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메가 6/오메가 3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Effect of n-6/n-3 fatty acid ratio on metabolic partitioning in hyperlipidemic rats (n-6/n-3 지방산 비율이 고지혈증 랫드의 지질대사 분할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hyung;Um, Kyung-Hwan;Park, Byung-S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3
    • /
    • pp.643-653
    • /
    • 201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action of n-6/n-3 fatty acid ratio on the metabolic partitioning of blood glycerolipids by in vivo monitoring technique in hyperlipidemic animal model rats. The ratio of cholesteryl 14C-oleate metabolized in the liver of total glycerolipids was lower in the order of n-6/n-3 ratios of 4:1, 15:1, 30:1 and control group (p<0.05). The secretion amount of phospholipid was higher in the order of n-6/n-3 ratio 4:1, 15:1, 30:1 than the control (p<0.05). The secretion amount of triglyceride was lower in especially 4:1, in order of n-6/n-3 4:1, 15:1 and 30:1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ratio of phospholipid partitioning to total glycerolipid was high in orfer of n-6/n-3 ratio 4:1, 15:1, 30:1 and control (p<0.05). The triacylglycerol partitioning (%) via liver was higher 72.97, 75.93, 78.12% in n-6/n-3 4;1, 15:1, 30:1, respectively than the control of 82.25%, according to increased n-6/n-3 (p<0.05). The phospholipid partitioning (%) was lower 25.15, 18.87, 18.15% in n-6/n-3 4;1, 15:1, 30:1,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11.04%, according to increased n-6/n-3 (p<0.05).

Varietal Difference of Oil Content and Omega Fatty Acid omposi tion in Korea Local Perilla (들깨 지방수집종의 기름함량 및 오메가 지방산 조성 차이)

  • Ryu, Su-Noh;Lee, Jung-Il;Lee, Hyo-Sung;Park, Chung-Berm;Sung, Byung-Ryeol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8 no.6
    • /
    • pp.560-565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materials on the oil quality improvement of perilla seeds. Oil contents and omega(${\omega}$)fatty acid compositions of seeds were investigated to 317 varieties of domestic perillas. Oil contents of 317 perilla varieties ranged from 35.6 to 55.3 with 44.5% of varietal mean. The major omega fatty acids contained in the oil were oleic acid(${\omega}$-9) 15.2%, linoleic acid(${\omega}$-36) 13.9% and linolenic acid(${\omega}$-3) 63.1% in the mean value. Varietal variation of $\omega$-9, 6 and 3 fatty acids ranged of 9.5~21.4%, 9.1~20.4% and 50.6~70.5% respectively. Unsaturated fatty acid were averaged 92.2% of seed oil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ratios of ${\omega}$-6 to ${\omega}$-3 ranged of 0.13~0.34%(0.22% in mean value). The highest linolenic acid variety was Yecheonjong being 70.5%. The lowest variety in rations of ${\omega}$-6 to ${\omega}$-3 was Goseongjong being 0.13%. Oil cont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hil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oil content and linoleic aci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lionolenic acid and the ratios ${\omega}$-6 / ${\omega}$-3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ly correlated with unsaturated fatty acid negatively being r=-0.723$^{**}$

  • PDF

Absorption Evaluation of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장용성 연질 캡슐 오메가3 지방산의 흡수율 평가)

  • Park, Eu Deum;Park, Yooheon;Park, Sung-Sun;Suh, Hyung-Joo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5 no.4
    • /
    • pp.1027-1032
    • /
    • 2012
  •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fatty acids in blood for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oft and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Fish oil, which contained 62.87 g/100 g of sum of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was used as nutracueticals for omega 3 fatty acids. Lipid releasing amount in soft capsule was 70% in stomach condition. However, there was 10% of releasing amount of lipid observed in enteric coated capsule in stomach condition. In intestinal condition, 50% of lipid releasing amount in enteric coated capsule showed until 6 hr, but soft capsule until 90 min. EPA and DHA contents in soft capsule administration showed higher level than those in enteric coated capsule until 8 hr.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enteric coated capsule showed higher level of EPA and DHA in blood after 8 hr. After 24 hr, mono-, poly-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with enteric coated capsule showed higher level than those with soft capsule. The enteric coated capsule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was expected to sustain omega 3 fatty acid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sinulensis Larvae Reared with Feed Including Noni and Nipa Palm (노니와 해죽순 급이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특성)

