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분예측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Metal Speciation in the Lagoon Sediment Interstitial Water from the Northeast Coast, Korea (동해안 석호 퇴적물의 간극수에 함유된 금속류의 화학종 분포)

  • Kim, Dong-Jin;Kim, Min-Chul;Yoo, Jin-Yull;Kwon, Sang-Yong;Seo, Yong-Chan;Yang, Jae-E.;Oh, Seung-Yoon;Ok, Yo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7
    • /
    • pp.712-720
    • /
    • 2008
  • Sediment and interstitial water samples from ten lagoons in the Northeastern coastal part of South Korea were analyzed to obtain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and inorganic ligand. These data, coupled with pH and ionic strength, were used to compute the aqueous speciation of the metals in the interstitial water using the MINTEQA2 equilibrium program. The K and Na were almost entirely present as the free aqua ions, but Co, Cd, Ni, Pb and Zn were existed as various metal-ligand complexes. Metals such as Al, As, and Cr formed 3$\sim$4 metal-ligand complexes. In the interstitial water with high chloride concentrations, almost all of the metals were dominated by free aqua ions. Metals of Cd, Co, Ni, Pb and Zn were bound as chloride-metal complexes of the type M$^{x+}$ + xCl$^-$, and Fe, Mn and Mg were dominated by sulfate equilibria(M$^{2+}$ + SO$_4{^{2-}}$). Hg(II) was speciated as HgCl$_2$(aq), HgCl$_3{^-}$ and HgCl$_4{^-}$. However, in the interstitial water with low chloride concentrations, Hg(II) and Cd(II) were existed as chloride-metal complexes, metals of Cu, Mg, Mn, Ni, Pb and Zn were dominated by sulfate equilibria, and the speciation of Fe(II) was bound as Fe(OH)$_2{^+}$, Fe(OH)$_3$(aq). However, Al, As and Cr were dominated by hydroxy-metal and oxide-metal species in nearly all of the lagoons.

Future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s of an estuarine reservoir watershed using CMIP6 multi-GCMs (CMIP6 다중 GCMs을 적용한 담수호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 변화)

  • Sinae Kim;Seokhyeon Kim;Hyunji Lee;Jihye Kwak;Jihye Kim;Moon-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9-419
    • /
    • 2023
  • 하천의 최종 유출부와 해양이 만나는 지점을 하구라고 하며, 우리나라는 주로 서해안 지역에 하구 방조제 건설에 따른 담수호가 조성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수자원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구 담수호는 바다로 유입되기 직전의 물을 저류시켜 수자원 확보에 긍정적이나, 일반적으로 유역의 최하류에 위치해 있어 오염물질 유입, 부영양화, 염분 침출로 인한 오염물질 용출 등에 취약하다. 따라서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이 필수적이다. 특히 기후변화는 거대규모의 홍수과 같은 자연재난, 농업가뭄 및 식생가뭄 등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후조건에 따른 하천의 미래 유출량 변화 예측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한 미래 수문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CMIP6(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GCMs(Global Climate Models)의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유역 유출모델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특성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간월호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적용하여 상류유역의 과거 및 미래 장기유출량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된 시나리오별 유출량을 기반으로 최빈유량곡선법을 적용하여 미래의 기준유량 발생시점 및 지속기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CVDs(Center-of-volume dates)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기의 시기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유역 환경변화를 고려한 담수호의 수자원 보전관리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lassifications of Ecological Districts for Estuarine Ecosystem Restoration; Examples of Goseong Bay Estuaries, South sea, Korea (하구 생태 복원을 위한 생태구역 구분; 남해 고성만 고성천 인근 하구의 예)

  • An, Soon-Mo;Lee, Sang-Yong;Choi, Jae-U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6 no.2
    • /
    • pp.70-80
    • /
    • 2011
  • Estuarine ecosystem responds sensitively to natural and anthropogenic perturbations. l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change when the perturbation occurs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estuarine ecosystem for a proper management of the area. In this study, the estuarine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ecological districts so as to the switch from one district to another district could b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change due to the perturbations. Total 16 ecological districts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arrage, salinity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defined ecological districts were applied to small estuaries in Goseong bay, south sea of Korea (Baedun, Guman, Maam, Goseong) to distinguish different regions which might have characteristic bottom topography, inclinations of river bottom, sediment characteristics, salinity structure and area of vegetation. Total 7 out of 16 ecological district was identified in this region; NFB (natural, fresh, bare), NHB (natural, high salinity, bare), NLV (natural, low salinity, vegetated) in natural (without barrage) estuaries and CFB (closed, fresh, bare), CFV( closed, fresh vegetated), CLV (closed, low salinity, vegetated), CHB (closed, high salinity, bare) in closed (with barrage) estuary. A comparis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ta between CHB and CLV demonstrated the effect of barrage on estuarine ecosystem. The height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of CHB and CLV were similar but the average salinity was lower in CLV than in CHB due to the barrage, which produced favorable condition for the Phragmites australis in CLV. Information regarding the ecological districts in various sizes and location could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ecosystem change due to natural and anthropogenic perturbations and for preparing management actions.

