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과 관련된 식품 또는 영양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에서는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해 보다 정확하고 알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외식식품, 가공식품 등에 영양표시를 의무화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였다. 하지만 이 정보를 적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아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와 활용법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식품에 영향을 많이 받는 당뇨병환자들부터 영양표시를 읽고 식단의 수준을 높여보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39
no.7
/
pp.1056-1063
/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nutrition labeling status, levels of recognition and patterns of consumption of domestically processed meat product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47.4% of products (81 out of 171) were labeled with nutrition information. Where general product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were provided, it was read by 84.9% and 66.8% of the survey subjects,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reasons for not reading product labeling were 'hard to understand it' (46.2%) and 'not concerned' (30.8%). This was attributed to respondents finding it 'useless' (39.3%) and 'hard to understand the nutrition contents' (32.8%). As for the positive effect of enforcing a nutrition labeling system, 62% of respondents affirmed 'ease of selecting products which are good for health'. The reading of general product label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01) with the reading of nutrition labeling. The amount the nutrition labeling was rea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p<0.05) with comprehens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ing contained. Therefore, providing more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ing for the consumers of processed meat products and also educating them more comprehensively about the nutrition, which would ultimately help them improve their dietary life, is need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42
no.12
/
pp.2068-2075
/
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nutr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food and nutrition labeling systems. A total of 310 customers, who visited family restaurant, were surveyed by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from March 2006 to April 2011. A total of 286 respondents were surveyed; of the respondents, 108 were males and 178 were females. Two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the respondent's health: once in 2006 and once in 2011. According to these surveys, 63.6% and 54% of respon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unhealthy, respectively. When ordering a meal, respondents were more concerned with price rather than taste, nutrition, new menu items, and food presentation. Compared with 2006, in 2011 more respondents felt that family restaurants provided enough nutritional information and practical use of that information to their customers. When surveyed, respondents felt that the total calories played a significantly higher role in ordering food than foods with higher nutritional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system; in 2006, $2.87{\pm}0.99$, and 2011, $3.35{\pm}0.84$.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crease in individuals who felt that there was a need for an ingredient labeling system; $3.68{\pm}0.9$ in 2006 and $4.32{\pm}0.61$ in 2011. There was also a higher demand for nutritional information; $2.85{\pm}0.66$ in 2006, $3.06{\pm}0.65$ in 2011.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nutrition labeling system adopted by family restaurants did not affect the degree of customers' interest in nutritional information. Contrast to the results, the amount and frequency of nutritional information provided to customers have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2006. Therefore, the nutrition labeling system and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promote a healthy di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39
no.2
/
pp.253-266
/
2010
This study describes the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ling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facto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among 282 college students, aged 21~23 years, in Busan Gyeongnam area. The subjects consisted of 150 of male (53.2%) and 132 of female (46.8%) students. 31.3% of male students and 50% of female students reported reading nutrition labelling always or usually, while 34.7% of male and 13.6% of femal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don't use nutrition labelling. Although most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 need of nutrition labelling,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ling and thei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ere not enough to apply the information from the nutrition labelling in their daily life, even in the subjects who reported reading nutrition labelling always or usually. This statement might be one of the reasons wh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divided by nutrition labelling use in regards to the dietary habit or snack eating habit in this study. Therefore,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labell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nutrition labelling use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ling in their daily life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dietary habit.
