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지형

Search Result 6,56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Digitizing of Terrain by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비정규삼각망 데이타구조에 의한 지형의 수치화)

  • Lee, Suck Chan;Kho, Young Ho;Lee, Chang Kyung;Choi, Byoung 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2
    • /
    • pp.325-334
    • /
    • 1994
  • Modern society is the age of a high state of information and demands more effective land information. Moreover, because the use of land in Korea is intensive, Korea requires more synthetic and systematic geographical information for which the digitizing of terrain is prerequisite. This study aims at development of the data structure which is suitable to the digitizing of terrain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Regular grid has been used generally in Digital Terrain Model(DTM), for it is easy to manipulate. But regular cannot reflect well the terrain surface features. In the meantim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TIN) has complex data structure, but it can describe well terrain surface features and is useful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constructs effective DTM by improving TIN has been researched.

  • PDF

Real-time 3D terrain visualization based on Regular Grid Method (Regular Grid Method에 기반한 실시간 지형 가시화 알고리즘 개발)

  • Jeong, Ji-Chan;Park, J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35-841
    • /
    • 2005
  • 실시간 가시화/시각화(Visualization)을 위한 지형 가시화 분야에서의 렌더링 속도 향상은 사용자의 현실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Height Field 데이터를 사용한 블록 단위 지형 렌더링 방법에서 이전 프레임 정보를 사용하여 지형 가시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Height Field로 표현된 지형을 실시간에 효과적으로 렌더링 할 수 있는 방법으로CLOD(Continuous leveI Of Detail)가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Multiresolution TIN(Triangle Irregular Network)과 Regular Grid Method에 기반한 방법들이 있다. 대개의 경우, 지형 데이터는 매우 방대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실시간으로 렌더링 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시간 지형렌더링 에서는 LOD(Level of Detail)관리와 뷰 프러스텀 컬링이 실시간 렌더링 속도 향상을 위한 핵심 사항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PC 기반에서 효과적으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기존 Regular Grid Method에 기반한 방법의 가시영역 추출(View Frustum Culling)을 수정하여 실시간 지형 렌더링의 가시 영역 추출(View Frustum Culling)시 기존의 쿼드트리 방식과 함께 이전 프레임에서 블록 단위로 저장된 컬링 정보를 혼용하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기술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bined Interpolation and Terrain Classification in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형에 있어 지형의 분석과 조합보관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Yeu, Bock-Mo;Park, Woon-Yong;Kwon, Hyon;Mun, Du-Ye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8 no.2
    • /
    • pp.53-61
    • /
    • 1990
  • In this study, terrain classification was done by using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 and suitable interpolation method was appl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gital terrain models and to increase its practical applications. A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using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s and an interpolation equation suitable for each group was used for economical application of the interpolation method. The accuracy of digital terrain models was improved in case of large grid intervals by applying combined interpolation method suitable for each terrain group.

  • PDF

A Study on Semi-automatic Feature Extraction Using False Color Aerial Image (천연색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형요소 반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

  • 김감래;김경록;전호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2
    • /
    • pp.109-115
    • /
    • 2001
  •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Photogrammetry Systems the use of Digital ortho-photo images have increased and progressed in the study which extract the features from digital ortho-photo image semi-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However, there are a limit. It has proved in many studies that recognition of the attribution or the features from panchromatic aerial photo is restricted. In this study, I compared color aerial images with panchromatic aerial imag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aerial images and feature entities which can be extracted semi-automatically. I analyzed extracted feature entities are compared with digital map at a scale of 1:5,000 have constructed in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With this result, I analyzed the capability of feature extraction and proposed a plan for the study in the future.

  • PDF

A Development on The 3D Terrain Map Creator Editor using Satellite Image and Geographic Information (위성사진과 지형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지형 맵 제작용 에디터 개발 연구)

  • Bae, Seoung-Soo;Kim, Hyun-Chul;Kim, Ki-Sun;Park, Hee-Yong;Cho, Ch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7-1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GIS 고도 데이터와 항공 영상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실감 지형 맵 제작 3D 에디터 개발 연구를 한다. 높이맵 방식을 이용하여 지형을 3차원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를 위해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여 보여주는 지형의 상세함을 변화시키는 상세도 레벨 설정방식으로 컴퓨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지형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컴퓨터상에서 3차원의 실제 지형을 체험할 수 있으며 에디터 기능을 통하여 고도맵과 영상 사진만으로 간단히 실감 지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opographic Tourism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Analysis and Valuation (동해 무릉계곡의 지형관광자원 분석과 평가)

  • Kwon, Dong Hi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3
    • /
    • pp.65-77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opographic landscape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from the viewpoint of geotourism in order to suggest the tourism contents and tour course. A total of 29 topographic landscapes were observed; these are broadly divided into 4 features including weathering landform, mountainous landform, fluvial landform, and structural landform. Major topographies are fluvial landform (13) and weathering landform (12). At least 19 topographies (14 sites, 19 topographic landscapes) are currently used as tourism resources, with 10 topographies having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new tourism resources. The 10 topographic landscapes are as follows: (1) Jamryong Bawi (Hidden Dragon Rock), (2) Janggipan Bawi (Korean Chessboard Rock), (3) Nurungji Bawi (Parched Rice Rock), (4) Damjang Bawi (Fence Rock), (5) Gyedan Bawi (Stairs Rock), (6) Heundeul Bawi (Rocking Rock), (7) Jeopsi Bawi (Dish Rock), (8) Dol Umul (Stone Well), (9) Jogak Bawi (Carved Rock), and (10) Dubu Bawi (Topu Rock). The topographic tour course can be divided into 3 routes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time. Route 1 is a basic one that anyone can easily use; Route 2 and 3 can be used by visitors who have more time to spare or who are more active.

