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향유저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analysis of Network I/O Performance for Effective VM Management under Cloud CDN Environment (클라우드 CDN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VM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I/O 성능 분석)

  • Hyeon, Myeongseok;Kim, Heejae;Youn, Cha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56-159
    • /
    • 2015
  • 최근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과 결합하여 서비스되는 CDN을 클라우드 CDN 이라고 칭한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CDN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VM) 관리를 위한 캐시서버(caching server)로써의 VM의 네트워크 I/O 성능 분석을 다룬다. 해당 성능 분석은 엔드 유저(end-user)들과 캐시서버 간 동영상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해당 캐시 서버의 네트워크 I/O 성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의 성능 분석은 클라우드 CDN 환경에서의 데이터센터(datacenter) 선택 및 요청 라우팅(routing) 등에 적용될 수 있다.

A Development of Extreme Escape Game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도망치기 게임 개발)

  • Kang, Myung Whan;Lee, Jai Kun;Lee, Han Gul;Kim, Han;Kang, Mi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57-558
    • /
    • 2014
  • ICT 기술발전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등은 차세대 게임 산업에 새로운 재미와 가치를 부여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창출된 3차원 가상공간으로 사용자가 현실 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간접 체험할 수 있어 실재감과 몰입감을 경험하게 한다. 게임에서의 몰입과 실재감은 게임이용과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유저와 상호작용하고, 사용자에게 현실과 유사한 긴장감을 줄 수 있는 극한 도망 게임을 개발하였다.

  • PDF

Research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of the point of view of the background design of the game (게임 배경디자인의 동서양 관점의 차이 연구)

  • Hwang, Yi-seul;Kang, Hyo-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933-936
    • /
    • 2014
  • Game design, has grown by adding to the development speed of the game market. When appeal a game to overseas users including the domestic market, the effect of design gives also large. Therefor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elements of design and design during the localization process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I will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of the game background of Eastern and Western design and various backgrounds.

  • PDF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of Auto System and User Recognition in Mobile RPG Game (모바일 RPG 게임에서 오토 시스템 활용 형태와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Heo, Chang-Dae;Lee, Jyu-Ri;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75-7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모바일 RPG 시장의 판도에 영향을 끼치는 매크로(이하 오토 시스템)의 성공 요인과 그 환경적 배경을 연구하여 새로운 게임 경향을 파악하고 그 종류를 크게 3가지로 분류하여 게임의 수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그에 따른 유저들의 인식 현황과 플레이 형태를 연구하고 올바른 오토 시스템의 적용 모델과 나아가 바람직한 게임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 PDF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eXtended Reality) 융합 교육 훈련 시스템의 주요 기술과 특성

  • Choe, Jeong-Hwa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1
    • /
    • pp.71-80
    • /
    • 2022
  •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계 및 공공기관(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환경부 등)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교육, 훈련 시스템 개발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교육, 훈련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유형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특히 기본적인 가상현실 기술에 더하여 현실과 같은 UX(유저 경험)을 구현하면서 제한된 현실 공간을 기반으로 실 세계에서 구현하기 힘든 규모가 큰 재난대응 및 팀 훈련을 가상공간에서 구현 가능한 기술이 추가된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융합 교육 훈련 시스템'의 유형이 제시되고 있다.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교육 훈련 시스템'은 필요한 교육 훈련 내용에 맞춘 시나리오에 따라 현실의 훈련 공간의 크기, 사용 디바이스 및 하드웨어의 종류, 요구되는 시스템의 기능이 달라지는 등 다양하게 특성이 요구된다.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교육 훈련 시스템'의 주요 기술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Sketch based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스케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 Park, Jeong-Wook;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5-458
    • /
    • 2011
  • 최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고 모바일 기기에서의 입력방식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자 급증의 영향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수 역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타인에게 사용자의 감정을 더 쉽게 전달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스케치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한 장의 자연스러운 그림을 생성하고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더 쉽게 스케치 정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Personalized game recommendation system (개인 맞춤형 게임 추천 시스템)

  • Ju-hyun Kim;Yeo-eun Kim;Ah-ram Kim;Jin-hee Park;Hyon He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02-1203
    • /
    • 2023
  • 본 논문은 스팀(Steam) 게임 플랫폼을 기반으로 약 1000개의 게임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알맞은 게임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게임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언어 객체로 설정하여 규칙 기반 추론 시스템을 구현했다. 선호도 정보는 게임 선택의 기준이 되는 세 가지 요소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수집된다. 게임 추천 결과를 시각화하여 신규 유저를 게임에 유입하고 몰입을 촉진하고자 한다.