This study describes the demographic and diet-related psychosoci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bel use and diet. Self-reported dada from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of 2073 Korean women aged 20 to 60 years were collected to identify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elief on diet-disease relationship, awareness on importance of healthy eating practice and diet quality associated with label use. Label users, who are in the stage of action and maintenance (31.6%), were more likely to have belief on nutrient-disease relationship (in sodium, cholesterol, sugar and trans fat)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althy eating practice compared with label nonusers, who are i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Label user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dietary quality compared with label nonusers [odds ratio (OR) = 2.01; 95% confidence interval (CI): 1.66, 2.44](P < 0.001). Also, label use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diets that were higher vegetables and fruits, and lower in cholester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reading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s may improve food choices and enable healthful dietary practic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v.33
no.2
/
pp.45-56
/
2021
This study evaluated the dietary habits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nutrition label util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dolescents aged between 12 and 18 who participated in the 2016-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utrition label utilizing group and non-utilizing group. Then the general information, diet habit and nutrient intakes, health status and obesity and mental health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pping breakfast, frequency of eating out, smoking status and alcohol drinking statu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nutrition labels. Nutrition label utilizing group had higher % KDRI of protein(p<0.05), calcium (p<0.01), phosphorus(p<0.01) and potassium intakes(p<0.01) than non-utilizing group. Nutrition label utilizing group had higher EQ-5D score(0.97) than non-utilizing group(p<0.001).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using nutrition label is needed. So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supporting dietary education regarding use of nutrition label for adolescent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2013.05a
/
pp.173-174
/
2013
본 연구는 시판 중인 가공식품 라벨 표시정보를 수집하여 표시사항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개인의 용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모바일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시판중인 가공식품 라벨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원재료 영양정보 첨가물정보 함량 기준 등이 매우 난해하게 혼재되어 소비자가 라벨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소비자 지향적인 식품표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행 식품위생법의 식품표시기준에 따른 원재료, 첨가물, 영양성분 등 카테고리별로 정보를 재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렇게 재가공한 정보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가공식품 라벨표시 정보를 보다 과학적이고 명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모바일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활용하였다.
Kim, Yun-Ji;Jeon, Eun-Raye;Yoo, Maeng-Ja;Jung, Lan-He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41
no.6
/
pp.796-806
/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attitude,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examine their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systems. The total and mean dietary attitude scores were 75 and 49.47, respectively. The total and mean nutrition knowledge scores were 15 and 10.88, respectively.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trition knowledge than boys (p<0.01). Overall, 62.9% of respondents checked food labeling,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etary attitudes among groups that did and did not checking labeling (p<0.001), with higher dietary attitude being associated with checking the label. Moreover, higher nutritional knowledge was associated with checking the food label. Individuals who checked the food label considered the expiration date (54.9%), product name (14.4%) and price (10.2%). The main reasons for checking food labeling were (in descending order) to confirm the expiration date (61.6%), determine the ingredients and nutritional information, learn how to store the product, and compare the price and weight with other product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food labeling system was 16.20 out of 30, an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were observed among individuals with high, moderate and low dietary attitudes, as indicated by satisfaction scores of 17.54, 16.32 and 14.86, respectively. Individuals with high, moderate and low dietary attitudes had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of 15.79, 16.08, and 17.08 respectively. The overall score for understanding nutrition labeling was 4.71 out of 7, and the understanding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groups (p<0.01), with those with moderate food attitudes having the highest scor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s influenced by environment and dietary life. It is key to improve daily food life to relieve them. Food nutrition labeling is useful to do it by offering nutrition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and recognition of food nutrition labeling. The data of 4,928 people with experience on diagnosis allergic rhinitis, asthma, atopic dermatitis of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ose who had experience in being diagnosed with an allergy showed high awareness in food label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llergy diagnosis groups and allergy non-diagnosis in affecting factors of residence, income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body-shape perception. Support measures are needed to enhance access and convenience to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labeling to support nutrition labeling utilization.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provide the accurate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menu. We questionnaired an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to 684 customers in fast-food restaurants. After data cleaning, we used spss package 14.0 and analyzed about the nutrition contents and place that display the nutrition labeling. First, we finded out lower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than processed food. Second, many people hoped that calory and fat in various nutritions were displayed each 100 g or 100 mL. Third, the place displaying the nutrition information was the menu board and the counter to identify easily. Fourth, we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in fast-food restaurants by t-test and ANOVA. So, we knew that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was higher woman than man. And the more they earn much money and learned, the more the nutrition labeling are needed. But house-wife recognized the nutrition labeling lower than other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