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범위

Search Result 1,12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Flushing Effects for Input Contaminants in River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플러싱 효과 분석)

  • An, Yong Min;Kim, Soo Youl;Lee, Joon H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61-1365
    • /
    • 2004
  • 오염물질의 유입 유형은 일정한 농도를 가진 오염물질이 일정한 비율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와 순간적으로 특정한 농도를 가진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물질에 대해 댐 방류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켜서 희석 및 세척시키는 플러싱(flushing)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실측한 수리인자를 이용하여 적용성이 크다고 발표된 경험식에 의하여 확산계수를 결정하였다. 플러싱에 의한 오염물질의 희석정도 및 확산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RMA-4 모형을 잠실수중보$\~$신곡수중보 구간에 적용하였다. 정체되어있는 경우와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성산대교 부근에서 농도가 1ppm이하로 감소하는 시간을 각 유량별로 분석하였다. 댐 방류량에 의한 플러싱을 시도한 경우에 본류의 오염물질이 지류로 역류하는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in different Slope from Upland field (경사도가 다른 고랭지 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

  • Lee, Su-In;Shin, Jae-Young;Shin, Min-Hwan;Choi, Yong-Hun;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06-906
    • /
    • 2012
  •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강우량, 강우강도, 경사도, 토양, 시비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효율적인 비점오염물질의 관리를 위해서는 영향인자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경사도가 다른 고랭지 밭 두 지점을 선정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유출이 발생한 8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경사도 4.9% 밭에서의 유출율은 0.05~0.48이었으며, 16.8% 경사에서는 0.31~0.57로 나타났다. 유량과 채취된 수질 시료를 이용해 EMC를 산정한 결과 경사도 4.9%인 밭에서는 SS 762.1~2422.7 mg/L $BOD_5$ 4.5~14.9 mg/L, $COD_{Cr}$ 16.1~62.0 mg/L, $COD_{Mn}$ 7.5~43.2 mg/L, TN 9.602~21.021 mg/L, TP 2.544~6.763 mg/L의 범위로 나타났다. 반면 16.8%의 경사밭에서는 SS 116.0~2015.5 mg/L $BOD_5$ 6.0~9.5 mg/L, $COD_{Cr}$ 21.9~75.4 mg/L, $COD_{Mn}$ 4.3~33.1 mg/L, TN 10.937~46.295mg/L, TP 2.611~11.197 mg/L의 범위로 나타났다. 두 지점의 유출률과 EMC를 비교한 결과, 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유출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S를 제외한 모든 수질항목의 EMC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S의 경우 경사가 큰 고랭지 밭에서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16.8%의 경사밭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경운을 하여 흙 입자의 유실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은 강우조건(강우강도, 선행무강우일수), 시비량, 토양, 지표의 피복상태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기초자료를 축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Freezing Soil Barrier Wall for Contaminant Transfer Interception (오염물질 이동 차단을 위한 동결차수벽 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hin, Eun-Chul;Kim,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0 no.2
    • /
    • pp.29-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spreading of contaminants from movement of underground water by creating a barrier using artificial freezing method on a soil contaminated by oils and various DNAPLs. Specimens with 80% and 90% degrees of saturation were prepared to form freezing barrier using artificial freezing method. As the results of freezing specimen within soil bin with artificial ground freezing system, artificial contaminated soil cut off wall formed the thinnest wall after 12 hours. It is judged that this cut off wall will control the second soil pollution by intercepting expansion and movement of pollutants and DNAPLs within artificial contaminated soil cut off wall by underground water, intercepting inflow or outflow of underground water. Cut off walls formed by artificial ground freezing system had each other freezing speed according to degree of saturation.