  • Kim, Sam Woong;Je, Kyeong Min;Kim, Dul Nam;Kim, Tae Wan;Bang, Kyu Ho;Chi, Won-Jae;Bang, Woo Young;Kim, Jang Hyeon;Yang, Chul Woong;Kim, Il-S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2 no.10
    • /
    • pp.784-791
    • /
    • 2022
  • This study observed changes in the body composition of Protaetia brevitarsis sinulensis larvae when reared with feed that included noni and nipa pal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eath rate and product yield of the treatment group were improved after the larval fasting process. The brightness of the larval powder of the treatment group increased, but the redness decreased. The crude fat content of the 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ssays of the general components, but the minera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structural amino acids of the treatment group decreased, but the total free amino acids increased. The structural amino acids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in the treatment group. However, the free amino acids showed no specific differences. Among the free amino acids, tryptophan, phosphoserine, and methylhistidine were highly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whereas threonine, methionine, and asparagine showed the opposite results. Among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icosapentaenoic acid (C20:5n3) of omega-3 was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but the omega-6 series was decreased. Since minerals, total free amino acids, and omega-3 fatty acid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e suggest that noni and nipa palm can potentially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functionally improved substances as additional sources of feed for Protaetia brevitarsis sinulensis larvae.

Analysis of nutritional contents and useful functional materials for finding breeding resources in Flammulina velutipes (팽이 기능성 육종소재 발굴을 위한 영양성분 및 유용 기능성 물질 분석)

  • Ji-Hoon, Im;Minji, Oh;Youn-Lee, Oh;Min-Sik, Kim;Jong-Won, Lee
    • Journal of Mushroom
    • /
    • v.20 no.4
    • /
    • pp.218-226
    • /
    • 2022
  • Flammulina velutipes, known as winter mushroom in the family of Physalacriaceae, is the main edible and export mushroom with the third highest production after oyster and king oyster mushroom in Korea. However, as normal consumers regard F. velutipes as a simple subsidiary material, there is a limitation to increasing mushroom demand. In order to overcome the consumption limit and increase the differentiation of new varieties, it is necessary to breed varieties with enhanced functionality in consideration of consumer preferences. Therefore, the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nutrient components and several useful functional substances with 26 genetic resources of F. velutipes. Analyses of inorganic compound(Ca, K, Mg) and 15 amino acids revealed that Strain 4148 had the highest content among the 26 strains. Beta-glucan, which increases immune activity and polyphenol, which exert antioxidant effects were higher in non-white strains than in white strains with a small number of exceptions. Among the five fatty acids, linoleic acid(an omega-6 fatty acid) and α-linolenic acid(an omega-3 fatty acid), were detected in six mushroom strains. α-linolenic acid, which was not found in five major mushrooms including oyster mushrooms, was identified in F. velutipes.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showed that 'Auram' (Strain 4232) and 'Baekseung'(Strain 4230) had the highest content of the stabilizing neurotransmitter GABA(15.38 ㎍/ml and 20.56 ㎍/ml, respectively) among non-white and white strains, respectively. Our finding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reeding F. velutipes to obtain strains with enhanced functionality.

Effect of Sow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 in Central Region (중부지역에서 들깨의 파종시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Young-Sang Kim;Ki-Hyun Kim;Cheol-Ku Youn;Ik-Jei KIm;Young-Ho Kim;Myeong-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51-51
    • /
    • 2020
  • 들깨는 식물성 오메가-3의 우수한 급원으로서 국내에서 그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들깨 재배농가에서는 파종시기를 고려한 적합한 들깨 품종에 대한 요구가 많아 이를 해결하고자 중부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는 6월 상순, 6월 중순, 7월 초순 3시기로 구분하여 파종하였으며, 토양 검정시비량을 시비하고 완전임의배치법으로 3반복으로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시험품종으로 다유 등 10품종을 선정하여 시험하였다. 6월 초순 파종에서 개화기는 다실 품종이 8월 20일로 가장 빨랐으며, 다유, 대실, 들샘, 새엽실 품종이 9월 10일로 가장 늦었다. 6월 중순 파종에서 개화기는 다실 품종이 8월 27일로 가장 빨랐으며, 들샘 품종이 9월 11일로 가장 늦었다. 7월 초순 파종에서 개화기는 다실 품종이 8월 27일로 가장 빨랐으며, 들샘과 새엽실 품종이 9월 11일로 가장 늦었다. 들깨 천립중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적으로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6월 초순 파종에서 백진, 들향, 새엽실 다유 품종이 10a 당 11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냈으며, 6월 중순 파종에서 다유, 들향, 백진, 새엽실 품종이 10a 당 12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내었고, 7월 초순 파종에서는 다유, 들향, 새엽실 품종이 10a 당 11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부지역에서는 대체적으로 6월 중순 파종이 적합하였으며 전작물을 고려하여 들깨 파종시기를 빠르거나 늦게 할 경우에는 각 시기에 적합한 품종을 파종하면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가능하다. 중부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영향이 적고 안정적인 수량을 생산할 수 있는 품종으로는 다유, 들향, 새엽실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품종별 최대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각 품종에 맞는 파종기를 준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Monitoring of compositions of gamma-linolenic and omega-3 fatty acids in some functional foods consumed in market (유통중인 건강기능식품의 감마-리놀렌산 및 오메가-3 지방산 함량 모니터링)

