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편의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Bias Reduction in Election Poll Analysis -Measurement Bias of Responses- (선거예측에서 편의의 감소 -거짓응답을 중심으로-)

  • 박용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21-39
    • /
    • 2000
  • Researchers in sample surveys have long recognized that what people say they are going to and what they do are not always the same, to say the least. Naturally this inconsistency distorts the survey results, especially in election poll surveys in Korea. How can one cope with this measurement bias\ulcorner This paper suggests two ideas: election poll tree and using posterior probability. By using two ideas the inconsistency of the poll survey results could be improved much or less.

  • PDF

Bias Reduction in Election Poll Analysis: Measurement Bias of Responses (선거예측에서 편의의 감소: 거짓응답을 중심으로)

  • 박용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06a
    • /
    • pp.35-57
    • /
    • 2000
  • Researchers in sample surveys have long recognized that what people say they are going to and what they do are not always the same, to say the least. Naturally this inconsistency distorts the survey results, especially in election poll surveys in Korea. How can one cope with this measurement bias\ulcorner This paper suggests two ideas: election poll tree and using posterior probability. By using two ideas the inconsistency of the poll survey results could be improved much or less.

  • PDF

Bias Reduction in Election Poll Analysis: Measurement Bias of Responses (선거예측에서 편의의 감소: 거짓응답을 중심으로)

  • Park, Yong-Chie
    • Survey Research
    • /
    • v.1 no.2
    • /
    • pp.35-57
    • /
    • 2000
  • Researchers in sample surveys have long recognized that what people say they are going to and what they do are not always the same, to say the least. Naturally this inconsistency distorts the survey results, especially in election poll surveys in Korea. How can one cope with this measurement bias? This paper suggests two ideas: election poll tree and using posterior probability. By using two ideas the inconsistency of the poll survey results could be improved much or less.

  • PDF

Joint Probability Approach to Bias Correction on Rainfall Forecasting Using Climate State Variables (결합확률모델 및 기상변량을 이용한 예측강수의 편의보정 기법)

  • Jung, Min-Kyu;Kim, Tae-Jeong;Hwang, Kyu-Nam;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9-309
    • /
    • 2019
  • 기후예측모델을 통해 일단위 강수의 예측정보가 제공되고 있지만, 실제 강수량자료와 시공간적 편의로 인해 수문학적 활용은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후모델의 시공간적 해석 규모 및 예측정확성을 고려할 때 계절단위에서 예측정보의 활용이 가장 현실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수문해석 시 시공간적 해상도가 낮아 직접적인 활용은 어려운 상황이며, 수문해석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 시 편의보정 및 상세화 과정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델로부터 얻은 강우예측결과에 Bayesian 모델 기반의 편의보정-상세화 기법을 개발하여 강우예측정보의 활용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Bayesian Copula 모델을 이용한 이변량 형태의 예측강수의 검보정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기후모델 이외의 기상 상태변량인 해수면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를 예측인자로 추가하여 Hybrid 형태의 계절 앙상블 강우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election of optimal method for bias-correction in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version 5 (GloSea5)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의 최적 편의보정기법 선정)

  • Son, Chanyoung;Song, Junghyun;Kim, Sejin;Cho, You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8
    • /
    • pp.551-562
    • /
    • 2017
  • In order to utilize 6-month precipitation forecasts (6 months at maximum) of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version 5 (GloSea5), which is being provided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ince 2014,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as well as other applications, it is needed to correct the forecast model's quantitative bias against observations. This study evaluated applicability of bias-correction skill in GloSea5 and selected an optimal method among 11 techniques that include probabilistic distribution type based,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bias-correction to fix GloSea5's bias in precipitation forecasts. Non-parametric bias-correction provided the most similar results with observed data compared to other techniques in hindcast for the past events, yet relatively generated some discrepancies in forecast. On the contrary, parametric bias-correction produced the most reliable results in both hindcast and forecast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applications using seasonal forecast model such as water resources operation and management, hydropower, agriculture, etc.

