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 성취도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 회화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언어불안감과 학습성취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Program)

  • 정지연;서수종;한예진;정혜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9-130
    • /
    • 2020
  •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사용한 영어 회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모니터형 가상현실과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전후의 언어불안감을 측정하고, 학습 내용에 대한 기억을 검사하였다. 가상현실에서의 영어 회화 학습 경험 후 학습자들의 언어불안감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나, 두 가상현실 조건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두 조건의 학습 결과의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상현실이 학습자의 언어불안감 감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나, 몰입형 가상현실이 비몰입형 가상현실 보다 더 효과가 우수한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몰입형 가상현실의 가능성이 적절하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몰입형 가상현실에서 종종 보고되는 멀미 문제의 개선과 함께 효과적인 학습 컨텐츠 개발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컨텐츠 및 화상회의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영어 능력 향상 효과 분석 (Analysis of English Ability Improvement Effect through a Hybrid Model using Online Contents and Video Conferencing)

  • 송재신;정성무;이재무;김자미;차현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1-40
    • /
    • 2009
  • 영어 능력 향상에 있어 원어민 교사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농어촌의 학교들은 생활문화 환경의 열악으로 원어민 교사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화상 시스템으로 원어민 교사에 의한 수업을 지원하고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준별 개별화 교육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중도시, 농어촌 소도시의 3개 집단에서 초 중등 2개 학교씩 6개 학교의 15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하이브리드 모델의 적용 전후를 T-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는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영어 교육에 적용 후 분석 결과 이해력은 상위 집단이 쓰기 능력은 하위 집단이 높게 향상되었다. 전체 영어 능력 향상 정도는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높았다.

  • PDF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심층 분석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87-401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에 이루어진 대표적인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인 PISA와 TIMSS-R의 성취도를 표준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영어권 국가들이 각각 유사한 성취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다 체계화하기 위해 PISA의 결과를 문항반응이론에 의해 분석하여 국가별, 문항별 난이도를 조사하였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각 국가의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쉬운 문항을 판별한 결과, 30개 중 16개의 문항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동일한 성취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취 경향의 유사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강세를 보인 문항들을 추출하여 그 공통점을 탐색하였다. 미국과 호주의 학생들은 열린 구성반응형 문항을 해결하는데 상대적으로 능숙하고, 한국과 일본의 학생들은 함수와 통계 영역의 문항에서 성취 수준이 높지 않으며, 형식화된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일수록 한국과 일본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ng English Achievement Using Learning Styles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 Kim, Kyung-Ja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1호
    • /
    • pp.27-46
    • /
    • 2007
  • Teachers can maximize students' L2 learning by knowing preferred learning style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asked 309 English learners to identify their perceptual learning style preferences. It further compared students' favored learning styles in terms of their gender and major field of study and explored a possible link between learning styles and English achievement. Collected data using Reid's (1995)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ANOVA,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s including squared partial correlations, and Cronbach's alpha.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students favored English learning in group regardless of gender, while their preferred mode of lear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their major field of study. Certain learning styles might be profitable for English achieve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individual mode of learning was the best predictor of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It furthermor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and individual styles of learning and English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reflected students' English learning context in which English native-speaking teachers frequently used communicative pair and small group activities for speaking practices that were consonant with students' learning styles.

  • PDF

듣기 전략 사용 선호도가 TOEIC 듣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 변인과의 관계 (The effects of using listening comprehension strategies on TOEIC listening comprehension and moderator model)

  • 이정아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4호
    • /
    • pp.345-364
    • /
    • 2009
  •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listening strategy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n relation to TOEIC listening scores. In particular, this study tests whether motivatio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mediates listening strategy use on listening comprehension (LC) process and whethe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moderates the use of listening strategy in LC achievement. One hundred seventy six freshm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ir first semester required English cours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students' motivation and LC strategy use. Th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via the moderator and mediator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ernalized motivation mediates the use of listening strategy in LC achievement; however, reading comprehension skill doesn't affect students' use of listening strategies in relation to listening skill achievement. In other words, students who have internalized motivation were able to utilize listening strategies effectively in terms of achievement of the TOEIC listening skill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offe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use of LC strategies, intrinsic motivation, and listening skill achievement shared by the mediator and moderator models.