Study on the Numerical Method of Classifying Treeforms : A case study of Zelkova serrata, Pinus strobus, and Magnolia denudata (주요조경수목의 수형분류방법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을 대상으로)

  • 최준수;김남춘;문석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6 no.2
    • /
    • pp.1-7
    • /
    • 1988
  • Predicting treeform should be very important, eventhough it is difficult, step for landscape design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method to classify the treeforms of landscape plants by numerical data. Twenty five treeforms are selected to be compared with 41 Zelkova serrata MAKINO, 26 Pinus strobus L., and 44 Magnolia denudata DESROUX. Statistical judgement was made by using X$^2$-Test.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Zelkova serrata was classified as B3 or C3. This species showed a tendency of changing from A type to B or C type, and the CL/CH ratio(canopy length/canopy height) is thought to be increased as aged. 2. pinus strobus was classified as D4-D5 and the CL/CH ratio tends to be increased as aged. 3. Magnolia denudata was classified as D4 and the change by aging was not observed clearly.

  • PDF

Simulation Model for Dissolution of Liquid $CO_2$ Discharged at Intermediate Depth of Ocean (중층심해에 분사된 액체 이산화탄소 용해 예측모델 개발)

  • 김남진;김종보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5 no.9
    • /
    • pp.718-726
    • /
    • 2003
  • Carbon dioxide ocean disposal is one of the promising options to redu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because the ocean has vast capacity for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However, the dissolution rate of liquid carbon dioxide in seawater must be known in advance in order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in the ocean.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calculations of the solubility, the surface concentration and the dissolution behavior of carbon dioxide when liquid carbon dioxide is released at 1,000m and 1,500m in depth are peformed. The results show that the droplet is completely dissolved below 500 m in depth if the carbon dioxide droplet is released both at 1,000m in depth with the initial droplet diameter of 0.011m or less and at 1,500m in depth with the diameter of 0.016 or less. Also, the surfac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roplet with the hydrate film is about 50% of carbon dioxide solubility at 1,500 m in depth and about 60% of carbon dioxide solubility at 1,000 m in depth.

Toxicity Evaluation of Surface Waters from Artificial Lakes(Shihwa, Asan, Busa) and Mankyung River using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Sperm and Embryo (둥근성게 (Strongylocentrotus nudus) 정자와 수정란을 이용한 인공 호수(시화, 아산, 부사)및 만경강 표층수의 독성 평가)

  • Lee Chang-Hoon;Choi Jin-Wo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8 no.4
    • /
    • pp.277-285
    • /
    • 2003
  • 연안의 방조제 건설은 하천수와 바다물의 교환을 인위적으로 차단하고, 방조제 내부에는 호수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인공호수의 수질은 호수로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인공호수의 수질이 악화되면 인근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공호수의 물이 바다로 방류될 때 해양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방조제 건설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시화호, 아산호, 부사호와, 현재 건설중인 새만금 방조제로 인하여 형성될 호수의 유입 하천인 만경강에서 표층수를 채수하여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정자와 수정란을 이용한 생물 검정을 실시하였다. 담수호의 수질을 해양생물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료의 염분을 조절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자를 이용한 수정 실험 결과, 시화호에서는 수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아산호와 부사호에서는 약간의 영향이 있었으나 그 정도는 미약하였다. 반면, 만경강의 경우 수정률의 저해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수정란을 이용한 발생 실험 결과, 시화호, 아산호, 부사호에서는 약간의 영향이 나타난 반면, 만경강의 경우는 매우 큰 영향이 나타났다. 이들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시화호, 아산호, 부사호의 수질은 대체로 양호하나, 만경강의 수질은 크게 우려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앞으로 건설될 새만금 호수와 인근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만경강의 수질 개선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pplication of Linear Dynamics to Salt Finger Favorable Flows (선형이론의 이중확산 유체의 적응)

