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옥상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5초

옥상 방수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의 하자발생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ect Causes Type for Poly-Urethane Waterproofing in Roof)

  • 신형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28-134
    • /
    • 2005
  • 방수공사의 중요성에 의해 그간 다양한 방수 재료 및 공법이 개발되었고 옥상바닥 방수공법으로 현재 합성고분자의 신장성, 탄성, 내구성 등이 뛰어날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가 많이 보편화되어 성능이 높아지면서 시장점유율도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방수성은 향상되었지만 이것 또한 방수결함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 하자발생률이 감소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옥상방수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도박방수를 중심으로 방수결함 유형 및 하자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하자 재발방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순천지역을 대상으로 한 13개 현장 조사 결과 바탕의 평면불량으로 인한 물고임 현상이 $25\%$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바탕의 건조불량으로 인한 부풀음 박리 현상이 $15\%$ 순으로 나타났으며 들뜸 $14\%$, 파단 $11\%$, 기타 순으로 결함이 발생되었다.

여과재를 활용한 건물옥상유출 초기빗물의 부유물질 저감 (Reduction of Suspended Solids in First Flush from a Building Rooftop using Various Media)

  • 김성범;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4-219
    • /
    • 2017
  • 건물의 우수관에 연결하여 초기빗물의 부유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건물옥상 유출 빗물의 수질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다양한 여재를 활용해 초기빗물의 부유물질 제거를 연구하였다. 건물옥상 유출빗물의 입자성 물질은 대부분 $10{\sim}30{\mu}m$의 크기로, 부유물질 농도는 강우시 초기 10~20분까지 높았고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옥상유출빗물의 용존성 유기물과 무기물의 농도도 유출 초기에 높게 나타났다. Anthracite (AC), Polyurethane (PU), Polypropylene (PP) 여재로 여과시 초기에 50%의 부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20분 이상 여과시 제거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세척후 반복여과를 고려하면 AC 여재만 9회까지 재사용가능하였다. 여재층의 높이가 높을수록, 통과유량이 적을수록 시간에 따른 SS 제거율 감소폭은 적었고, 여재층 30 cm, 유량 12 L/min 이하로 운전할 경우 초기빗물(SS = 450 mg/L)의 SS 제거율 50%를 달성할 수 있었다.

관리조방형 옥상녹화지의 동.식물상 변화 (The Change of Flora and Fauna on Extensive Rooftop Green Areas)

  • 고아라;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4-342
    • /
    • 2010
  • 본 연구는 기 조성된 옥상녹화지의 동 식물상 모니터링을 통해 옥상녹화지의 생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서울여대 행정관 옥상녹화지역으로 조성 당시인 2005년과 2009년 현재 식재 식물의 생존여부와 이입식물, 출현 동물군 중 곤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식재당시인 2005년의 경우, 식물은 식재종 26과 100종이었으나, 2009년 조사 결과 23과 62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식재식물은 14과 40종으로 줄었으며, 이입식물은 11과 22종이 출현하였다. 곤충은 2009년 총 9목 7과 21종이 출현하였으며, 육안조사법으로 8목 15과 19종, 먹이 유인포획법으로 5목 5과 5종이 발견되었다. 곤충은 주로 비행하여 대상지에 출현한 것으로 보이며, 문헌조사로 밝혀진 곤충의 특성과 연관하여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식물을 식수로 이용하거나, 서식처로 사용하는 등 식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관리조방형 옥상녹화의 식재모델별 표면온도 모니터링 (Temperature Monitoring of Vegetation Models for the Extensive Green Roof)

  • 윤희정;장성완;이은희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89-96
    • /
    • 2013
  • Green roofs can reduce surface water runoff, provide a habitat for wildlife moderat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mprove building insulation and energy efficiency, improve the air quality, create aesthetic and amenity value, and preserve the roof's waterproofing. Green roofs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types : intensive, simple-intensive, and extensive. Especially, extensive roof environment is a harsh one for plant growth; limited water availability, wide temperature fluctuations, high exposure to wind and solar radiation create highly stressed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at extensive green roof, was carried out on the rooftop of the library at Seoul Women's Univ. from October to November, 2012 and from March to August, 2013.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vegetation model for biodiversity and heat island mitigation, surface temperatures were monitored by each vegetation model. We found that herbaceous plants of Aster sphathulifolius, Aceriphyllum rossii and Belamcanda chinensis, shrub of Syringa patula 'Miss Kim',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Sedum species can mixing each other. Among them, the vegetation models including Sedum takesimense, Aster sphathulifolius,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was more effective on the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because the species have the tolerance and high ratio of covering, and also in water. Especially, in the treatment of bark mulching, they help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vegetation models. In the case of summer, temperature mitigation of vegetation model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egetation types. Compared to surface temperature of June, July and August were apparent impact of temperature mitigation, it shows that temperature mitig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substrate water content.

방수·방근시트와 옥상녹화 박스유닛 시스템의 일체화를 위한 전자기 유도가열 융착 고정구의 부착성능 (Adhesion Performanc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Pixture for the Integration with a Waterproof & Root Barrier Sheet and a Roof Green Unit System)

  • 오창원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63-469
    • /
    • 2018
  • 기존의 다층으로 구성되어 시공성이 낮은 옥상녹화 공법의 개선을 위해 개발한 방수 방근 시트 일체화 옥상녹화박스 유닛공법의 일체화를 위해 사용하는 전자기 유도가열방식의 금속 고정구와 콘 형상 고정구의 부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PE, TPO, PVC 시트 등 3종류의 시트에 가열온도에 따른 부착성능 및 동일한 시험체로 냉열반복 후 부착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엔지니어링 PE시트에 부착한 고정구의 부착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금속고정구는 가열온도가 올라갈수록, 콘 형상 고정구는 가열온도가 낮을수록 우수한 부착성능을 보여주었고, 냉열 반복 후 부착시험 결과는 상온 부착시험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기존의 양면 부틸테이프 고정방식의 콘 형상 고정구는 낮은 부착하중과 냉열반복에 의한 뚜렷한 성능저하가 발생하는데 비하여 전자기 유도가열방식의 고정구는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최적생육을 위한 토양수분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Soil Moisture Rate for Optimal Growth Conditions on Greenroof Plants)

  • 김시만;한승원;장하경;김재순;정명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47-951
    • /
    • 2015
  • 본 연구는 옥상녹화를 비롯한 인공지반녹화에 활용 가능한 조경용 초화류의 원활한 생육을 위한 적정 관수 주기를 규명하고 옥상 조건에서 관수 필요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하며 관상가치가 있는 총 20종의 초본식물을 선정하여 녹화용 식물의 토양수분흡수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식물의 수분스트레스와 열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평균 4~5일 이전의 관수 주기가 요구되며 식물의 원활한 생장과 이에 따른 환경적 효과를 위해서는 반드시 관수 관리가 요구된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축물이나 인공지반 녹화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식재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좀 더 다양한 녹화식물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