  • PDF

모바일 폰 활용이 대학생들의 영어 독해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bile Phone Use o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Reading Achievement)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83-189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폰을 활용한 수업이 대학생들의 영어 독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율성를 고찰하여 학습 도구로서 모바일 폰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비교를 위해 실험집단(31명)과 통제집단(28명)이 설정되었다. 실험집단은 독해 수업에서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 즉 검색, 녹음, 사진, 모바일 앱, 커뮤니티 업로드하기를 사용하였고 통제집단은 학생들의 발표와 교수자의 설명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평가를 위해 두 차례의 독해 평가와 개방형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독해 수업에 모바일 폰을 활용한 반이 그렇지 않은 반에 비해 독해 학습 성취도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서 모바일 폰의 긍정적 영향으로는 흥미와 동기 부여, 자기 주도적 학습 유도, 시공간을 초월한 지속적 학습의 가능으로 조사되었다. 제 2언어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교사와 학습자들은 학습 도구로서의 모바일 폰의 가능성과 그 가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수업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모바일 폰을 활용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수업 활동이 더욱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AEQ-KMS)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AEQ-KMS))

  • 전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45-7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들이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성취정서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는 영어판 성취정서 질문지를 바탕으로 중학교 교과 운영 특성 및 과학 학습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총 232문항으로 3가지 학업상황에서 9개의 과학 영역 성취정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통제-가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검증 결과,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성취정서의 4가지 구성요인 체계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질문지의 각 문항이 성취정서의 구성 요인을 대표하는 지표로서 적절히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타당하였다. 또한 질문지를 통하여 측정되는 성취정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같은 상황에서 경험하는 각각의 정서 및 서로 다른 상황에서 경험하는 동일한 정서가 서로 적절히 변별 되었다. 성취정서와 학업상황 사이의 잠재적 관계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에서도 질문지의 내적 구조와 동일하게 3가지 학업상황 및 9가지 성취정서가 잠재변수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적 타당도 검증은 통제-가치 평가, 학습 전략, 성취동기, 과학 성적 등을 준거 변인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검증 결과, 충분한 외적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문지의 개발을 통해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성취정서를 이해하는 기본 발판이 마련되었음을 시사한다.

웹기반 영어교육의 온라인 학습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b-oriented Learning Method and Effect for English)

  • 홍성룡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67-179
    • /
    • 2003
  • 제 2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해 여러 이론에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개발되어 왔다. 최근 너무 어린 나이에 영어를 교육하는 문제에 대한 찬반론이 제기되는 등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나 학생들의 흥미유발, 동기부여, 그리고 참여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모든 이론에서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특히 많은 시간을 인터넷에 투자하고 있는 학생들의 욕구를 반영하는 시대에 어울리는 교육방법이 제시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웹기반 교육매체를 이용한 영어 듣기 온라인 교육을 오프라인상의 교육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교수법을 영어 듣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동등한 수준의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과 통제집단(controlled group)으로 구분하였다. 이 두 집단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기초하여 기존의 학습방법과 웹기반의 온라인 학습방법의 분석을 통해 교수법이 학생들의 수업 태도와 그 성취도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온라인 학습방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친구에게 권하고 싶다고 할 만큼 흥미를 보여주었다. 학습자의 수요와 관심에 부합되는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교수법이 21세기의 새로운 학습방법의 모델로서 청소년의 현장 학습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스마트교육 개념을 도입한 중등학교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of Secondary School Adopting SMART Education Concept)

  • 김종수;이재홍;권현범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3호
    • /
    • pp.211-2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스마트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교육 개념을 적용한 고등학교와 아닌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을 구현하는 학교는 어떤 학교이고, 스마트교육 개념은 학생들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교육 개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알리미(www.schoolinfo.go.kr)에서 독립변인으로 학습효과, 정서효과의 항목을 추출하여 상대적으로 배경변인이 비슷한 세종시 한솔고등학교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특징 등을 문헌조사하여 스마트교육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 세종시에 위치한 고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학교알리미에서 '결산자료', '전출입 및 학업중단 학생 수', '학교폭력 실태조사',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에 관한 사항'을 바탕으로 학습효과와 정서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효과가 나타난 학교의 예산구조를 파악하여, 스마트교육 확산을 위한 예산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 폭력 실태를 비교한 결과, 3년 동안 두 학교 모두 학교 폭력 사태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세종시에 있는 한솔고등학교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보다 더 낮은 학교 폭력 피해율을 보였다.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의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에서 3년 동안 세종시 한솔고등학교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스마트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13년에는 두 개교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14년과 2015년의 2년에 걸친 조사에서 세종시 한솔고등학교의 수학과 영어 과목학업성취가 과천 고등학교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여주어, 표집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교육이 학업성취에 정적인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수집의 한계와 표집의 제한성 등은 향후 스마트교육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좀 더 면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 PDF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 분석 (A longitudinal data analysis for child academic achievement with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 이나은;허집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1-10
    • /
    • 2017
  •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한 기존의 분석들은 각 아동의 반복 측정된 자료들이 독립이라고 가정한 모형을 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고려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선택하여 반복 측정된 경시적 자료의 종속성을 고려한 고정효과와 임의효과를 포함하는 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하여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각 아동의 특성들이 반영되는 임의절편과 임의기울기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 4, 7차 부가조사 중에서 아동용 설문문항에 대한 자료이고, 국어, 영어와 수학의 학업성취도 점수의 합을 아동 학업성취도로 한다.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시에 다중공선성의 검토와 결측치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오차의 상관행렬을 선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