Effects of Evanescent Modes over Axisymmetric Seabed (축대칭 지형을 지나는 파랑의 소멸파 성분 검토)

  • Goo, Ja Young;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6-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랑의 변형을 예측하는 방법 중 하나인 고유함수전개법을 이용하여 축대칭 형태의 지형 위를 통과하는 파랑의 소멸파 성분을 검토하였다. 기울기와 곡률이 변하는 지역에 고유함수 전개법을 적용하여 해석할 때 필요한 적절한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개수를 산정하였다. 고유함수전개법을 이용하여 파랑의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는 Bremmer(1951)가 전자기파에 적용하면서 처음 제시한 후 Takano(1960)가 파랑 변형 연구에 적용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밖에 Kirby and Dalymple(1983), Liu et al.(1992), Cho and Lee(2000), Bender and Dean(2003), 조용식과 이창훈(1998) 및 강규영 등(2007)에 의해 국내 외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의 대부분이 연직 2차원 지형에 대하여 수행되어 왔다. 3차원 지형에 대한 고유함수전개법은 Bender and Dean(2005)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에서는 수렴해를 얻기 위한 구간 및 소멸파 개수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실제 해저 지역은 다양한 지형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대칭 지형에 대하여 수렴해를 얻기 위해 구간을 나누어 해의 수렴성을 확인하여 적절한 구간의 수를 결정한 후 소멸파의 수를 변화시키면서 소멸파가 파랑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천해역 및 중간수심 영역을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수에 변화를 주면서 수렴성 검사를 한 결과, 천해 영역에서는 소멸파 성분의 영향이 적게 나타났으나 중간수심 영역에서는 적절한 개수의 소멸파를 고려해야 보다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lope Terrain Analysis According to Geographical Feature and Survey Place Based on Terrestrial LiDAR Data (지상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지형특성 및 관측위치에 따른 사면지형분석)

  • Choi, Seung-Pil;Ham, Ju-Hyoung;Kim, Mun-Sup;Yang, In-Tae;Kim, Uk-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2
    • /
    • pp.63-68
    • /
    • 2010
  • In this study, subject areas with different topographic feature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slope terrain by setting Terrestrial LiDAR in different places. And the slope terrain was analyzed based on three-dimensional raw data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slope terrain. With DEM data obtained from five measurement instances with 5mm of scan interval by setting Terrestrial LiDAR on the site 30m away straight from the slope terrain consisting of asphalt, rock, soil, and plants, the slope terrain was analyzed according to topographic featur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setting location that might affect the measured result, this study reviewed the accuracy of measured data obtained from different measurement areas.

The Analysis of Terrain and Topography using Fractal (프랙탈 기법에 의한 지형의 특성분석)

  • Kwon, Kee-Wook;Jee, Hyung-Kyu;Lee, Jong-D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6
    • /
    • pp.530-542
    • /
    • 2005
  • In this study, GIS method has been used to get fractal characteristics. Using the projected area and surface area, 2 dimensional fractal characteristic of terrain was found out. Correlation of fractal dimension and mean slope were also checked over. Results are as below. 1) To get a fractal dimension, the method which is using the surface area is also directly proportional to complexity of the terrain as other fractal dimension. 2) Fractal dimensions using the surface area, that is proposed in this thesis are carried out as below : Uiseong : $2.02{\sim}2.15$ Yeongcheon : $2.10{\sim}2.24$. These values are in a range of fractal $2.10{\sim}2.20$ dimensions which has known. 3) Correlation of mean slope and fractal dimension is diminished about 30% in a region which is more than $25^{\circ}$ of mean slope. So, in this region using the fractal dimension method is better than using the mean slope. From this study, on formula using the projected area and surface area is still good to get a fractal dimension that has been found. But to confirm this method the region of research should be wider and be set up the correlation of mean slope, surface area and fractal dimension. It can be applicable to restoration of terrain and traffic flow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 PDF

TRN을 이용하는 헬리콥터 3차원 GPS 항법의 실용화 알고리즘 연구

  • Kim, Eui-Hong;Jeon, Hy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49-250
    • /
    • 2008
  • 본 연구는 전년도 지형참조항법(TRN; Terrain Referenced Navigation)에 근거하는 3-D 헬리콥터 항법 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의 후속 연구로서 실용적 완성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헬리콥터의 위성항법장치(GPS)로부터의 정보(X,Y,Z 좌표)는 자동차가 도로주행중 매 1초 간격으로 수신되는 GPGGA Code로 대체되었다. 비행체는 3차원 직교 좌표 체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로 표현되는 수치지형모델(DTM; Digital Terrain Model)상에서 시점(Origination)-종점(Destination) 분석 기법에 의해 항로를 결정한다. 본 시스템은 우선 조종사에게 지형의 사전 인식을 위해 시점-종점 주변 3차원 지형도와 항로의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시스템은 직접적인 지상 충돌을 피하기 위해 지형 여유 층면(Terrain Clearance Floor)의 개념을 도입, 기복 지형 표면에 일정 높이의 완충 공간을 설정한다. 본 시스템은 매초 GPS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X,Y,Z 위치와 DTM상의 x,y,z를 비교하여 만약 비행체가 완충 공간에 접근하게 되면 즉시 경고음과 메시지를 발한다. 수치지형모델은 (주)첨성대가 확보하고 있는 3초 간격의 DTM을 채택, 작성하였다.

  • PDF