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수업선호도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한 학습자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online class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and levels of school using Apriori Algorithm)

  • 김진희;황두희;이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3-39
    • /
    • 2022
  • 본 연구는 학습자 특성(성별 및 학교 급)에 따른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7개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학생 4,8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유효데이터인 4,524명 학생들의 성별 및 학교급을 기반한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관규칙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7개, 중등 4개, 고등 5개 등 총 16개의 규칙을 도출하였으며, 학교급과 무관하게 여학생들은 메이커활동 중심 수업을, 초·중 남학생은 가상체험중심 수업을 공통적으로 선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남학생은 SW중심수업을, 여학생은 메이커활동 중심 수업을 선호하였으며, 중학생의 경우 남여 모두 가상체험중심 수업을 선호하였다. 반면 고등학생은 교과별 강의중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의 주체자인 학생이 가진 온라인 수업의 요구를 설명하는 실증적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온라인 수업의 다각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 탐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활동 및 모델 설계, 온라인 수업을 지원하는 플랫폼 개발, 여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한 학습자특성과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 이영림;임희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38-1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 대학 온라인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특성과 선호도를 살펴보고 분석하는 데 있다. 총 101명의 온라인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이 학생들 개인의 특성과 온라인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요인들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녹화영상으로 학습한 학생들이 실시간수업으로 학습한 학생들보다 온라인수업이 더 효과적이라고 답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온라인학습 시 어려웠던 점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학습과 교수자에게 질문하기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온라인 학습이 비효과적일 확률이 높았다. 온라인 강의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들과는 달리 과제수행시간이 많은 학생들에게는 온라인수업이 더 효과적일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보다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유형의 학생들에게 온라인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온라인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의 특성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온라인수업을 설계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대학 온라인 토의수업의 실제와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racticalities an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Classes at Universities)

  • 김현영;장옥선;이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71-284
    • /
    • 2021
  •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토의수업의 활용 실태 및 효과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총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토의수업의 운영 실제와 그 효과에 관한 인식을 진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F검증, T검증, Scheffe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OVID19 사태 이후 대학에서는 '비실시간 녹화수업'과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 방식이 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수업 방식에서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은 '토의수업 선호도'에 정적 영향을 주며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토의수업 참여에 대해 대학생들은 창의사고능력 확대를 위한 기반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토의방식과 절차에 대한 학습자의 충분한 인지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원활한 의사소통과 교류를 통한 강화가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온라인 학습콘텐츠 유형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f learning efficiency of learner's preferenc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e-learning contents type)

  • 최은영;박정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3-214
    • /
    • 2017
  • 본 연구는 K-MOOC의 활성화에 따라 온라인학습콘텐츠 유형과 학습자 선호도, 학습동기 변인들과의 관계가 학업성취, 만족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육개발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e-learning 콘텐츠 개발유형 선택 기준에 대하여 다양한 과목성격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는 확장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원격수업 학습경험 탐색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 이만기;조은별;임효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21-430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내 원격수업에 따른 체육계열 대학생의 교육경험과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체육계열 대학생 278명에게 온라인을 통해 원격수업 현황, 원격수업인식(선호도, 만족도)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과 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증, ANOVA,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적용하였다. 상기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체육계열 원격수업 유형에서는 이론 및 실기수업 모두 동영상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둘째, 원격수업 유형의 선호도에서는 이론 및 실기수업 모두 동영상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강의장면 촬영형, 음성강의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원격수업에 있어 이론수업과 실기수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유형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없었다. 서술형 응답을 통해 과제의 적절한 활용 여부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반영하여 체육계열 원격수업의 방향과 향후 연구 문제를 제안하였다.

머천다이징 교과과정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한 학습테크롤로지에 대한 대학생들의 시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udent Perspectives on Web-Based Learning Technology in Merchandising Courses)

  • 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88-179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머천다이징 프로그램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한 학습시스템(e학습시스템)인 WebCT를 의류학과내의 머천다이징 교과과정에서 운영하였을때 학생들이 경험한 여러가지 시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는 온라인 병행강의 혹은 온라인 강의가 시도된 바 없는 한 미국대학에서 WebCT를 처음 도입한 후 2년의 기간 동안 학생들이 시스템에 대하여 느끼는 편의성과 유용성 그리고 선호도와 만족도가 어떻게 바뀌어나가는지 통시적으로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경향이 수강학생들의 학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2년 동안 매학기 평균 1.5개 정도의 WebCT운영강의에 노출된 학생들이 매 학기말마다 WebCT의 편의성, 유용성 그리고 선호도와 만족도를 묻는 설문에 응하였으며 각 학생들의 최종성적이 함께 데이터화 되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인터넷이나 컴퓨터사용여부는 더이상 e학습시스템의 걸림돌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은 시스템을 무시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4년간의 대학생활 중 일찍 WebCT에 노출될수록, 한꺼번에 여러과목의 WebCT과목을 들을수록, WebCT수업을 경험할수록 그리고 여학생일수록 WebCT가 유용하다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선호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탔다. 한편 WebCT에 대한 선호도와 만족도는 한학기 동안 수강 후 학생들의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형 온라인 강좌의 설계와 운영 방안 모색: 재학생, 고등학생,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Effective Design and Operation of Massive Online Courses: A Survey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Needs)