  • Kim, Dae-Kyung;Shin, Jung-Ah;Lee, Ki-Tea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8 no.2
    • /
    • pp.277-284
    • /
    • 2011
  • The composi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HFFP; 18 products) containing gamma linolenic acid (GLA; $C_{18:3}$, n-6) and omega-3 fatty acids (EPA and DHA)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index components (especially, GLA and omega-3) in HFFPs were monitored by GC-FID analysis. Among the GLA products (sample No. 1~8), the content of GLA in most samples (except sample No.6) ranged from 8.04 to 9.98 g/100 g. These results were suitable for the reference standard (more 7.0 g/100 g) of HFF. In the omega-3 products (sample No. 10 and 15) derived from harp seal oil (HSO), the total contents of EPA and DHA were 14.21-15.98 g/100 g,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suitable for the reference standard (more 12.0 g/100 g) of HFF. Besides, among the omega-3 products (sample No.9, 11~14, 16~18) derived from fish oil, the total content of EPA and DHA ranged from 24.11 to 31.20 g/100 g. These results were suitable for the reference standard (more 18.0 g/100 g) of HFF. In the result of TLC analysis, the HFFPs of 18 were mainly composed of triacylglycerols (TAGs). The content of trans fatty acid in 18 HFFPs was detected in less than 0.30 g/100 g. For the detection of trans fatty acid, $^1H$-NMR (600 MHz) can be used because chemical shift of trans fatty acid was observed at 5.3 ppm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Lipid Extracts from Squid Viscera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성분의 항산화효과)

  • JEONG Yong-Sil;HONG Jeong-Hwa;BYUN Dae-Seo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7 no.6
    • /
    • pp.696-703
    • /
    • 1994
  • To utilize waste of squid effectively, antioxidant properities of squid viscera were elucidated. Major fatty acids of total lipid,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were $C_{16:0},\;C_{18:1}\;and\;C_{20:5},\;C_{22:6}$ and consisted $63{\sim}71\%$ of total fatty acids. Total lipid did not show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when added to the fish oil at the concentration below $5.0\%$, Antioxidant activity of hexane extract was lower than total lipid or tetra carbon chloride-methanol($CCl_4-MeOH$) extract. Extracts with $CCl_4-MeOH$ exer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s the methanol ratio was increased, suggesting that polar lipid plays and important role.

  • PDF

D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a Marine Microalga Auxenochlorella protothecoides Isolated from Ulleung-do (울릉도 거북바위 조수웅덩이에서 분리된 해양 미세조류 옥세노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드 균주의 기술 및 응용)

  • Jang, Hyeong Seok;Kang, Nam Seon;Kim, Kyeong Mi;Jeon, Byung Hee;Park, Joon Sang;Hong, Ji 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7 no.10
    • /
    • pp.1152-1160
    • /
    • 2017
  • A unicellular green alga was axenically isolated from a tidal pool on Ulleung-do, Korea. Morphological, molecular, and biochem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isolate belonged to Auxenochlorella protothecoides.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Korea. The microalgal strain was named as A. protothecoides MM0011 and its growth, lipid and pigment compositions, and biomass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strain is able to thrive in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5{\sim}35^{\circ}C$) and to withstand up to 1.5 M NaCl. The results of GC/MS analysis showed that the isolate was rich in nutritionally importan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Its major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27.6%) and ${\alpha}-linolenic$ acid (39.6%). Thus, this indigenous microalga ha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source of ${\omega}3$ and ${\omega}6$ PUFAs, which currently come from fish and plant oils. Also, th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lue-added antioxidant, lutein, was biosynthesized as the accessory pigments by the microalga. A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the volatile matter content was 85.6% and an ultima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gross calorific value was $20.3MJ\;kg^{-1}$. Since 40.5% of total nitrogen and 27.9% of total phosphorus were removed from the medium, respectively, it also has potential as a feedstock for biofuel applications which could be coupled to wastewater treatment. In addition, the biomass may also serve as an excellent animal feed because of its high protein content (51.4%). Therefore, A. protothecoides MM0011 shows promise for application in production of microalgae-based biochemicals and as a biomass feed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