  • Hwang, Jin-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0 no.1
    • /
    • pp.53-58
    • /
    • 2007
  • In an estuary, mixing and transport of contaminant sometimes occurs in the salt finger favorable condition (Hwang ang Rehmann, 2004). Linearized theory is applied to predict flow dynamics in salt finger favorable condition. The simulated results match well with previous laboratory experiments. When the density ratio is larger than 2, the heat and salt system shows $0.55{\sim}0.57$ as Turner (1967) found, and the salt and sugar system produces 0.87 of Griffiths (1980). As the ratio of molecular diffusivities of two scalars increases, the flux ratio increases. The flux and eddy diffusivity ratios decrease with increase of density ratio, and it takes longer time for flux ratio to be steady state at the higher density ratios.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orrosion of Reinforcement Steel in Reinforced Concrete with Corrosion Inhibitors (방식재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부식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S Chung;G.H Han;Lee, G.G.;J.W. Jang;Park, E.K.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6
    • /
    • pp.175-183
    • /
    • 1997
  • 경제성장에 따른 항만구조물의 건설 및 유지관리에 관한 관심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항만구조물은 해양환경에 노출되어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의 부식을 야기시키는 요인에 접해있다. 한편, 콘크리트 내부의 염분침투는 매입철근의 부식을 가속화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상당히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가지 방식제를 사용함과 동시에 물/시멘트을 달리한 실험변수를 이용한 시험체에 대한 부식평가 및 매입철근의 적절한 부식방지 기법의 개발에 있다. 해양환경 조건을 simulation한 해수 및 담수 순환장치를 이용한 실내 시험체의 철근 부시도 평가 및 항만현장에 직접 거치된 시험체 등 다양한 조건하의 2년간의 실험이 현재 진행 중에 있다. 40주에 걸쳐 간헐 침투되는 해수조건에서 60개의 콘크리트 시험체의 철근 부시도 평가결과를 기초하여 180여개의 콘크리트 시험체를 새로이 제작하여 Half-Cell Test를 통한 Instant-Off Potential, Current Method를 통한 Corrosion current, Chloride Content 및 시험 종료후 시험체를 파쇄하여 부식된 철근의 무게측정등을 통하여 거동 및 부식을 예측.평가하고 이를 통한 부식방지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A study on water cycl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watershed and river water quality model (유역 및 하천수질 통합모형 구축을 통한 물순환에 관한 연구)

  • Park Byeong-Woo;Seo Yong-Jae;Hur Young-Teck;Kwon S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2-462
    • /
    • 2023
  • 최근 낙동강 하구는 35년만에 기수 생태 복원을 본격화하는 다양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하구에 접해 있는 낙동강 1지류인 서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물순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하구에 다양한 물관리기관이 혼재하여 유기적인 물관리가 미흡하고, 이해관계자(농민, 어민, 시민단체, 지자체 등)간에 이견도 다양하다. 서낙동강의 "수량-수질-생태" 관리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물관리기관의 물정보 통합관리가 필요하며, 시스템과 수치모형을 구성하여 예측 분석후 수질 및 수질특성을 실측기반을 통해 검보정으로 모형의 정확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유역내 수리적 흐름과 수질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낙동강유역 소유역(33개)로 강우-유출 HSPF 모형으로 유량과 오염부하량을 소유역 15개의 하천에 수리·수질 EFDC 모형 입력자료로 반영되어 계산된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본류 대저수문 15km 지점(서낙동강 유입부)에 수문개방을 통해 서낙동강 농업용수와 수질개선 유량공급시에 ADCP를 활용하여 대저수문을 포함하여 4개소에 유속과 측정 유량을 산정하여 모형 검보정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복잡한 하천구성(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조만강, 지류하천 등) 및 수리구조물 운영과 수리-수질(염분 포함) 분석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기 구축된 낙동강 하구 통합물관리시스템 수문데이터와 연동되어 향후 서낙동강 물순환 연구에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 PDF

Numerical approach of groundwater level change by reserver types (부존 형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수치해석)

  • Hyun Jung Lee;Hyung Jun Park;Chanjin Jeon;Seung Oh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1-131
    • /
    • 2023
  • 지하수는 담수-염수 경계면의 형성 및 변동 특성, 지하수위 분포 및 변동특성에 따라 기저지하수, 준기저지하수, 상위지하수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기저지하수는 담수(1,000g/cm3)와 염수(1,025g/cm3)의 비중 차이에 의해 담수가 염수 상부에 Ghyben-Herzberg 원리에 의해 부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존 형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을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상화된 지형에서 부존형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OpenGeoSys 모형을 이용하여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위지하수의 지하수위보다 기저지하수 조건에서의 지하수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부존 형태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담수-염수 비중 차이가 지하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지형에 적용하여 지하수위의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제주 남부 중서귀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 검증은 범위 내 4개의 관측지점에서의 2022년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증된 모델에 염분 농도 조건을 추가하여 기저지하수를 형성하여 모의를 수행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존 형태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담수-염수 비중 차이가 지하수위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상위지하수에서 염수가 침입했을 때, 수위 저하에 따라 감소되는 지하수위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