  • 장진영;김령희;손나경;신효정;정현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73-80
    • /
    • 2023
  • 21세기 들어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활성화로 온라인 강좌와 웹기반 커뮤니케이션의 사용이 고등교육 분야에서 증가되어 왔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 교육의 특성은 대학 캠퍼스를 국내외로 확대하고 대학교육의 수혜자도 일반인과 타대학 학생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또한 학령인구의 감소, 대학 구조의 재편과 같은 변화도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교 재학생,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 대형 온라인 강좌를 필요로 하는 영역, 현재 개설된 대형 온라인 강좌의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니즈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K대학교 재학생의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만, 각각의 온라인 강좌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나 온라인 강좌의 체계 통일성을 높여야 함과 온라인 강좌를 원활하게 수강할 수 있는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 자연과학에 대한 선호도에서 일반인과 재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오고 있는데 수학, 물리와 같은 과목을 선수과목으로 하고 온라인 강좌로 만들어서 전공 수업에 대비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인의 경우 인문학 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고등학생과 재학생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교양함양이라는 강의 목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웹듀이를 활용한 분류 교육에 대한 연구 - DDC 매체 유형별 학습성과와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 (A Study on Classification Education Using WebDewey: Based on Learning Outcomes and Learner Satisfaction Survey by DDC Medium Type)

  • 백지원;최예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21
    • /
    • 2021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분류 수업에서 향후 온라인 매체로만 제공되는 DDC와 관련된 교육을 준비함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DDC의 인쇄본과 웹 버전을 활용한 NCS 기반의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2차에 걸친 직무능력평가를 통해 매체별 학습성과를 분석하였으며, 매체별 활용 기능,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매체의 차이는 학습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 시 주로 사용한 매체는 매체에 대한 유용성과 선호도, 그리고 향후 매체 활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웹듀이를 활용한 DDC 교육 설계 시, DDC 인쇄본과 비교하여 DDC의 구조와 분류 항목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위한 교육, 웹듀이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대한 교육, 전조합 번호에 대한 상대적인 이해와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교사와 학생의 사회적-과학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주제 선호도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 of Socio-Scientific Issues Topic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80-191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중,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가 선호하는 SSI 주제를 조사하여 학교급별 학생과 교사가 선호하는 SSI 주제의 유사성을 코사인 유사도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 566명, 교사의 327명이었다. SSI 관련 선행연구 논문과 프로그램에 포함된 SSI 주제 60개를 환경, 과학기술, 보건·의학, 기타 사회 문제 영역로 구분하고 목록화하여, 연구 대상인 학생 또는 교사가 선호하는 주제 5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은 서베이몽키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학생 및 교사별로 6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주제의 선택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선택된 주제의 빈도를 기준으로 벡터 값을 계산하고, 학교급별 학생 간, 교사 간, 교사와 학생 간의 코사인 유사도를 측정하여 주제 선호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학교급별 집단간 SSI 선호 주제 유사도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0.982)가 초등학생과 중학생간(0.651) 또는 초등학생과 고등학생간(0.662)의 코사인유사도보다 높았다. 둘째, 교사의 학교급별 집단간 SSI 선호 주제 유사도는 초등, 중, 고등학교간의 모든 비교 집단에서 비교적 비슷한 코사인 유사도의 양상을 보였다. 셋째, 학생과 교사간 학교급별 SSI 선호 주제 유사도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 집단간 코사인 유사도(0.974)가 다른 학교급의 비교 집단, 중학교급(0.621) 또는 고등학교급(0.645)보다 높았다. 즉 초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서로 선호하는 SSI 주제가 73.33%의 수준에서 유사하고, 반면,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서로 선호하는 주제가 33% 수준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SSI 교육에서 학생에게 관심 있는 주제로 접근하는 것은 학습 동기 유발과 지속, 그리고 즐거운 학습 경험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SSI 수업을 설계할 때, 학생 관심의 관점에서 주제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가 학생의 선호도와 다소 차이가 있는 SSI 주제를 선별한 경우,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치밀한 교수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