던 같은 과목(미적분학I)의 같은 내용의 수업을 100% 온라인수업으로 수행하면서 그에 걸맞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오프라인 수업 때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우월한 성과를 보여주었고 학습자들의 인식 및 만족도에 있어서도 온라인수업의 장점들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온라인수업의 성과라기보다는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에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테크놀로지 활용이 더하여진 교수자의 강의 운영에서 비롯된 결과로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이라는 매체의 차이보다는 교수학습방법의 완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음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로도 온라인수업의 잠재성과 비전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로서 향후 더욱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검증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소셜미디어 어낼리틱스 기반 서비스품질 평가: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Evaluation based on Social Media Analytics: Focused on Airline Industry)

  • 한명기;최병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7-181
    • /
    • 2022
  • 항공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효과적인 항공사 서비스 품질 측정은 주요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특히 빅데이터 어낼리틱스가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게 됨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작성한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항공사 서비스 품질 측정 연구들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리뷰 제목을 분석에 활용하지 않았다는 점, 학습 데이터 셋 구축을 위한 레이블링(labeling)에 있어 사람의 개입이 많이 요구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에 의존한다는 점, 서비스 품질 차원 분류에 있어 항공사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목과 본문을 포함한 온라인 리뷰 전체를 자가학습(self-training)과 감성 분석을 활용해 AIRQUAL 서비스 품질 차원으로 분류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교한 서비스 품질측정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품질 차원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리뷰로부터 AIRQUAL의 다섯 가지 서비스 품질 차원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각 서비스 품질 차원은 모두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리뷰 제목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항공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품질 차원 측정 및 이의 효과에 대한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학문 및 실무적 의의가 있다.

자기조절학습과 UDL설계 학습모형을 적용한 e-멘토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UDL study model Implementation for e-mentoring system)

  • 이정훈;우진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99
    • /
    • 2011
  • 성인학습자는 일반적으로 자기조절학습이 뛰어나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성이 높지만,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는 오랜 기간 학습의 중단과 과거 집합교육에 익숙하여 성인학습자의 장점인 자기조절학습이 쉽지 않아 학업저하 및 학업포기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과 UDL설계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것을 적용한 e-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H 사이버대학교 신.편입 학습자를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 100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전략질문지(MSLQ)를 기반으로 총 36문항의 질문지로 구성된 학업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성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1학기의 성적, 재등록률, 학습시간을 추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성적)와 학업지속성(재등록률, 학습시간)이 높음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원격대학교 성인학습자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e-러닝 교육 부적응 문제를 해결을 할 수 있는 방향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other behaviors taken by Nursing student during online lectures)

  • 최은영;윤지영;박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33-441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딴짓은 흥미도(r=-17, p=.003), 이해도(r=-19, p=.001), 필요도(r=-12, p=.031), 학습동기(r=-12, p=.046), 자기조절효능감(r=-11, p=.040), 학습자신감(r=-14, p=.017), 강의만족도(r=-22, p<.001), 강의몰입(r=-24,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자신감(β= -.20), 토론 및 발표선호정도(β= .19), 강의몰입(β= -.15), 강의만족도(β= -.15)이 딴짓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F=9.95,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0.6%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수업에 있어 간호대학생의 딴짓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블렌디드 러닝 수업 참여형태에 따른 성인대학생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dult Colleg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Blended Class Participation)

  • 정복임;김태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97-907
    • /
    • 2023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 참여형태에 따른 성인대학생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성인학습자의 블렌디드러닝 수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LiFE 사업(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2개교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경우 블렌디드 러닝 과목으로는 교양+전공수업에 참여하는 비율이 77.8%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을 참여하는 장소로 자택이 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교·강사 교수법 만족도는 '보통'이상이 95.2%로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 만족도에 대해서는 '그렇다' 이상이 96.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블렌디드 러닝은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들에게 성인맞춤형으로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 중요한 교수학습방법 중의 하나이다.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은 전통적 강의실의 교수중심의 일방향적 내용전달식 수업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알 수 있다.

멀티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for Multi-contents Service)

  • 김지선;박진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115-119
    • /
    • 2010
  • 교육의 주체가 교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주도성을 촉진시키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운 웹 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주목을 받아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교육에 있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 시에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강의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강의 콘텐츠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동영상 강의, 슬라이드 강의 및 e-text 강의 3가지로 나누어 서비스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학습자와 조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온라인 멘토링이 가능하도록 학생과 조교를 1:1로 매칭하였다. 구현 시에는 관리자, 학생, 조교 모듈로 각각 나누어 구현하였으며, 실제 교육 활동에 적용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와 실력 향상 효과 및 온라인 교육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 부분에서는 전체 67.2% 이상이 만족함을 보였으며, 교육 후 실력 향상 효과 면에서는 전체 86.9% 이상이 학습자가 본 시스템을 통한 교육 후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여 본 논문에서 구현한 학습 시스템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 수업의 학습 만족도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that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

  • 홍미경;안영태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27
    • /
    • 2021
  • The paper,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ich becomes prolonged for reason of COVID-19, on 80 students belonging to the aviation and aeronautics, proposed more concrete direction for raising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 by analyses of various standpoint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8 detailed elements of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es, first, it turned out that, among detailed elements of self -initiated learning ability, relatively high scores were showed in basic self management ability, grasp of resources for learning, attribution of efforts to results, and selection of learning strategies. Second, in correlation between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detailed ele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es, the score of the two elements: learning goal setting and continuance of learning execution is low, so that it is necessary to note the two elements. Third, as to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the average of female students is high and in learning satisfaction,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was high.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first-class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 learning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e second-class students. Fourth it turned out that, regarding a difference, both of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dismissed and thus there is no difference. Fifth, as to the effects of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both of a co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ly,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in online class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Total Remote Classes on Lecture Satisfaction due to Coronavirus disease-19: Focusing on Radiological Science Majors)

  • 황철환;양성희;구효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81-390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에서 방사선학 전공자들의 강의만족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영남권 소재 3, 4년제 방사선(학) 전공자 458명을 대상으로 강의만족도, 교수실재감,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행동조절능력, 원격수업의 용이성에 대해 2020년 9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강의만족도는 학년, 자가 복습시간,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실재감, 원격수업의 용이성과 뚜렷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모형에서 강의만족도는 원격수업의 용이성, 교수실재감, 자기효능감, 학습동기를 통해 45.7%의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확대가 예상되는 대학의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