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마액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y on the Synthesis of Alumina Membrane by Anodization in Sulfuric Acid (황산전해액에서 양극산화에 의한 알루미나 막 제조에 관한 연구)

  • Kim, Hyun;Chang, Yoon Ho;Hahm, Yeong Mi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8 no.5
    • /
    • pp.756-762
    • /
    • 1997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abricate alumina membrane which has a cylindrical pore structure by anodizing aluminium plate in sulfuric acid solution with the electrochemical technique. The aluminium plate for anodizing was prepared by the pretreatment process such as chemical, electro-polishing and thermal treatment. The pore size distribution and the film thickness of alumina membrane were investig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BE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oxide film has a geometrical structures like a Keller model and that the membrane has a uniform pore distribution. The pore size and the oxide film thickness are dependent on the anodizing process variables such as the electrolyte concentration, the reation temperature and the anodizing current density.

  • PDF

Effects of Chemical and Abrasive Particles for the Removal Rate and Surface Microroughness in Ruthenium CMP (Ru CMP 공정에서의 화학액과 연마 입자 농도에 따른 연마율과 표면 특성)

  • Lee, Sang-Ho;Kang, Young-Jea;Park, Ji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1296-1299
    • /
    • 2004
  • MIM capacitor has been investigated for the next generation DRAM. Conventional poly-Si bottom electrode cannot satisfy the requirement of electrical properties and comparability to the high k materials. New bottom electrode material such as ruthenium has been suggested in the fabrication of MIM structure capacitor. However, the ruthenium has to be planarized due to the backend scalability. For the planarization CMP has been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In this research, ruthenium thin film was Polished by CMP with cerium ammonium nitrate (CAN)base slurry. HNO3 was added on the CAN solution as an additive. In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chemical and alumina abrasive, ruthenium surface was etched and polished. After static etching and polishing, etching and removal rate was investigated. Also microroughness of surface was observed by AFM. The etching and removal rate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CAN, and HNO3 accelerated the etching and polishing of ruthenium. The reasonable removal rate and microroughness of surface was achieved in the 1wt% alumina slurry.

  • PDF

The Effect of Dispersant in Slurry on Ru CMP behavior (Slurry내 분산 안정제가 Ru CMP 거동에 미치는 영향)

  • Cho, Byung-Gwun;Kim, In-Kwon;Park, Ji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12-112
    • /
    • 2008
  • 최근 Ruthenium (Ru) 은 높은 화학적 안정성, 누설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성, 저유전체와의 높은 안정성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금속층-유전막-금속층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Cu와의 우수한 Adhesion 특성으로 인해 Cu 배선에서의 Cu 확산 방지막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형성된 Ru 하부전극의 각 캐패시터간의 분리와 평탄화를 위해서는 CMP 공정이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CMP 공정에 공급되는 Slurry 에는 부식액, pH 적정제, 연마입자 등이 첨가되는데 이때 연마입자가 응집하여 Slurry의 분산 안전성 저하에 영향을 줄수 있다. 이로 인해 응집된 Slurry는 Scratch와 Delamination 과 같은 표면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Slurry의 저장 안정성을 저하시켜 Slurry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Ru CMP Slurry에서의 Surfactant와 같은 분산 안정제에 따른 Surface tension, Zeta potential, Particle size, Sedimentation의 분석을 통해 Slurry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pH9 조건의 31ppm Dispersant 농도에서 50%이상의 Sedimentation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선택된 Surfactant가 첨가된 Ru CMP Slurry를 제조하여 Ru wafer의 Static etch rate, Passivation film thickness 와 Wettability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CMP 공정을 실시하여 Ru의 Removal rate와 TEOS에대한 Selectivity를 측정해 보았다.