Pollutant Content of the Sediments in the Drain Channel of Paved Catchments in Coastal Areas (연안역 불투수지역 배수구 퇴적물의 오염특성에 관한 연구)

  • Kim, Yeon-Seok;Park, Ki-Soo;Kim, Young-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3
    • /
    • pp.523-534
    • /
    • 2011
  • In this stud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pollutants content of sediments collected from different sites in the coastal area of Chungnam province were analyzed. Th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parking lots near beaches, harbors, museum and bridg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le is generally $106-500{\mu}m$ and the effective size $D_{10}$ ranges from 40 to $60{\mu}m$ while the $D_{50}$ and $D_{60}$ ranges from 200 to $810{\mu}m$ and 235 to $1005{\mu}m$, respectively. For particle size $D_{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ites. However, for $D_{50}$ and $D_{60}$, the range is large. Sediment analysis implicates that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s, the pollutant content increases. This is because smaller particles have higher specific surface area resulting to have more adsorption capacity. Particles from tires, emission gas from vehicles and dust particles belongs to smaller particles. For particle sizes less than $63{\mu}m$, the analysis showed that as the particles become coarser, the concentration of VS, $COD_{cr}$, TN, and TP is at least 2 to 14 times higher. Cu and Pb were detected in all sites and shows a higher concentration with smaller particle size. Cu concentration are almost the same for all sites but in the case of Pb, the sediments from Sinjindo has higher concentration of up to 2 to 3 times as compared to those collected from the other sites. In the Beach site as well as in the Seocheon Ocean Museum, Cd was contained only in fine particles. However, in Daechon Harbor and Sinjindo Bridge sites, Cd was detected in all the sediment particle size.

A Study o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ropylene on TiO$_2$ Thin Films (TiO$_2$ 박막의 Propylene 광촉매 분해 특성 연구)

  • 강진아;고성혁;윤승원;김대중;송재원;손건석;이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415-416
    • /
    • 2001
  •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VOCs를 비롯한 각종 악취물질 제거에 광촉매가 각광받고 있다. 광촉매는 기존 오염물질 제거기술과는 달리 광촉매 하나로서 복합적인 오염물질을 한꺼번에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미세한 광촉매 분말(powder)은 오히려 분진으로 작용할 수 있고, 회수가 어려워 응용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이에 상용화된 TiO$_2$ 분말이나 졸을 지지체에 코팅한 TiO$_2$ 박막으로 광촉매의 응용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가는 추세이다. (중략)

  • PDF

The Community of Aerial Algae and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at 9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국내 9기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피복도 및 기중조류 군집)

  • Kim, Yong-Jin;Kim, Ok-Jin;Lee, Ok-Mi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7 no.2
    • /
    • pp.145-154
    • /
    • 2011
  •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biological pollution class by color of the polluted section and calculate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s of 9 stone heritages in Korea, from June to November 2008.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Mulgeol-ri, Hongcheon,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Suta Temple and Stupa to Hongudang in Sutasa Temple showed 90%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and each stone cultural heritages showed 15~23% range of Bryophyte coverage, proving severe biological pollution. The Four-lion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Gwaeseok-ri,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Suta Temple and Stupa to Hongudang in Sutasa Temple showed the worst biological pollution class by color of class 5.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Chang-ri showed satisfactory level of class 2.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iological pollution class and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of lichen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1, howeve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iological pollution class and bryophyte or aerial algae coverage showed the low correlation coefficient. Eight taxa among all the aerial algae, Cosmarium decedens, Chlorella ellipsoidea, Anabaena fertilissima, Botryococcus braunii, Chroococcus turgidus, Navicula cryptocephala and Xenococcus acervatus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6~0.85 with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of bryophyt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of lichen, Trebouxia sp. and Chroococcus varius, had a range between 0.43 to 0.5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of aerial algae, Achnanthes laterostrata and Ulothrix zonata showed a range of 0.57 to 0.76. Since the aerial algae with high correlation between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showed clear appearance tendency, they can be used as indicator.

The recent trend of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and the role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ology (최근의 토양${\cdot}$지하수환경 정책동향과 물리탐사기술의 발전과제)