Mean-field-Bias Correction of the Rainfall Forecasts Using Backward-Forward Storm Tracking (호우의 역방향-정방향 추적기법을 이용한 예측강우 편의보정)

  • Na, Wooyoung;Kim, Gildo;Song, Sung-u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2-202
    • /
    • 2020
  • 산지 및 도시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가 대상인 예경보는 홍수 도달시간이 짧고,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특성 때문에 1시간 선행시간 확보를 목표로 한다(MOLIT, 2016). 그러나 현재 돌발홍수 예경보 process에 소요되는 시간은 그 이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예측 결과를 사람이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 예경보 선행시간 1시간 확보를 목표로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법 기반 예측강우 편의보정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기법은 현재 시점보다 이전에 보정계수를 결정함으로써 돌발홍수 예경보 소요시간을 크게 줄여 돌발홍수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정계수의 결정과 적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10분 간격으로 생성되는 MAPLE의 지속적인 편의보정이 가능하다. 예측강우에 대한 보정계수는 현재보다 10분 이전에 결정한다. 즉, 10분 이전 시점에 생성된 10분, 70분 선행 예측강우에 backward tracking을 적용하여 현재 시점의 호우 위치인 target window를 찾는다. 그리고 target window에서 보정계수를 결정한다. 결정된 보정계수는 돌발홍수발령 대상지역인 correction window의 현재 생성된 60분 선행 예측강우에 적용한다. 이 과정에서 과거 시점 10분 선행 예측강우와 현재 시점에 생성된 60분 선행 예측강우와의 forward tracking이 수행된다. Storm tracking 기법으로는 두 예측강우의 호우패턴에 대한 유사성을 정량화한 패턴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대상 호우사상으로는 2016년에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적용하고, 편의보정 결과를 기존 편의보정기법 적용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Assessment of real-time bias correction method for rainfall forecast using the Backward-Forward tracking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반 예측강우 편의보정 기법의 실시간 적용 및 평가)

  • Na, Wooyoung;Kang, Minseok;Kim, Yu-Mi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1-371
    • /
    • 2021
  •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입력자료로 예측강우가 활용된다. 기상청과 환경부에서는 초단기 예보의 목적으로 MAPLE(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and Lagrangian Extrapolation)을 생산하고 있다. MAPLE은 선행 30분까지의 예측품질은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이후 특히 3시간 이상이 되면 예측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측강우의 편의보정을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나 호우의 규모 및 이동특성을 고려한 사례는 제한적이다. 호우의 이동특성을 고려해야하는 이유로는 첫째, 예측의 특성상 예측강우가 생성되고 편의보정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호우는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둘째, 호우가 이동을 하면서 편의보정의 대상이 되는 지역에 적합한 보정계수의 결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돌발홍수는 장마와 같은 전선형 강수가 아닌 국지성 호우와 같이 빠르게 움직이며 강한 호우를 내리는 강수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호우의 이동특성을 고려하여 예측강우 보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를 예측강우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Backward tracking은 미래에 호우가 도달할 지역(대상지역)으로부터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을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추적된 지역에서 보정계수가 결정된다. Forward tracking은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으로부터 대상지역을 다시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앞서 결정된 보정계수는 대상지역의 예측강우에 적용된다. 해당 방법론을 2019년에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에 실시간 적용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반 예측강우 보정방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실제 관측된 강우와 매우 유사한 보정결과가 도출됨을 확인되었다.

  • PDF

회귀나무에서 변수선택 편의에 관한 연구

  • Kim, Min-Ho;Kim, Jin-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63-268
    • /
    • 2003
  • Breiman, Friedman, Olshen and Stone(1984)의 전체탐색법에 의한 회귀나무는 상대적으로 많은 분리가 가능한 변수로 분리기준이 정해지는 편의 현상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변수선택편의가 없는 회귀나무를 만들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노드의 분리변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 선택된 변수에 의해 이진분리를 위한 분리점을 찾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예측변수 중에서 목표변수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예측변수는 예측변수의 자료의 종류에 따라 스피어만의 순위상관계수에 의한 검정 혹은 크루스칼-왈리스의 통계량에 의한 검정을 수행하여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선택하였고, 선택된 변수에만 Breiman et al.(1984)의 전체선택법을 적용하여 분리점을 결정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변수선택편의, 변수선택력 , 그리고 평균제곱오차 측면에서 Breiman et al. (1984)의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와 제안한 알고리즘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두 알고리즘을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효율을 서로 비교하였다.