  • PDF

The Effect of Additives in post Ru CMP Cleaning (Post Ru CMP Cleaning에서의 첨가제에 따른 영향)

  • Cho, Byung-Gwun;Kim, In-Kwon;Kim, Tae-Gon;Park, Ji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557-557
    • /
    • 2007
  • 최근 Ruthenium (Ru)은 높은 화학적 안정성, 누설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성, 저유전체와의 높은 안정성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Ru 하부전극은 각 캐패시터간의 분리와 평탄화를 위해 CMP 공정이 도입되게 되었다. 이러한 CMP 공정후에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상호작용에 의해 웨이퍼 표면에 오염물이 발생할 수 있다. CMP 공정중에 공급되는 슬러리에는 부식액, pH 적정제, 연마입자등이 첨가되는데 이때 사용된 연마입자는 CMP 공정후 입자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CMP 공정후에는 이러한 오염으로 인해 cleaning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Post Ru CMP cleaning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post Ru CMP cleaning에 대한 연구와 cleaning solution 그리고 첨가제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Effect of additives on the stability of Ru CMP slurry (첨가제가 Ru CMP slurry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 Cho, Byung-Gwun;Kim, In-Kwon;Kang, Bong-Kyun;Park, Ji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50-50
    • /
    • 2007
  • 최근 DRAM 소자 내에서 Ruthenium (Ru) 은 높은 화학적 안정성, 누설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성, 고유전체와의 높은 안정성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금속층-유전막(insulator)-금속층 캐패시터에 대한 하부전극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Ru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기 어려우며, 이로인해 건식 식각을 이용하여 Ru을 제거하는 것이 널리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칵 캐패시터의 분리를 위해 Ru을 건식 식각할 경우, 유독한 $Ru0_4$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Ru 하부전극의 탈균일한 표면과 몰드 산화막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인해 각 캐패시터간의 분리와 평탄화를 위해 CMP 공정이 도입되게 되었다. 이러한 CMP 공정에 공급되는 슬러리에는 부식액, pH 적정제, 연마입자등이 첨가되는데 이때 연마입자가 응집하여 슬러리의 분산 안정성 저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Ru CMP Slurry에서의 surfactant와 같은 첨가제에 따른 zeta potential, particle size, sedimentation의 분석을 통해 slurry 안정성에 대란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택된 surfactant가 첨가된 Ru CMP Slurry를 제조하여 Ru의 removal rate와 TEOS에 대한 selectivity를 측정해 보았다.

  • PDF

Formation Behavior of Passive State Film on Stainless Steel for Metallic Ion Concentration in Electropolishing Solution (전해 연마액 금속 이온 농도에 따른 스테인리스 스틸의 부동태 피막 형성 거동)

  • Oh, Jong Su;Kang, Eun-Young;Jeong, Dae-Y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32 no.4
    • /
    • pp.230-236
    • /
    • 2022
  • The formation behavior of a passive state film on the surface of STS304 in electrolytic solu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its metallic ion composition. The properties of passive state films vary depending on the Fe and Cr ions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passive state film surface became flat and glossy as the concentration of Fe and Cr ions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increased. The corrosion resistance property of the passive state film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Fe and Cr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An initial passive state film with high Fe concentration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STS304 during early electrolytic polishing. Osmotic pressure of Fe ions occurs between the passive state film and electrolytic solution due to the Fe ion concentration gradient. The Fe in the passive state film is dissolved into the electrolyte, and Cr fills up the Fe ion vacancies. As a result, a good corrosion-resistant floating film was formed. The more Fe ions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the faster the film is formed, and as a result, a flat passive state fil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r can be formed.

Surface roughness and color stability of various composite resins (수종의 복합 레진의 표면 거칠기와 색 안정성)

  • Lee, Sung-Yi;Kim, Hyeon-Cheol;Hur, Bock;Park, Jeong-Ki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2 no.6
    • /
    • pp.542-54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the surface roughness after polishing an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color stability after immersion in a dye solution among four types of composite resin materials. Four light-polymerized composite resins(Shade A2) with different sized filler content(a nanofilled, a hybrid, a microfilled, a flowble) were used.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was measured with a surface roughness tester (Surftest Formtracer) before and after polishing with aluminum oxide abrasive discs(Super-Snap). Color of specimens before and after staining with 2% methylene blue solution were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ter(CM-3700d) with SCI geometries. The results of Ra and ${\Delta}E$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 Scheffe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Student t-test(p=0.05). After polishing, Ra values were decreased regardless of type of composite resins. In surface roughness after polishing and color stability after staining, nanofilled composite resin was not different with other composite resins except flowable resins.

