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Effect of Secondary School Adopting SMART Education Concept

스마트교육 개념을 도입한 중등학교의 효과 분석

  • Received : 2018.02.05
  • Accepted : 2018.02.20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econdary school SMAR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aper separated the high school which implements the smart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and the high school which did not apply the smart education concept, then figuring out the answer about what school is more effective, the influence of the smart education concept on the students'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between Hansol high school in SeJong city and Jungang high school in Gwachen city by using 'schoolinfo (www.schoolinfor.go.kr) SMART education.' This study first presented the SMART Education'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hrough reviewing some literature, and then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items included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effect. These items consist of the 'students academic score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students dropped out' and 'the damage rate of school violence' for the emotional item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Hansol high school indicates lower school violence rate than Gwachen high schools with the two school's violence rate decreasing. Moreover, students' score of Hansol high school is higher than high schools in Gwachen city. The SMART education school budget structure is 'Common type', which requires a lot of investment to 'Basic education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support', 'School general operating expenses' among education budget item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스마트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교육 개념을 적용한 고등학교와 아닌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을 구현하는 학교는 어떤 학교이고, 스마트교육 개념은 학생들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교육 개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알리미(www.schoolinfo.go.kr)에서 독립변인으로 학습효과, 정서효과의 항목을 추출하여 상대적으로 배경변인이 비슷한 세종시 한솔고등학교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특징 등을 문헌조사하여 스마트교육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 세종시에 위치한 고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학교알리미에서 '결산자료', '전출입 및 학업중단 학생 수', '학교폭력 실태조사',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에 관한 사항'을 바탕으로 학습효과와 정서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효과가 나타난 학교의 예산구조를 파악하여, 스마트교육 확산을 위한 예산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 폭력 실태를 비교한 결과, 3년 동안 두 학교 모두 학교 폭력 사태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세종시에 있는 한솔고등학교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보다 더 낮은 학교 폭력 피해율을 보였다.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의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에서 3년 동안 세종시 한솔고등학교가 과천에 있는 고등학교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스마트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13년에는 두 개교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14년과 2015년의 2년에 걸친 조사에서 세종시 한솔고등학교의 수학과 영어 과목학업성취가 과천 고등학교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여주어, 표집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교육이 학업성취에 정적인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수집의 한계와 표집의 제한성 등은 향후 스마트교육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좀 더 면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덕훈(2010). 스마트러닝의 의미와 전망. 스마트러닝 코리아 발표자료집,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 교육과학기술부(2011. 10).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3. 교육과학기술부(2012. 07). 스마트교육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4. 권현범.천세영(2013).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교육연구논총, 34(2), 103-125.
  5. 김성렬(2015). 초.중등교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태도, 스마트교육의 속성, 활용 의지 및 지각된 유용성.용이성에 관한 인식. 박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6. 김지하(2014). 학교회계 세입세출 구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3(2), 27-58.
  7. 김혜숙, 계보경, 길혜지, 전종희(2013). 스마트교육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세종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0(3), 27-48.
  8. 우명숙(2010). 교육생산함수를 활용한 교육자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9(1), 1-27.
  9. 유지은(2014).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자기조절학습능력, 협력지향성이 초등학생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상기, 권민화(2014).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2), 258-294
  11. 임천순, 고장완, 김진영, 이광현, 이수정(2011). 교육재정과 학교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0(4), 171-188.
  12. 장근영, 김형주, 계보경(2014). 디지털교과서.스마트교육 연구학교 대상 시계열 효과분석 연구. 연구보고 KR 2014-4
  13. 장준혁(2014).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웹 2.0 환경의 학습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정재균(2013). 전라북도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연구, 28(1), 199-224.
  15. 천세영(2000). 성과중심 학교재정효율성평가 예비모델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8(3), 359-384.
  16. 천세영(2002). DEA 기법을 활용한 학교재정효율성 평가모델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0(1), 281-303.
  17. 천세영, 임민수, 정훈희, 전미애, 강형석(2013). 초등 교과교육 지원을 위한 방과후 스마트교육 효과성분석 연구. 연구보고 CR2013-01. 두산동아.
  18. 한국교육개발원(2011). 우리의 교실혁명 스마트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이슈 페이퍼, 현안보고 OR 2011-02-7.
  19. 한선관, 김상홍(2015).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습자 역량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207-213.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207
  20.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2012). 행복도시건설청, 첫마을 학교 스마트스쿨 한솔고등학교에서 시연 : 등교부터 수업 등 학생의 학교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 보도자료
  21. 허은(2013). 학교회계 결산유형과 학교효과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4), 297-331.
  22. Coleman, J. S., Campbell, E. Q., Hobson, C. J., McPartland, J., Mood, A. M., Weinfeld, F. D., & York, R. L. (199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23. 학교알리미 www.schoolinf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