  • PDF

Application Analysis of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Model according to Bias Correlation in Rainfall Ensemble Data (강우앙상블자료 편의보정에 따른 단기강우예측모델의 적용성 분석)

  • Lee, Sanghyup;Seong, Yeon-Jeong;Bastola, Shiksha;Choo, InnKy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9-119
    • /
    • 2019
  •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국지성 호우 및 가뭄, 홍수, 태풍 등 재해 발생 규모가 커지고 그 빈도 또한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 및 이상현상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고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우량 추정 및 강우의 시간적 예측이 필요하다. 이러한 강우의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상청 등에서는 단일 수치예보가 가지는 결정론적인 예측의 한계를 보완한 초기조건, 물리과정, 경계조건 등이 다른 여러 개의 모델을 수행하여, 확률적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앙상블 예측 시스템을 예보기술에 응용하고 있으며 기존 수치모델의 정보와 예보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자연조건에 대한 불완전한 물리적 이해와 연산 능력 등의 한계로 높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편의보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강우분석의 적용 이전에 해당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ENS(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예측값과 시강우 관측값을 단기예측모델에 맞추어 3시간 누적하여 비교하였다. 비교 기간은 호우가 집중되는 2016년 10월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울산중구로 선정하였다. LENS를 대상 지역의 관측소 지점값과 행정구역 면적값을 따로 추출한 후,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CF 기법과 QM 기법을 이용하여 LENS 모델을 재가공하고 이에 따른 편의보정 기법에 따른 LENS 모델을 과거의 실제강우 관측값과의 비교분석을 이용해 적용성을 검토 및 평가하였다.

  • PDF

Analysis of Difference in extreme rainfall according to bias-correction method on KMA national standard scenarios (기상청 국가표준시나리오의 편의보정방법에 따른 극한강우량의 차이 분석)

  • Choi, Jeonghyeon;Won, Jeongeu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5-195
    • /
    • 2018
  • 기상청에서는 영국 전지구기후모델인 HadGEM2-AO 기반의 영국 지역기후모델 HadGEM3-RA로부터 생산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후변화예측을 위한 국가표준시나리오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모델의 특성상, 관측자료와 모의자료 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를 무시하고 원자료를 그대로 분석에 사용하는 것은 무의미 하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하기 위해서 주로 Quantile Mapping, Quantile Delta Mapping, Detrended Quantile Mapping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어떠한 편의보정 방법이든 극값이 다수 존재하는 미래기간 모의자료를 보정할 때에는 외삽법(extrapolation)의 적용이 필요하다. 외삽법의 경우 constant correction 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국가표준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이러한 편의보정 방법의 적용에 따른 미래 극한강우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모의자료에서 우리나라 주요 기상관측지점에 해당하는 격자로부터 강우량자료를 추출하고 연최대강우시계열을 산정하였다. 그 후, 위의 세 가지 편의보정 방법을 이용하여 강우자료의 편의보정을 수행하였으며, constant correction 방법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보정하였다. 그 후, 보정된 미래기간 모의자료의 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미래 확률강우량 산정방법인 scale-invariance 기법에 적용하여 미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외삽법의 적용에 따라 편의보정 방법에 따라 미래 자료의 추세 또는 확률강우량의 변화패턴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그 값 자체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사용된 GCM과 RCM 조합으로 인한 오차와 더해져, 미래 예측결과의 불확실성으로 나타나기에 미래 극한강우량 예측을 위해서는 다수의 GCM, RCM 조합뿐만 아니라 다수의 편의보정 방법에 따른 결과도 함께 고려(ensemble)하여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