Cavitation damage characteristics of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coatings prepared on marine grade Al alloy (플라즈마 전해 산화 처리된 해양환경용 Al 합금의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

  • Lee, Jeong-Hyeong;Kim, Yong-Hwan;Kim, Yeon-J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2.2-132.2
    • /
    • 2017
  • 플라즈마 전해 산화(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는 Al, Ti, Mg 합금과 같은 경량 금속소재에 대한 표면처리기술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PEO 처리에 의해 표면에 치밀하게 형성되는 세라믹 산화층은 우수한 내식성, 내마모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PEO 세라믹 코팅층의 응착마모(adhesive wear)와 절삭마모(abrasive wear)에 관한 연구는 상당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캐비테이션 침식과 같은 침식마모(erosive wear)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합금 소지에 제작된 PEO 코팅층의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전해액 조성이 PEO 코팅층의 미세조직과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PEO 처리를 위해 사용된 소재는 상용 5083-O합금 판재로서 $2cm{\times}2cm$로 절단하여, 에머리페이퍼로 1000번까지 연마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전해액은 증류수에 KOH(1 g/L)을 base로 하여 $Na_2SiO_3$(2 g/L)의 첨가유무를 변수로 하였다. 시편을 양극으로 하고 STS304를 음극으로 하여 각각 DC 전원 공급기의 +극과 -극에 연결하였으며, 정전류 조건에서 30분간 $0.1A/cm^2$의 전류밀도를 인가하였다. PEO 처리후 시편은 SEM, EDS, XRD를 이용하여 표면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PEO코팅층의 캐비테이션 특성 평가는 초음파 진동식 캐비테이션 발생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캐비테이션 실험 후 시간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변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Wet Etching of Metal Thin Film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증착 금속 박막의 습식식각에 대한 연구)

  • Hur, Chang-W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795-797
    • /
    • 2010
  • 습식 식각은 식각용액으로서 화학용액을 사용하는 공정으로 반응물이 기판표면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표면을 식각하는 과정이며, 표면결합의 제거를 위한 식각연마와 폴리싱을 위한 식각, 그리고 구조적 형상 패턴등이 있다. 여기서 화학용액은 산화제 또는 환원제 역할을 하는 혼합용액으로 구성된다. 습식 식각 시 수${\mu}m$의 해상도를 얻기 위해서는 그 부식액의 조성이나, 에칭시간, 부식액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습식 식각 후 포토 레지스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포토 레지스트를 깨끗이 제거해야 하며, 제거공정 자체가 a-Si:H 박막을 부식 하지 않을 조건으로 행하여야 한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잔류 포토 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본 실험에서는 RCA-I 세척 기법을 사용한 후 D.I 로 린스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금속은 Cr, Al, ITO 로 모두 DC sputter 방법을 사용해서 증착하여 사용하였다. Cr박막은 $1300\AA$ 정도의 두께를 사용하였고,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하고 (80% 이상의 transmittance), 저저항 (Sheet Resistance : $50{\Omega}/sq$ 이하) 인 박막을 사용하였으며, 신호선으로 주로 사용되는 Al등의 증착조건에 따른 wet etching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PLAQUE ADHESION ON THE SURFACES OF VARIOUS COMPOSITE RESIN (수종 복합레진에 대한 치태 부착도 비교)

  • Kim, Young-Jong;Kim, Shin;Jeong,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1 no.4
    • /
    • pp.547-554
    • /
    • 2004
  •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restoration such as surface roughness and droplet contact angle are important part for the process of bacterial adhe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laque adhesion by measuring roughness, droplet contact angle, and amount of accumulated plaque on the surfaces of composite resins. Four kinds of composite resins, Z-100(Z1), Durafil(DF), Filtek supreme(FS), Clearfil AP X(CA) were used. Ten samples were divided into unpolished and polished group. Surface roughnesses and droplet contact angles were measured by profilometer and goniometer. Plaque weight gains a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ougher than the control group. Surface roughnesses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Z1, DF, CA)>FS in the control group, and CA>Z1>(FS, DF) in the experimental group(P<0.05). 2 The control group showed larger contact angle than the experimental group. Contact angles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CA>(FS, DF, Z1) in the control group, and (CA, DF)>(FS, Z1) in the experimental group(P<0.05). 3.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much plaque than the control group. The amounts of plaque accumulation in vitro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Z1>(DF, FS)>CA in the control group, and Z1>FS>(CA, DF)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latter showed more much plaque than the former(P<0.05). 4. There wer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plaque deposition and contact angle (P<0.05) than that of plaque deposition and surface rough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