  • Kim Young-Woong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9a
    • /
    • pp.5-18
    • /
    • 2000
  • 토양${\cdot}$지하수환경분야와 관련된 제도들이 최근 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조사단계 및 처리단계이후의 유지관리분야에서 지구물리탐사분야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특히 토양${\cdot}$지하수오염과 관련하여 오염유발가능시설의 $80\%$가 농촌지역에 산재되어 있으나, 그 규모와 오염정도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수질은 점차적으로 저질화 되어가고 있으나 비가시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오염조사 및 오염복원 등이 제도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해 오염원의 범위, 정도 등을 확인하는데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관계법령의 개정을 통해 보다 엄격하고 강화된 규제 및 책임을 법제화하는 일은 현재와 미래의 환경보전을 위해 다행한 일이라 하겠다. 특히, 지하수오염 등은 국가적인 불행한 일이므로 향후 토양${\cdot}$지하수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오염인자에 대한 정밀실태조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개정취지를 제대로 살리면서 환경오염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지구물리탐사분야와 지질조사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정밀한 조사를 위한 방법들과 내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오염부지 특성조사를 위한 절차 및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법제화되어 할 것이다.

  • PDF

Establish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the First Stage of TMDL in Yeongsan River Stream (영산강 수계 제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평가방법 수립)

  • Kim, Seok-Gyu;Park, Se-Hwan;Ko, Kwang-Yong;Yoo, S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23-926
    • /
    • 2010
  • 수계를 단위유역으로 나누어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그 목표수질을 달성 유지하기 위해 지자체별, 단위유역별 허용가능한 배출부하량을 산정한 후 그 부하량 범위내로 오염물질을 관리하는 제도가 수질오염총량관리이다. 수질오염총량관리는 오염원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을 정하여 관리하는 농도중심의 수질관리로는 오염물질의 양이 늘어나 수질환경기준을 초과하는 제도적 한계 때문에 오염총량관리를 도입하는 제도이다. 개발을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저감하여야 하는 환경과 개발의 조화를 추구하는 녹색성장의 패러다임과 일치하며 오염물질 배출 지역의 책임 및 배출한도를 관리하는 통합적이고 선진적인 수질관리 정책인 것이다. 이러한 수질오염총량관리의 제1단계가 2010년으로 끝나고 제2단계가 2011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된다. 제1단계의 대상물질은 $BOD_5$이지만 제2단계는 $BOD_5$, T-P로 대상물질이 늘어난다. 따라서 제1단계를 적적히 평가하여 그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인식하고 제2단계, 제3단계가 적절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를 대상으로 제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를 평가하기 위해 만족도 평가, 전과정 평가, 수질개선 평가, 개발 및 삭감실적 평가, 할당부하량 준수 여부 평가, 경제성 평가 등의 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Seasonal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s and Transport Paths of PM-2.5 and Acidic Air Pollutants in Ulsan (울산지역에서의 PM-2.5 및 산성오염 물질의 계절별 농도 특성 분석 및 이동경로 추적)

  • 이병규;전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77-78
    • /
    • 2003
  • 산업체, 각종 수송시설, 그리고 각종 인간의 활동 및 삶의 과정에서 배출된 대기 오염물질은 배출원 근처의 대기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대기질의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이어서 대기환경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또 광역의 범위에서 발생된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에 민감한 산성오염물질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 근처의 영향뿐만 아니라 장거리 이동에 의한 영향도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강동근, 1993). (중략)

  • PDF

Modeling Leaching Concentrations of Gasoline Components from Residual Gasoline in Contaminated Soil (오염토양 중 잔류가솔린의 용출농도에 대한 모델링 연구)

  • 염익태;이상현;허상철;안규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38-42
    • /
    • 1998
  • Soil venting이 오염토양중 가솔린의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가솔린의 휘발과 용해거동이 Raoult의 법칙에 의해 설명되어 질 수 있는지를 평가해보았다. 먼저 순수 가솔린의 용해거동과 휘발거동에 대해 검토해 보고 이후 토양중 가솔린의 거동에 적용하여 보았다. 가솔린성분들의 용해거동은 휘발에 의한 성분조성의 변화와 상관없이 Raoult의 법칙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될 수 있었으며 오차범위는 naphthalene을 제외하고는 최고 $\pm$ 100% 이내였다. 오염토양의 형태로 가솔린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Raoult의 법칙에 의해 정확히 예측될수 있었으나 토양중 농도가 초기 20,000 mg/kg에서 1,360 mg/kg로 감소한 경우에는 용출농도가 예측치의 50-70% 수준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soil venting시 휘발에 따른 조성변화를 Rao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각 성분조성에 대한 개별물질들의 용출잠재성을 결정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