The Study of Users' Satisfaction on Game AI - Focused on Blade&Soul AI by NCSoft - (게임 인공지능 초기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요인 분석 - 엔씨소프트의 블레이드앤소울 AI 조기수용자를 중심으로 -)

  • Yeo, Hyang-Ran;Wi, Jong H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3
    • /
    • pp.3-1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actors effecting users' satisfaction on game AI for early AI diffusion.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20 users who had experiences playing Blade&Soul, made by NCsoft. Interview data had been analyzed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gram to identify key subject words and their relations. As a result, the paper has found keywords such as patterns, contents, variety, system, and getting new users as factors effecting users satisfaction on game AI.

A Study on Information Diffusion in Social Networks Considering User Groups (사용자 그룹을 고려한 소셜 네트워크 상의 정보 전파에 대한 연구)

  • Hwang, Sungmin;Kim, Kyu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061-1063
    • /
    • 2014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메시지가 어떻게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들에게까지 전달되는지 연구하는 분야는 현재 인터넷 인구의 증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에 맞물려서 흥미로운 분야가 되었다. 이를 연구함으로써, 바이럴 마케팅이나 여론 형성 등, 메시지가 최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게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메시지 전파의 효율성, 메시지의 발원지 예상 등, 다양한 연구가 지금까지 이루어졌고, 각 연구들은 소셜 네트워크 에서의 각기 다른 특징들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그 다양한 특징들 중, 소셜네트워크가 다양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져있고, 그 구성원들은 비슷한 구성원끼리 묶을 수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소셜 네트워크는 수많은 사용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사용자들의 개별적인 특징들을 구분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각 사용자들을 추상화 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중 한 방법은 사용자들을 특징별로 묶는 일이다.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는 것을 고려함에 따라, 사용자 그룹들 사이의 관계와 선호도 등을 고려함으로써, 단순한 정보 전달 양상에서 벗어나 자세한 관찰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전파 양상에서 그룹의 비율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글에서는 메시지 전파 모델 중 하나인 Independent Cascade Model을 사용하여 그룹을 특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며, 각 유저들의 비율이 달라질 경우 발생하는 현상을 실험한다. 제시한 모델을 바탕으로 메시지 전파가 그룹간의 유사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또한 제시한다.

Participation Level in Online Knowledge Sharing: Behavioral Approach on Wikipedia (온라인 지식공유의 참여정도: 위키피디아에 대한 행태적 접근)

  • Park, Hyun Jung;Lee, Hong Joo;Kim, Jong Woo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4
    • /
    • pp.97-121
    • /
    • 2013
  •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knowledge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and innovation in a volatile environment, many researches on knowledge sharing have been conducted. However, previous researches have mostly reli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has inherent perceptive errors of respondents. The current research has drawn the relationship among primary participant behaviors towards the participation level in knowledge sharing, basically from online user behaviors on Wikipedia, a representative community for online knowledge collaboration. Without users' participation in knowledge sharing, knowledge collaboration for creating knowledge cannot be successful. By the way, the editing patterns of Wikipedia users are diverse, resulting in different revisiting periods for the same number of edits, and thus varying results of shared knowledge. Therefore, we illuminated the participation level of knowledge sharing from two different angles of number of edits and revisiting period. The behavioral dimensions affec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knowledge sharing includes the article talk for public discussion and user talk for private messaging, and community registration, which are observable on Wiki platform. Public discussion is being progressed on article talk pages arranged for exchanging ideas about each article topic. An article talk page is often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which mainly address specific type of issues raised during the article development procedure. From the diverse opinions about the relatively trivial things such as what text, link, or images should be added or removed and how they should be restructured to the profound professional insights are shared, negotiated, and improved over the course of discussion. Wikipedia also provides personal user talk pages as a private messaging tool. On these pages, diverse personal messages such as casual greetings, stories about activities on Wikipedia, and ordinary affairs of life are exchanged. If anyone wants to communicate with another person, he or she visits the person's user talk page and leaves a message. Wikipedia articles are assessed according to seven quality grades, of which the featured article level is the highest. The dataset includes participants' behavioral data related with 2,978 articles, which have reached the featured article level, with editing histories of articles, their article talk histories, and user talk histories extracted from user talk pages for each article. The time period for analysis is from the initiation of articles until their promotion to the featured article level. The number of edits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editing of an article, and the revisiting period i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last edits. At first, the participation levels of each user category classified according to behavioral dimensions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n, robust regression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reflecting the degre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dependent variable representing the participation level. Especially, through adopting a motivational theory adequate for online environment in setting up research hypotheses, this work suggest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articipation level of online knowledge sharing. Consequently, this work reached the following practical behavioral results besides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both public discussion and private messaging positively affect the participation level in knowledge sharing. Second, public discussion exerts greater influence than private messaging on the participation level. Third, a synergy effect of public discussion and private messaging on the number of edits was found, whereas a pretty weak negative interaction effect of them on the revisiting period was observed. Fourth, community registr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visiting period, whereas being insignificant on the number of edits. Fifth,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 generated from private messaging, the frequency or depth of relation is shown to be more critical than the scope of relation for the participa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